『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 라키비움 프로젝트Ⅷ』 참가신청
■ 참가 안내
온라인 강의로 진행
- 실시간 '유튜브-김달진'을 통해 송출 ※ 참가신청자에게 강의 시작 15분전 참가링크 문자 전송
- 12월 중 박물관 홈페이지 등을 통해 편집 영상 재공개 ※1강 제외
■ 강의 일정
① 문화콘텐츠 디지털 아카이브 운영사례와 전망
윤현정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2021.11.6(토) 15:00-17:00]
▶1995년 <조선왕조실록 CD-ROM>이 첫선을 보인 이후, 다양한 산업적 활용을 염두에 둔 문화콘텐츠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이 이어져 왔다. 2000년, ‘지식정보자원관리법’의 공포 이후 문화콘텐츠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이 본격화되었는데, ‘지식정보자원 데이터베이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 등의 대표적인 정부 주도 사례를 살펴보고 ‘구글 아트앤컬쳐’를 비롯한 최근의 경향을 함께 점검한다. 이를 통해 현재적 관점에서 문화콘텐츠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방향과 활용 방안을 고민해보고, 문화 콘텐츠 디지털 아카이브가 내재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살펴본다.
② 아카이브, 관계, 라키비움
석현수 스톤인테그리티 대표
[2021.11.6(토) 17:30-19:30]
▶아카이브 -아카이브에 대해 -메타데이터 -아카이브 3단계 -아카이브 프로세스 -아카이브 시스템 구조
▶라키비움 -도서관+아카이브+박물관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디지털)자료 검색 -국립국악원 공간이음 -(온라인) 공간에서의 (오프라인) 자료 검색 -구글 아트 앤 컬쳐
▶콘텐츠에서 데이터로의 변화 -RDF, LOD -메타데이터의 장점 -비정형/정형 -빅데이터 -메타버스와의 결합
③ 시민의 삶을 변화시키는 공공재 플랫폼 - 의정부미술도서관
박영애 의정부시 미술도서관 팀장
[2021.11.6(토) 20:00-22:00]
④ 엮는자(@herbererr), 지난 7년의 시간
장영주 ‘엮는자’ 운영자
[2021.11.20(토) 15:00-17:00]
▶서론: 선택된 공간들
- 연구대상으로 선택된 공간 소개
- 공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열거된 공간들의 특이점과 그 문제제기
▶본론: 서론에 제기된 문제제기로부터 일반공간과 비교하여 미술공간이 갖는 가치
- 부동산의 공시지가 등 그 감정평가의 거래가액에 반하는 미술공간만의 가치평가와 그 평가의 기준에 대한 연구자로서의 의견과 고민
- 거래대상인 부동산으로서의 미술공간 읽어내기
- 지난 7년간의 선택된 공간들의 공시지가 변화표 공유 및 주변 지형 변화 보기
- 미술공간과 그 주변과의 관계성을 간략히 보고 연구에 대한 연구자로서의 태도를 이야기
▶결론: 지난 7년의 시간이 갖는 의미
- 지난 7년의 시간을 자료로서 개괄
- 2022년 이후의 시간을 시군구도시계회과 함께 직관적으로 감각해보기. 또는 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