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2013-08-07 ~ 2013-08-13
임영주
무료
+82.2.737.4678
2013년 하반기 갤러리도스 기획공모 선정작가
‘Moving, Drawing and Moving’
( 움직이다. 그리고 나아가다. )
임영주 ‘축 감 생 祝 感 生'展
엉엉-cry bitterly, 2012, oil on canvas, 194*0112cm
1. 전시개요
■ 전 시 명: 갤러리 도스 기획 – 임영주 ‘축 감 생 祝 感 生' 展
■ 전시장소: 서울시 종로구 팔판동 115-52 갤러리 도스 (Gallery DOS)
■ 전시기간:2013. 8. 7(수) ~2013. 8. 13 (화) 7일간
2. 전시내용
갤러리 도스에서는 2013년 하반기에 ‘드로잉(Drawing)’을 주제로 릴레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Moving, Drawing and Moving’을 부제로 작가들을 공개모집하였으며 지원한 작가들 중 기획 주제에 부합하는 지와 앞으로의 성장가능성을 기준으로 자체적으로 심사를 하였다. 그 결과 이주연, 최은혜, 이혜진, 김은송, 임영주 5명의 작가가 선정되었으며, 이들은 7월 3일부터 8월 13일까지 연이어 개인전을 펼치게 된다.
드로잉(Drawing)은 모든 작업의 기초이며 작가 안에 놓여 있던 이성과 논리, 감성과 감정이 시각적으로 형상화 되는 가장 첫 번째 작업이다. 전통적인 회화에서의 드로잉은 선적인 수단을 통하여 대상의 형태를 표현하는 것으로, 작품의 밑그림이나 준비단계로서의 의미에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현대예술에서 회화의 매개체는 오브제, 공간, 개념, 시간, 빛 등으로 그 영역을 확장되었고, 드로잉 역시 회화의 장르 확장과 함께 하나의 영역으로 자리 잡아 개념과 매체를 점점 더 넓혀나가는 중이다.
'Moving'이란 단어에는 드로잉의 행위가 묻어나기도 하지만, 이는 단순히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가 아니다. 움직임을 통해 무언가가 바뀌고, 바뀌어가면서 한 발짝 나아간다는 뜻이 담겨져 있다. 갤러리 도스는 이번 기획전을 통해 드로잉을 움직여보려 한다. 그것은 작가와 작품 스스로가 움직이는 것일 수도 있으며, 드로잉이 가진 관습적 개념이 움직이는 것일 수도 있겠다. 다양한 관점에서 풀어낸 드로잉의 움직임을 통해 현대적 의미의 드로잉이 보여주는 탈 경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더 나아가 이번 전시가 보여주는 다양한 드로잉의 시도들이 보는 이에게 궁극적인 감동(Moving)을 이끌어내길 바란다.
크로스-cross, 2013, oil on canvas, 112*162cm
3. 전시 서문
미(美)적 설화에 감응되다.
감생설화(感生說話)에 의하면 성교에 의하지 않고 어떤 사물에 감응됨으로써 잉태하여 아기를 분만한다. 이러한 이야기는 우리가 흔히 듣는 옛이야기 속이나 어느 장소에 얽힌 민담 또는 누군가의 영웅적 탄생 스토리에 자주 등장한다. 우리는 인간의 영역에서 일어나지 않는 원인과 결과들을 만들어 그것을 믿음으로써 삶에 대해 희망을 갖고 살아 왔다. 어떠한 사건에 있어 자신의 의지로 해결 할 수 없는, 절대자의 존재를 인정하는 순간 오히려 마음이 편해지며 삶의 인과에 순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종의 옛날이야기들이 지금껏 전해질 수 있었던 것은 흥미를 넘어 우리 삶 속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임영주는 감생이야기에서 작업의 영감을 얻는다. 사물 또는 인물에 감응되어 생명이 탄생되는 것은 매혹적이며 신비한 이야기이다. 어찌 보면 무엇인가에 감응되어 작품을 탄생시키는 작가는 스스로가 감생이야기의 주인공인 것이다.
그림자 붓다-shadow buddha, 2012, oil on canvas, 194*112cm
임영주의 작품은 감생이야기를 크게 두 종류의 소재로 풀어낸다. 첫 번째는 감성이야기의 흔적을 찾는 작업이고, 두 번째는 성교가 배제된 감생의 순간이 주는 성적 감응이다. 작가는 작업의 관심사인 믿음에 의해 지탱되는 관계를 감생이야기에서 본다. 그녀는 자신만의 등장인물을 만들어내며 이야기가 남긴 흔적에서 또 다른 이야기를 만든다. 작품에는 가상의 동, 식물들이 등장하는데 각각 당하는 이와 꾀는 이, 기도하는 이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들은 감정 혹은 힘에 의해 움직이며 서로 관계한다. 공격과 수비의 역할이 뚜렷한 이들 생명체는 은유적으로 감생을 드러낸다. 작가는 관객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듯 자신만의 감생이야기를 독창적인 생명체에게 투영하여 드로잉 한다. 각각의 이야기가 담긴 드로잉들을 따라가며 관람객은 새로운 이야기에 빠져든다. 임영주의 드로잉은 시각적 이미지에 국한되지 않고, 이미지가 가진 본질적인 이야기에 초점을 맞춘다. 보여 지는 이미지에 대한 원인과 결과와 그것에서 보여 지는 관계들을 드로잉하며 그녀는 자신의 이야기를 건넨다.
또한 임영주는 감생이야기에서 성교가 배제된 감생의 순간이 주는 성적 감응에 대해 주목한다. 작가는 성교가 배제된 감생의 순간은 생식이 배재된 성교의 순간만큼이나 성적으로 감응 된다 여긴다. ‘생식기=성기’가 아니라면 성적으로 감응되는 우리의 모든 기관은 성기가 될 수 있다. 작가가 가장 주목한 것은 손가락이다. 그녀는 손가락을 은유적 성교의 상징으로 사용하여 감생이야기의 성적인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풀어낸다. 임영주는 신비로움 속에 감춰진 이야기가 가진 은밀한 성적 감응을 찾는다. 영웅의 믿기 힘든 탄생 설화나 오래된 신목의 영험함 속에서도 결국 감생 이야기의 본질은 성에 있다. 성교가 배재된 탄생이 주는 신비함과 성(聖)스러움은 결국 성(性)에 대한 호기심과 욕망에서 출발한다.
임영주의 작품들을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레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작가가 들려주고자 했던 이야기에 각자의 감응이 더해져 이야기는 각각 조금씩 변한다. 자신이 감응 받은 이야기에 살이 더해지며 또 다른 영웅담, 민담이 만들어진다. 그녀의 작품 안에 기호와도 같은 이미지들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누군가의 기억 또는 감성에 의해 이야기로 재탄생된다. 그렇기 때문에 임영주의 드로잉에서 화자는 작가 혼자가 아닌 작품을 감상한 모든 관람객이 된다. 작가는 이처럼 작품을 통해 관람객과 함께 현대의 감생이야기를 완성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자신만의 감생이야기를 만들어 보는 것은 어떨까. 작품속 등장하는 생명체들 속 나의 도상을 찾아 작가가 들려주는 이야기에 감응되어 보길 바란다.
행운을 빌어요-finger cross, 2012, oil on canvas, 30*30cm
4. 작가 노트
이전부터 쭉 내 작업의 관심사는 믿음에 의해 지탱되어지는 관계였다. 그 관심은 거짓말, 믿음, 종교, 약속, 사랑, 사기 등으로 이어졌고 그 중에서 가장 매혹된 이야기는 감생이야기 이다.
감생설화 感生說話는 성교에 의하지 않고 어떤 사물에 감응됨으로써 잉태하여 아기를 분만한다는 내용이다. 무지했던 아주 옛날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믿었다고 하며, 사람들이 성교가 임신의 원인임을 알아차린 후에는 감생은 비범한 영웅탄생 스토리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넓게 보았을 때 감생이야기는 원인과 결과를 믿고 싶은 쪽으로, 혹은 누군가의 강압에 의해 믿게 되는 이야기로 서로 상관없는 사건들을 인과관계로 엮음으로서 마음을 편하게 만드는 것이라 생각한다. 곧 이는 특별한 탄생 이야기가 아닌 사람사이의 거의 모든 약속과 관련이 있을 거 란 확신과 함께 원인과 결과를 억지로 만들어 놓음으로써 우리는 심하게 좌절하지 않고 살아 갈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다. 그것이 혹은 그분이 그렇게 해주겠지 하면서.. 그렇게 안 된 것은 내 치성이 부족한 탓이겠지 하면서...
-임영주 작가노트中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