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최경화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갤러리 도스 기획

최경화 'Residue'

 

 

 

S. Station, 91x117cm, oil on canvas, 2012

 

 

1. 전시개요

 

전 시 명: 갤러리 도스 기획 최경화 ‘Residue'

전시장소: 서울시 삼청로 737 갤러리 도스 (Gallery DOS)

전시기간: 2013. 12. 18 () ~ 2013. 12 . 27 () 10일간

 

2. 기획의도 및 전시내용 

 

연착되는 잔여의 중첩

 

그림을 그리는 행위의 이유는 어디서부터 시작되었을까. 태고적으로 시간을 되돌려본다면 사람이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건 자신이 보고 들었던, 기억하고 싶었던 경험인 무언가를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서였을 수도 있다. 물론 그 뒤로 수천 년의 엄청난 시간이 흘렀고, 현대의 미술은 끝없이 많은 변화와 함께 보다 더 새로운 것들로 넘쳐나고 있다. 하지만 이 기록이라는 오래된 이유는 무언가를 만드는 사람들 안에서는 여전히 고스란히 살아 숨 쉬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 기록에 자신만의 색과 생명을 부여하는 것, 그리고 기록할 내용(context)의 선택은 창작자만의 고유 권한이다. 그것이 작품이 특별할 수 있는 이유일 것이다. 최경화의 작품도 그런 생명을 조금씩 그림 속에서 보여주기 시작하고 있다.

 

 

Platform 01, 91x98cm, oil on canvas, 2012

 

 

흔히 우리가 뭔가를 의식하고 바라보면, 아주 짧은 순간이라도 그것을 보고난 이후에도 잠시 동안 우리가 보았던 형상이 눈 안에 남아 어른거리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눈을 몇 번 깜박이면 없어지지만 그래도 쉽게 사라지지만은 않는 이것은 우리가 잔상(殘像, after-image)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실제로 마주친 순간은 찰나에 불과하지만 바로 떠나지 않고 시각 기관에 머무르고, 그게 머릿속까지 남겨지게 되는 이 현상은 떨어질 듯 떨어지지 않는 그림자를 조금 닮았다. 작가는 여기서 구현에 대한 힌트를 얻고 작업을 시작했다. 멈출 수도 없고 멈춰 세울 수도 없는 짧은 시선의 교차 뒤에 남는 잔상은 대상을 그대로 담아내는 사진처럼 정확한 것도 아니고, 그림처럼 확고한 메시지를 전하는 것도 아닌 중의적 존재이자 개념이다. 어찌 보면 진행 중의 흔적에 불과하지만 그러한 어느 한 곳에 속하지 않은 특질 덕분에 더욱 소재로서의 주목을 끈 것이 아닐까 싶다. 어딘지 불안한 느낌의 선은 그러나 화려하거나 선명한 색으로 빛을 내며 군집하고, 이렇게 모인 기억의 잔여들은 헨젤과 그레텔의 빵부스러기처럼 흔적을 남기며 캔버스 속 어딘가로 관람자를 인도하는 것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작가의 시선을 붙들었던 풍경의 잔상과 그것을 바라보던 시선의 시작과 끝, 그 틈새로 엿보이는 불완전한 움직임까지 캔버스에 옮기는 작업에 집중한 것이다. 그 소재와 표현기법의 무게는 가벼운 것이었지만 그것들이 전부 축적된 결과물은 무수한 시공간과 시선, 심지어 상념까지도 포함하며 모종의 생명체로 변이하며 숨쉬기 시작한다. 쉽게 얕볼 수 없는 무게감이 시간차로 중첩되며 비중을 갖기 시작하게 된 셈이다. 이는 또한 일상의 어떤 하찮은 것이든 그것에 작업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한 순간 개념이 되어 캔버스를 차지하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이번 <Residue> 전시에서 최경화는 자신이 잠깐이나마 보았던 잔상들의 연착화를 통해 풍경과 그것을 보고 몸에 새기는 작가 자신의 시각, 그리고 그로 인해 생성, 반영되는 작가로서의 정서와 메시지의 상호관계에 대해 고찰하고, 기록한다. 좀처럼 붙잡을 수 없는 것이 일으키는 거리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몸에 남는 기억으로서의 잔상은 미련 비슷한 감정까지 자아낸다. 어쩌면 그것이 작가가 세계를 경험하는 과정의 시작점인지도 모른다.

 

 

 

Depart, 130.3x163cm, oil on canvas, 2013

 

 

 

보고, 경험하고, 기록하는 단계 안에서 짜인 비정형적인 시공간의 그물은 일상적 풍경에서 그녀가 놓쳤던 것들의 투명한 그림자들로 겹쳐진다. 자칫 난해하거나 지나치게 해체되어 보인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는 분열성은 역으로 선묘의 세계를 보여주면서 예술이 반드시 하나의 형상이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거부한다. 잔상들의 모임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풍경을 보면서, 이번에는 이 역()풍경이 어떤 잔상으로 남을지 시험해보는 것도 재미있는 관람방법이 될 것이다.

 

 

 

3. 작가 노트

 

 

나는 눈앞에서 빠르게 스쳐지나가는 풍경의 잔상들을 그린다. 잔상은 이미 그 자리에 있다가 없어진 상이지만, 눈 속에 남아서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감각적으로는 실제로 보이는 것이고 눈동자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움직이고 눈길을 집중시킬 수도 있는 실체이다. 나는 눈의 안쪽에 남겨진 형상을 그리는 것으로 시감각에 온전히 포착되지 못하고 남겨진 것들을 기록하고자 하며 눈앞의 대상이 감각 속에서 구성되는 과정을 기록하고자 한다. 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지나칠 때면 창밖으로 보게 되는 풍경으로부터 내가 문득 아득하게 멀어지는 느낌을 받는다. 계속되는 이동으로 인하여 풍경은 앞으로 다가오면서 동시에 뒤로 빠져나간다. 나의 시선에 남는 도로변 풍경의 잔상들은 지각적 거리감과 정서적 거리감을 함께 불러일으킨다. 누구에게도 속하지 않은 장소로부터 고립감을 느끼고 이동의 속도로 인하여 공간으로부터의 소외감을 느낀다. 보이는 것들이 자신으로부터 떨어져나가는 순간에는 또다시 다가오는 것들과 마주치는 순간이 뒤따른다. 나는 이러한 현상으로부터 시간과 공간의 이동에 의해서 생겨나는 시차와 그에 따른 잔상, 그리고 본다는 것의 모호함에 대하여 생각해 보게 된다.

 

-작가노트

 

 

 

Still there, 80.3x100cm, oil on canvas, 2012

 

 

 

4. 작가 약력

 

2011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전공 졸업

2008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개인전

2013 Residue, 갤러리 도스, 서울

        연착되는 시선, 63스카이아트 미술관, 서울

2010 시차의 풍경, 갤러리 라메르, 서울

 

그룹전

2010 풍경으로 꿰어내다, 현 갤러리, 서울

        마음의 풍경, 씨티골드 셀렉트 라운지, 서울

           Hue and Deep, 서울대학교 우석홀, 서울

        미래의 작가전, 공 아트스페이스, 서울

2009 풍경화 아닌 풍경, 포천 아트밸리, 포천

        아시아프, 옛 기무사 건물, 서울

2008 프로클레임, 갤러리 정, 서울

 

수상

2013 소마 드로잉센터 아카이브 등록 작가 선정, 소마미술관

63스카이아트미술관 제10회 미니개인전 공모 선정, ()한화63씨티

 

 

 

Gone, 91x117cm, oil on canvas, 201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