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이정진 : 에코 - 바람으로부터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 한국 현대 사진의 예술적 가능성을 넓혀 온 이정진의 개인전
   - 한지 수공 기법의 아날로그 프린트 연작 11점 등 대표작 70여점 소개
   - 익숙한 사물 및 풍경에 대한 성찰을 불러일으키는 시(時)적 사진과의 만남
 ◇ 스위스 빈터투어 사진미술관 등 유럽 3개 미술관 전시에 이은 확장 전시   
   - 3월 8일(목)부터 7월 1일(일)까지 과천관에서 개최 

국립현대미술관(관장 바르토메우 마리)은 한국 현대 사진의 예술적 가능성을 넓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온 이정진의 작품 세계를 보여주는《이정진 : 에코 - 바람으로부터》전을 3월 8일(목)부터 7월 1일(일)까지 과천관 제1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유럽에서 손꼽히는 사진 전문 기관인 빈터투어 사진미술관(Fotomuseum Winterthur)과 공동으로 추진되었다. 2016년 스위스 빈터투어 사진미술관, 2017년 독일 볼프스부르크 시립미술관(Städtische Galerie Wolfsburg)과 스위스 르 로클 미술관(Musée des beaux-arts Le Locle)을 순회한 후, 2018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더욱 확장된 형태로 선보인다. 이전 전시에서 볼 수 없었던 <미국의 사막 III>(1993~94), <무제>(1997~99), <바람>(2004~07)시리즈의 일부 작품들과 작가가 한지에 인화하는 암실 작업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필름도 함께 공개된다. 작가의 오리지널 프린트를 대규모로 감상할 수 있는 이번 전시는 이정진의 작품 세계를 깊이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이정진(1961- )은 대학에서 공예를 전공하였으나, 사진에 더욱 매력을 느껴 독학으로 사진을 공부하고, 졸업 후 <뿌리깊은 나무>의 사진기자로 약 2년 반 동안 근무하였다. 작가는 예술적 매체로서의 사진에 대한 열정을 품고 1988년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대학교 대학원 사진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과 한국을 오가며 왕성한 작품 활동을 펼쳐왔다. 2011년에는 다큐멘터리 사진의 거장 프레데릭 브레너(Frédéric Brenner)가 스테판 쇼어(Stephen Shore), 제프 월(Jeff Wall) 등 세계적인 사진작가 12명을 초청하여 진행한 ‘이스라엘 프로젝트’에 유일한 동양인으로 참여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제 사진계에서 더욱 주목받았다. 그의 작품은 뉴욕 현대미술관, 휘트니미술관, 메트로폴리탄미술관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파리 국립현대미술기금(FNAC) 등 세계 유수의 미술기관에 소장되었으며, 2013년 동강사진상 수상을 비롯하여 2017년 국제 사진 아트페어인 파리 포토(Paris Photo)의 ‘프리즘(Prismes)’섹션에서 주목할 만한 작가로 소개되기도 했다. 작가는 자신의 작업을 사진이라는 고정된 장르로 규정하는 것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작업 방식 및 인화 매체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시도했으며 이 과정에서 한지를 발견하였다. 그는 전통 한지에 붓으로 직접 감광 유제를 바르고 그 위에 인화하는 수공적인 아날로그 프린트 기법을 통해 매체와 이미지의 실험 및 물성과 질감을 탐구했다. 이로 인해 그의 작업은 재현성과 기록성, 복제성과 같은 사진의 일반화된 특성에서 벗어나, 감성과 직관을 통한 시적 울림의 공간을 보여준다.전시는 <미국의 사막>(American Desert, 1990~95), <무제>(Untitled, 1997~99), <파고다>(Pagodas, 1998), <사물>(Thing, 2003~07), <길 위에서>(On Road, 2000~01), <바람>(Wind, 2004~07) 등 작가가 1990년과 2007년 사이 20여 년 간 지속적으로 작업해 온 11개의 아날로그 프린트 연작 중 대표작 70여 점을 재조명한다. 각 연작들은 사막의 소외된 풍경, 일렁이는 바다와 땅의 그림자, 석탑, 일상의 사물 등 작가의 감정이 투영된 대상과 이에 대한 시선을 담고 있다. 전시는 각각의 피사체가 지닌 원초적인 생명력과 추상성을 드러내며 화면 속 시적 울림의 공간을 만들어 내는 이정진의 작품 세계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품들은 모두 별도의 액자 없이 한지 프린트 원본 그대로를 볼 수 있게 설치되어, 아날로그 프린트 작품의 독특한 질감을 온전히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바르토메우 마리 관장은 이번 전시에 대해 “물성과 질감, 수공적인 것에 깊이 천착하여 독특한 시각 언어를 창조해 낸 이정진의 작품세계를 보여주는 뜻깊은 전시”라며 “익숙한 것들에 대한 성찰을 불러일으키는 작품들을 마주하며 내면의 울림에 귀 기울일 수 있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사막 I 91-23, 1991 © 이정진


미국의 사막 III (자화상) 94-14, 1994 © 이정진


<미국의 사막>(American Desert, 1990~95)
이정진은 1990년대 초, 광활한 미대륙을 여행하며 마주한 원초적인 자연 풍경을 주제로 총 4개의 연작을 제작하였다. 사막, 바위, 덤불, 선인장 등 자연이 만들어낸 기이한 현상들과 비현실적인 공간에 감응하는 내면의 울림을 사진으로 담아내었다. 장엄하고 숭고한 자연 풍경을 그대로 포착하기보다는 사막이라는 장소에서 발견되는 물리적인 특징과 형상들을 극적으로 확대하거나 제거해버리기도 하면서 사막에 대한 자신의 주관적 인상을 표현하였다. 작가의 이 같은 이미지에 대해 이정진의 스승이기도 한 거장 로버트 프랭크(Robert Frank)는 <미국의 사막> 연작에 부치는 짧은 노트「자연에 대한 두려움」에서 “인간이라는 야수가 배제된 풍경”이라고 표현하며, “작가는 냉철한 눈으로 그곳에 존재하는 고독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느끼고 본다.”라고 묘사한 바 있다. 
 


파고다 98-29, 1998 © 이정진

<파고다>(Pagodas, 1998) 
이정진은 8년간의 뉴욕 생활을 뒤로하고 1996년 서울로 돌아와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였다. 이 시기 제작된 <파고다>시리즈는 6개월에 걸쳐 한국에서 촬영한 다양한 석탑 사진 25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가는 같은 이미지 두 장을 다른 각도에서 투영된 거울상처럼 위아래로 붙이고 탑 주변의 요소들을 남김없이 지운다. 역사적 오브제는 텅 빈 배경으로 인해 본래 속했던 맥락에서 독립되어 조형적 오브제로 변화하고, 작품이 자아내는 시간을 초월한 듯한 고요한 분위기는 깨달음에 관련된 파고다의 종교적 상징성과도 일맥상통한다.


이정진, Ocean, 143x75cm

<바다>(Ocean, 1999)
작가는 <바다>시리즈를 통해 추상적이면서도 회화적인 사진을 제작하였다. 작가는 한 눈에 들어오는 바닷가 풍경이 아닌 바다 그 자체가 갖는 물이라는 하나의 현상으로 사진에 담아냈다. <바다>연작은 현실 재현과 기록으로서의 사진의 기능을 부정하고, 사진속의 대상을 추상적인 이미지로, 나아가 초현실적인 대상으로 제시하고 있다.


무제 99-11, 1999 © 이정진

<무제>(Untitled, 1997~99)
<무제>연작은 작가가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작업한 작품들로, 해변에 놓여 있는 나무 기둥, 바다와 부두, 물 한 가운데 떠 있는 섬 등 자연을 다루고 있다. 작가는 모든 이미지를 세 번에 걸쳐 반복적으로 한 화면 안에 담아냄으로써 이미지를 추상화하고,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확신할 수 없게 만든다. 여기에서 마주하는 이미지들은 고요하지만 동시에 불안함을 내포하고 있으며, 섬세하면서도 강한 인상을 지니고 있다. 



사물 04-19, 2004 © 이정진

<사물>(Thing, 2003~07)
<사물> 연작은 오래된 토기항아리, 녹슨 숟가락, 의자 등받이와 같이 일상적인 사물들을 작가의 독특한 시선으로 담고 있다. 크고 흰 한지 위에 부유하는 듯 보이는 흑백의 이미지들은 익숙하게 여겼던 사물들을 낯설고 새롭게 보여준다. 전통 수묵화와 같은 느낌을 전달하는 이 사진들은 여백의 공간 속에서 시간을 초월하는 듯한 단순미를 드러내고 있다. 구체적인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추상적으로 보이는 화면 속 사물들은 사진 속 공간 안에서 일상성을 벗고 자체의 생명력을 발산한다.


바람 07-84, 2004 © 이정진

<바람>(Wind, 2004~07)
<바람>시리즈는 작가가 2004년에서 2007년까지 미국의 뉴멕시코 사막과 한국의 각지를 여행하며 포착한 풍경을 담고 있다. 작가는 숲이나 들판, 혹은 사람의 흔적이 남은 마을에서 그의 감정과 상상력을 흔들어 놓는 장면을 만나게 될 때 셔터를 누른다고 말한다. 작가가 주목하고 있는 것은 지형학적이거나 사실적인 속성이 아닌, 풍경 속에 투영된 장소와 시간을 초월하는 사색과 내면의 표현이다.   



이정진 (1961- ) 

학력
1991 뉴욕대학교 사진과 대학원 졸업
1984 홍익대학교 공예과 도자 전공

주요 개인전
2017 Musee des Beaux-Arts, 《Echo》, 르 로클, 스위스
     Paris Photo, Grand Palais, 《Unnamed Road》, 파리, 프랑스
     Andrew Bae Gallery, 《Everglades/Opening》, 시카고, 미국
     Städtische Galerie Wolfsburg, 《Echo》, 볼프스부르크, 독일
2016 Fotomuseum Winterthur, Retrospective 《Echo》, 빈터투어, 스위스
     Stephan Witschi Gallery, 《Everglades》, 취리히, 스위스
     Camera Obscura Gallery, 《Everglades》, 파리, 프랑스
2015 Howard Greenberg Gallery, 《Works From Everglades And Unnamed Road》, 뉴욕, 미국 
2014 신세계 갤러리, 《Thing》, 서울, 한국 
2013 동강 사진 박물관, 《Thing/Wind》, 영월, 한국
2012 Camera Obscura Gallery, 《Wind/Thing》, 파리, 프랑스
     Stephan Witschi Gallery, 《Thing & Wind》, Zurich
2011 Aperture Gallery, 《Wind by Jungjinlee》, 뉴욕, 미국 
2008 고은 사진 미술관, 《Road to the Wind》, 부산, 한국
     Santa Fe Art Institute, 《WIND》, 산타 페, 미국  
2003 Blue Sky Gallery, 《On Road/Ocean》, 포틀랜드, 미국 
2001 국제 갤러리, 《On Road/Ocean》, 서울, 한국 
1995 Pace Mac Gill Gallery 《Self Portrait》, 뉴욕, 미국

주요 그룹전
2017 Deuxième Biennale des photographes du monde arabe contemporain, 파리, 프랑스
2016 Brooklyn Museum, 《This Place》, 뉴욕, 미국
2015 Norton Museum Of Art, 《Imaging Eden: Everglades》, 플로리다, 미국
     Tel Aviv Museum, 《This Place》, 텔아비브, 이스라엘
     뮤지엄 산, 《하얀울림: 한지의 정서와 현대미술》, 원주, 한국
2014 DOX Centre For Contemporary Art, 《This Place》, 프라하, 체코
2012~13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Moments Measured》, 로스엔젤레스, 미국
2011 Denver Art Museum 《Dirty Pictures》, 덴버, 미국
2010 Museum of New Mexico, 《Case Studies from the Bureau of Contemporary Art》,  
     산타 페, 미국 
2009 Metropolitan Museum of Art, 《Surface Tension》, 뉴욕, 미국
      Houston Museum of Art,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CHAOTIC HARMONY》, 
      휴스턴, 미국
2003 The Contemporary Museum, 《Crossing 2003: Korea/Hawai'i》, 호놀룰루, 미국
     Asian Art Museum, 《Leaning Forward, Looking Back》, 샌프란시스코, 미국
2002 Museum of New Mexico, 《IDEA Photographic after Modernism》, 산타 페, 미국 
1996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Perpetual Mirage: Photography Narratives of the 
      Desert West》, 뉴욕, 미국

수상
2013 동강 사진상, 영월, 한국
2011 Anonymous Was A Woman Awards, 뉴욕, 미국
1990 Photography Award, Camera Club of New York, 뉴욕, 미국

출판
DESERT, Radius Books, 2017, 산타 페, 미국 OPENING, Nazraeli Press, 2017, 파소 로블레스, 미국EVERGLADES, Nazraeli Press, 2017, 파소 로블레스, 미국
ECHO, Fotomuseum Winterthur/Spector Books, 2016, 라이프치히, 독일 UNNAMED ROAD, Mack Publications, 2014, 런던, 영국 WIND, Aperture, 2009, 뉴욕, 미국JUNGJIN LEE, 열화당, 2006, 서울
먼 섬 외딴 집, 열화당, 1988, 서울

주요 소장처
미국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뉴욕),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L.A. County Museum of Art (로스엔젤레스),  Houston Museum of Fine Arts (휴스턴), New Orleans Museum of Art (뉴올리언즈), Museum of Fine Arts (산타 페), J.P.Morgan (뉴욕), Santa Barbara Museum of Art (산타바바라) 
국내 - 국립현대미술관, 선재미술관, 한미사진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3월 9일(금) 오후 2시에는 작가를 비롯, 이번 전시의 객원 큐레이터로 참여한 빈터투어 사진미술관의 큐레이터 토마스 시리그(Thomas Seelig)와 함께 작가의 작품 세계를 좀 더 섬세하게 살펴볼 수 있는 연계 프로그램 <큐레이터 토크>가 진행된다. 

이스라엘 프로젝트 ‘This Place’는 2011년 '유태인의 삶'을 기록해 온 프랑스의 세계적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프레데릭 브레너가 기획한 국제 사진 프로젝트이다. 브레너는 세계적인 사진작가 12명을 초청하여 이스라엘의 땅과 현실을 생생하게 담을 기회를 제공하였고, 각 작가들은 이스라엘을 여행하며 분쟁지역에서 발견되는 균열과 모순을 각기 다른 시선으로 기록했다. 

프로젝트에는 컬러 사진의 거장인 미국의 스테판 쇼어(Stephen Shore, 1947- ), 도시와 가족 초상화로 독일 현대사진을 대표하는 토마스 슈트루스(Thomas Struth, 1954- ), 매그넘 소속이며 체코가 낳은 세계적인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조세프 쿠델카(Josef Koudelka, 1938- ), 일상에서 유머와 사회적인 시각을 포착해내는 슬로바키아의 마틴 콜러(Martin Kollar, 1971- ), 라이트 박스를 이용해 새로운 사진세계를 열어온 캐나다의 제프 월(Jeff Wall, 1946- ), 매그넘 작가로 냉전과 민족 간의 대립을 날카로운 눈으로 담아온 프랑스의 다큐멘터리 작가 질 페레스(Gilles Peress, 1946- ), 40여 년간 전 세계를 여행하며 쉼 없이 작업하는 미국 사진계의 노장 로잘린드 솔로몬(Rosalind Solomon, 1930- ) 등이 함께 했다. 참여 작가는 프레데릭 브레너와 프로젝트의 큐레이팅 컨설턴트인 제프 로젠하임(Jeff Rosenheim)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사진부문 수석 큐레이터에 의해 선정되었다. 본 프로젝트는 2014년 체코의 DOX 현대미술센터, 2015년 이스라엘의 텔아비브 미술관, 2016년 미국의 브루클린 미술관 등 세계 각지의 미술관에서 대규모의 전시로 발표되었다. 

토마스 시리그(1964~, 쾰른)는 Fachhochschule Bielefeld에서 시각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고 네덜란드 얀 반 아이크 아카데미(Jan van Eyck Akademie)에서 큐레이토리얼 과정을 이수하였다. 그는 2003년 빈터투어 사진미술관(Fotomuseum Winterthur)에 큐레이터 겸 컬렉션 큐레이터로 합류하였고, 2013-17년까지 미술관의 디렉터를 겸하였다. 주요 전시로는 “사물의 황홀경 The Ecstasy of Things' (2004), “연구와 발명 Research and Invention' (2007),”가라오케 Karaoke' (2009) , “콘크리트- 건축과 사진 Concrete - Architecture and Photography' (2013), 'The Hobbyist (2017)” 등의 기획전과 세르게이 브라트코프(Sergey Bratkov), 제임스 웰링(James Welling), 얀 민가드(Yann Mingard), 오노라토 & 크레브스(Onorato & Krebs)의 개인전이 있다. 최근에는 빈터투어 미술관에서 선보이는 혁신적인 전시 https://www.fotomuseum.ch/en/explore/situations을 통해 전시의 새로운 형식을 시도하고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