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고 박생광_대안동 216번지에서
내고 박생광(1904~1985)은 경남 진주 망경동 15번지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박기준은 동학교도로 농민항쟁이 실패하자 진주로 박해를 피해 정착하였고, 박생광은 망경동 강가 움막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학창시절을 진주에서 보냈다.
1920년 17세의 나이에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해방될 때까지 그 곳에서 작품 활동을 했으며 광복과 함께 귀국하였다.
2004년 박생광 화백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 행사들이 이영미술관과 국립현대미술관등을 비롯하여 현대화랑, 부산시립미술관, 경남도립미술관, 진주문화예술회관 등 여러 전시장에서 개최되었다. 하지만 15년이 지난 지금은 언제 그랬는지, 박생광은 우리 곁에서 잊혀져 가고 있었다. 이곳 진주에서 만큼은 그의 예술혼과 그가 표현하는 민족혼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100주년이 15년 지난 이즈음에 그를 다시 만나고자 한다. 개천예술제와 유등 축제가 한창인 2018년 10월 박생광을 만날 준비를 시작하였다. 개천예술제는 박생광을 비롯한 설창수, 오제봉, 조영제, 홍영표 등 진주지역의 예술인이 힘을 모아 시작된 영남예술제가 그 효시이며, 대한민국 최초의 시민종합예술축제였다. 그렇게 박생광은 사람들을 모았고 진주를 사랑했으며 사람을 중하게 여겼던 인사였다. 그래서 그를 중심으로 자신이 운영하던 “대안동 216번지” 청동다방으로 예술인들이 하나 둘 모였고 그 모인 예술가들은 문화건설대라는 조직으로 광복이후 올바른 민족사관의 수립에 기여하여 민족의 문화발전에 이바지하고자 다방에서 세월을 보내지 않고 20년을 한 결 같이 이 예술제를 발전시켜 나갔다. 전국을 돌아다니며 영남예술제(개천예술제)를 홍보하였고, 제주도를 비롯해 전국 팔도에서 10월이면 진주로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또한 그 결과로 박생광의 작품에서 제주도 풍경이 많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의 소장품을 대여하였고, 개인소장가의 작품도 다수 출품되었다. 그 중 박생광의 말년의 작품인 채색화는 국립현대미술관과 부산시립미술관의 소장품이 전시되었다. 채색화 중에서 가장 그 뛰어난 시기의 작품인 1982~83년의 작품인 무녀와 제황은 박생광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작품들이며, 특히 진주 지역의 교육기관에서 소장해온 ‘동해일출’ ‘의랑순국지도’ ‘녹담만설’은 박생광의 초기 수묵화의 진면목을 감상할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
특히 경남과학기술대학의 소장품 ‘동해일출’은 비단에 그려진 수묵채색으로 남해 금산에서 바라본 동해 일출의 인상을 박생광이 마음먹고 그려낸 보기 어려운 대작이다.
박생광은 진주사람이며 진주에 대한 애정을 작품으로 많이 남겼다. 촉석루, 북장대, 서장대, 진주뒤비리, 비봉산, 진주팔경 등의 작품이 그런 작품들이다. 그리고 그는 진주로 돌아와 미천면 오방리에 잠들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