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병종: 송화분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가나아트는 전통과 현대를 오가는 작업을 통해 한국화 화단에 새로운 모형을 제시해 온 김병종 화백의 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2018년에 서울대학교 동양화 교수직에서 정년 퇴임한 후, 전업 작가의 길에 들어선 이래 처음 열리는 개인전이다. 그동안 작가는 <생명의 노래>, <바보 예수> 연작을 통해 서구적인 소재를 한국적으로 재해석하는 실험적인 작업을 선보인 바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송화분분>의 연작 중에서도 근래에 제작된 신작들이 공개된다. 

“분분히 날리는 송화가루를 볼 때면 정신마저 아득해지는 때가 있다. 그 아득함을 그려낼 수 있을까, 문득 그런 생각을 해보게 된다. 그와 함께 옛날에 들었던 “혼불” 얘기가 떠오르곤 한다. 혼불이 떠간다는 것은 동시에 육(肉)의 소멸을 이르는 것이기도 하리라. 육성(肉性)은 땅에 남겨지고 영혼은 그 육(肉)의 거푸집을 빠져나와 그야말로 유천희해(遊天戱海) 하 듯 자유롭게 떠 가는 것일터. .”        
                                                 -2018. 2. 김병종




작가는 따뜻한 춘삼월, 봄날이 되면 흩날리는 송홧가루를 화폭에 그대로 담아냈다. 김병종에게 송홧가루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시작을 뜻하면서도 끝을 뜻한다. 또한 ‘근원’을 의미함과 동시에 세상에 남아있는 ‘넋’을 상징하기도 한다. 즉, 작가는 바람에 흩날리는 송홧가루를 새로운 시작을 품은 ‘씨앗’이라는 근원에, 그리고 명을 다해 바람에 따라 세상을 떠도는 넋에 비유한 것이다. 오는 3월 가나아트의 전시장에는 그가 그린 봄날의 송홧가루로 가득 메어진다. 이번 전시는 닥종이 위에 흩뿌려진 송홧가루와 물감의 마티에르, 더불어 김병종만의 특유의 소박한 형상들의 조화와 그 안에 담긴 이야기를 경험할 수 있는 좋은 자리가 될 것이다. 


1. 경계 허물기
본 전시에 중점적으로 전시되는 <송화분분> 연작은 <생명의 노래> 작업의 연장선이다. 그의 초기 연작에서도 등장하는 ‘닥종이와 먹’이라는 전통적인 매체는 <송화분분>연작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여기에 추가로, 그는 실제 송홧가루를 작업의 재료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김병종의 작업은 오로지 전통만을 강조하는 한국화 혹은 서구권에 영향을 그대로 흡수한 여타의 작품들과 분명하게 구별된다. 장 디뷔페(Jean Dubuffet, 1901-1985)를 연상시키는 두터운 마티에르(matière)와 그가 사용한 아크릴 물감은 한국화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지만, 학, 소나무, 말, 닭, 연꽃과 같은 우리에게 익숙한 한국적인 소재들과 전통의 오방색은 그의 작품을 다시 한국화의 맥을 잇게 한다. 매체 간의 경계를 지우고, 한국의 정서를 작업에 담아 냄으로써, 작업의 영역을 확장한 것이다. 

최근 김병종은 구상의 형상이 있던 기존에 작업을 발전시킨 전면 추상을 새롭게 전개했다. 작가는 어린아이와 꽃과 같은 소박한 형상들이 완전히 제거하고 오로지 물성만이 남은 화면을 완성했다. 그러나 색점으로만 구성되는 화면에는 실제 ‘송홧가루’가 원형의 이미지로 구현된 것으로, 이는 한편으로, 형상의 재현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또한 작가는 전통적인 산수를 배경으로 화면 가득히 채워 넣은 <춘산>(2018), <추산>(2018) 작업을 처음 선보이기도 했는데, 이 작업들은 역시 가까이에서 보면 산의 형상이 뚜렷하지만 한 발자국 물러나면 선과 점으로만 남는다. 이렇듯 김병종은 재현적이면서도 비재현적인, 추상과 구상을 넘나드는 다각적인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2. 해학의 미
작가의 초기 연작 <바보 예수>는 ‘예수 그리스도’라는 성상을 한국적인 시각으로 변용한 작업이다. 김병종은 오로지 먹선으로만 ‘예수’의 형상을 완성하였는데, 이와 같은 그의 작업이 단순히 전통 재료를 통해 구현되었다는 점에서 ‘한국적인 것’만은 아니다. <바보 예수>에서 작가는 대담한 필선과 농담을 활용한 수묵기법으로 형상을 구현함과 동시에 전통적인 한국의 멋인 ‘풍자’와 ‘해학의 미’를 보여주고 있다. 서구권에서 묘사되는 예수는 주로 성스럽거나, 혹은 스스로를 희생하는 고통스러운 형상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김병종의 ‘예수’는 이와 다르다. 작가는 예수를 어린아이와 같이 천진난만하게, 어리숙하게 표현하였다. 심지어 형상은 뚜렷하게 묘사되지도 않았으며, 일필휘지로 한번에 그려졌다. 작가는 바보 예수를 우리 전통의 풍자화와 같이 희화화 함으로써, 우리의 정서를 드러낸 것이다. 

이처럼 작가는 한국적인 것, 전통의 미를 작업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게 한 개성 있는 작업을 이어왔다. <생명의 노래> 연작에서도 해학적인 아름다움은 여백을 활용하는 공간 구성, 소재들의 자유로운 배치 그리고 어린 아이가 그린 듯한 꾸밈없는 외형 등, 화면 곳곳에서 나타난다.  

“어렸을 적 아름드리 노송(老松)이 많은 마을에서 자랐다. 그 소나무 아래 누우면 쏴아, 하고 지나가는 맑은 솔바람 소리도 서늘했지만 무엇보다 봄이면 노랗게 지나가는 송화가루가 황홀했다. 어디로부터와서 어디로 가는지 모르는 그 몽환적 노란색의 이동이라니.” 
2018. 2. 김병종

소박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김병종의 회화에는 우리의 정서가 담겨있고, 우리의 삶이 담겨있다. 이번 전시 <송화분분>은 작가가 자신의 삶 가까이에 있는 한국적인 것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작품과 이전의 작업에서 확장된 새로운 연작을 감상할 수 있는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이다. 
 

Ⅲ. 작가 약력

김병종 金炳宗 b. 1953

주요 개인전
2018 서울대학교미술관, 서울
2018 오스갤러리, 완주
2015 금일미술관, 베이징
2014 전북도립미술관, 전북
2013 갤러리 현대, 서울
2012 갤러리 HO, 뉴욕
2006 갤러리 Andrew shire, L.A
2005 갤러리 현대, 서울
2004 가나아트센터, 서울
1999 가나아트센터, 서울
1997 갤러리 몽뜨니, 파리
1996 갤러리 가나보부르, 파리
1996 갤러리 파스칼폴라, 브뤼셀
1995 선미술상 수상기념전, 선화랑, 서울 
1994 가나화랑, 서울
1993 구아르드니 미술관, 베를린
1990 미술기자상 수상 기념전, 동산방화랑, 서울 
1989 기욜미술관, 헝가리
1989 베즈티투르갤러리, 크라크로우, 폴란드
1989 로호 갤러리, 베를린
1986 HOT갤러리, 오사카


비엔날레
베이징 비엔나레, 베이징, 중국
광주 비엔날레, 광주, 한국
방글라데시 비엔날레, 다카, 방글라데시 外




주요 수상
2019 자랑스런 전북인상 
2018 허백련 미술상
2018 녹조근정훈장
2014 대한민국문화훈장
2004 대한민국기독교미술상
1997 기독문화대상
1995 선미술상
1991 한국미술작가상
1989 미술기자상
1981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작품 소장
대영박물관, 런던
로얄 온타리오 뮤지엄, 온타리오주, 캐나다
청와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서울대학교미술관, 서울
한양대학교박물관, 서울
올림픽회관, 서울
한솔미술관, 서울
호암미술관, 용인
울산지방법원, 울산
수원지방법원, 수원
세종문화회관, 대극장무대면막, 서울
국립국악원, 소극장무대면막, 서울 
영등포문화예술회관, 무대면막, 서울 
주 브뤼셀, 주 벨기에,
주 핀란드, 주 중국, 주 베트남 등 한국재외공관
청와대, 서울外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