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올해의 작가상 2019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2019》개최

 ◇ 국립현대미술관과 SBS문화재단 공동주최 대한민국 대표 미술상
   - 홍영인, 박혜수, 이주요, 김아영 4인의 신작 약 20여 점 최초 공개 
   - 설치, 미디어, 퍼포먼스, 영상 등 실험적 매체로 동시대 한국미술의 맥 짚어
   - 10월 12일(토)부터 2020년 3월 1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11월 28일(목) ‘2019 올해의 작가’ 최종 1인 선정 및 시상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SBS문화재단과 공동으로 주최하는 《올해의 작가상 2019》를 10월 12일(토)부터 2020년 3월 1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개최한다. 

8회를 맞는《올해의 작가상》은 한국 현대미술의 가능성과 창의적 역량을 보여주는 작가들을 발굴․지원하기 위해 2012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과 SBS문화재단이 공동 주최하고 있다. 그간 대한민국 대표 미술상으로서 동시대 현대미술의 새로운 방향과 담론을 만들고 미래 비전을 제시해왔다. 

2019년도《올해의 작가상》은 국내․외 미술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심사를 통해 지난 3월 홍영인, 박혜수, 이주요, 김아영을 선정했다. 공통적으로 회화나 조각 같은 전통적인 매체보다는 영상, 설치, 미디어, 퍼포먼스, 현장 제작 등 실험적인 형식과 주제의 작업을 통해 국내․외 미술계에서 주목을 받아온 작가들이다. 총 20여 점의 신작이 이번 전시에서 최초 공개된다. 

작가들은 한국 사회에 내재된 개인과 사회에 관한 이슈 또는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들에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 특히 이번 전시는 참여 작가들이 전시장 안에서 퍼포먼스, 토론, 설문, 공연, 온라인 중계 등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작업의 내용과 경계를 확장하고 관람객들에게 입체적인 방식으로 현대미술을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홍영인은 ‘동등성’개념을 퍼포먼스, 드로잉, 자수, 사운드 등의 다양한 매체의 작품에 접목해왔다. 이번 신작은 전 세계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극단적인 국가주의와 사회적 불평등 상황에서 이전과는 다른 소통방식에 주목했다. 인간과 다른 소통방식을 가진 동물들, 특히‘새’에 대한 탐구를 기본으로 <사당 B>라는 주제로 크게 세 개의 파트로 구성되는 신작을 선보인다. <새의 초상을 그리려면>은 사운드를 포함한 대형 설치 작품으로 전시장에 거대한 구조물로 구현된 새장의 안과 밖, 즉 관람객과 새의 위치를 뒤바꾼다. 이 이분법적인 공간을 오가는 것은 오직 새의 소리뿐이며, 끊임없이 두 공간을 연결한다. 전시장 외부에서 진행되는 퍼포먼스인 <비-분열증>은 여성의 저임금노동에서 파생된 몸짓과 동물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얻은 모티브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하얀 가면>은 런던의 클럽 이네갈(Club Inégales)과 협업하여 즉흥연주를 통해‘동물되기’를 모색하는 영상, 사운드 작업이다.

MMCA_올해의 작가상 2019_홍영인


박혜수의 작품은‘당신의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그동안작가는 우리 사회에 내재된 집단적 무의식 또는 보편적 인식이라고 여기는 가치들을 가시화하는 작업을 지속해 왔다. 이번 신작을 위해 진행한 설문조사 <당신의 우리는 누구인가>를 통해‘우리’에 대한 개개인의 인식을 말하고자 한다. 작가는 표본집단을 구성하여 전문가와 협업을 통해 설문과 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 영상, 구조물, 다이어그램, 설치작업으로 시각화한다. 또한 전시장에 구현된 가변적인 토론 공간에서는‘토론 극장’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곳에서 관람객들은 작품의 참여자로서 보다 능동적으로 전시와 작품에 참여한다. 이 외에도 <퍼팩트 패밀리>, <노 미들 그라운드>(No Middle Ground) 등 가족의 해체, 양극화, 고독사 등 한국 사회에서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사회 현상과 문제들을 직시하는 다양한 작품을 보여준다. 

MMCA_올해의 작가상 2019_박혜수


이주요는 가변적, 일상적인 재료의 조합을 통해 사회와 그 주변부에 존재하는 것들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작업을 해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향후 작가가 실제로 구현하고자 하는 미술관의 창고 시스템에 대한 견본모델인 <러브 유어 디포>(Love Your Depot)를 선보인다. 작품창고, 랩(방송국, 미디어랩, 5층 타워), 컨텐츠연구소 “팀 디포”(Team Depot)로 구성되며, 전시장에 보관되는 작품들은 전시기간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는 동시에, 현장에서 생성된 다양한 컨텐츠를 온라인으로 송출한다. 작가가 고안한 곳은 작품보관 창고이자 창작과 공연이 가능한 새로운 공간이 되어 작품의 소멸을 유예시키고 작품 스스로 생명을 연장시키는 창의적인 제안이다. 

MMCA_올해의 작가상 2019_이주요


김아영은 최근작들을 통해 전 지구적 차원에서 벌어지는 이주, 이송, 도항과 가로지르기, 초국가성과 지역성에 대한 관심과 탐구를 보여 왔다. 이번 신작 중 가장 중심이 되는 영상작업은 <다공성 계곡: 이동식 구멍들>(2017)의 후속작 <다공성 계곡 2: 트릭스터 플롯>(2019)이다. 작가적 관심을 아시아 지역, 특히 몽골에 집중하여 바위와 대지신앙으로 대표되는 몽골의 설화와 접목시킨다. 또한 최근까지도 이슈가 되고 있는 제주도 예멘 난민의 이주와 이들의 존재방식을 지질학적인 사례와 중첩시켜 이주 여정을 다양한 층위로 풀어낸다. 이를 통해 작가는 역사와 현재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차원의 질문을 던진다. 

MMCA_올해의 작가상 2019_김아영


《올해의 작가상 2019》 최종 수상자는 오는 11월 28일(목)에 마지막 심사를 거쳐 발표될 예정이다. 최종 수상 작가는‘2019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고 상금 1,000만원을 추가로 지원받는다. 또한 후원 작가 및 최종 수상자의 작품세계를 조망하는 현대미술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어 SBS 지상파와 케이블 채널을 통해 방영될 예정이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8회를 맞은 <올해의 작가상>은 역량을 갖춘 현대미술 작가의 독창적인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동시대 한국 미술의 새로운 방향성을 소개해왔다”며, “국립현대미술관은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국제무대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후원을 뒷받침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립현대미술관과 SBS 문화재단은  역대 ‘올해의 작가상’ 후원 작가의 지속적 활동을 위해 작가들의 해외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올해의 작가상 해외활동기금'을 운영하고 있다. 2018년도‘올해의 작가상’수상자인 정은영 작가의 2019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전시와 더불어 2012년도 수상자 문경원·전준호 작가의 테이트 리버풀 개인전(2018년), 2016년도 수상자 믹스 라이스의 퐁피두 센터 그룹전(2017년) 등이 모두 올해의 작가상 해외활동기금으로 진행되었다. 

자세한 정보는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mmca.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일반인 전화문의: 02-3701-950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대표번호)

<올해의 작가상 2019> 후원 작가 특전

전시 작가 4인
ㅇ <올해의 작가상 2019> 전시 참여
ㅇ SBS 문화재단 후원금(각 4,000만원)
ㅇ 전시도록, 홍보영상 제작 
ㅇ SBS 현대미술 다큐멘터리 제작·방영 

최종 수상작가 1인
ㅇ ‘2019 올해의 작가’로 선정·공표
ㅇ SBS 문화재단 추가 후원금(1,000만원) 

※ 해외활동기금(Korea Artist Prize Promotion Fund) 
 - 심사대상: 역대 SBS문화재단 후원 작가들의 향후 4년 내 실행 예정 해외 프로젝트
 - 심사기준: 주최 기관의 영향력 및 지원 프로젝트의 가능성으로 판단
 - 작가특전: 주요 해외 프로젝트를 심사하여 작가 당 최대 2천만 원의 작품 제작지원금 후원

<올해의 작가상> 역대 후원 및 수상 작가

ㅇ 올해의 작가상 2012(MMCA 과천)
문경원·전준호(2012 올해의 작가), 김홍석, 이수경, 임민욱

ㅇ 올해의 작가상 2013(MMCA 과천)
공성훈(2013 올해의 작가), 신미경, 조해준, 함양아

ㅇ 올해의 작가상 2014(MMCA 과천)
노순택(2014 올해의 작가), 구동희, 김신일, 장지아

ㅇ 올해의 작가상 2015(MMCA 서울)
오인환(2015 올해의 작가), 김기라, 나현, 하태범

ㅇ 올해의 작가상 2016(MMCA 서울)
믹스라이스(2016 올해의 작가), 김을, 백승우, 함경아

ㅇ 올해의 작가상 2017(MMCA 서울)
송상희(2017 올해의 작가), 박경근, 백현진, 써니킴

ㅇ 올해의 작가상 2018(MMCA 서울)
정은영(2018 올해의 작가), 구민자, 정재호, 옥인콜렉티브

* 올해의 작가상 공식 홈페이지: http://koreaartistprize.org

■ 전시개요
  - 전 시 명: (국문) 《올해의 작가상 2019》
             (영문) 《Korea Artist Prize 2019》
  - 전시기간: 2019. 10. 12.(토) ~ 2020. 3. 1.(일)  
  - 전시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2전시실
  - 참여작가: 홍영인, 박혜수, 이주요, 김아영
  - 출 품 작: 설치, 영상, 미디어, 퍼포먼스 등 
  - 주    최: 국립현대미술관, SBS 문화재단


1. 홍영인



홍영인(1972~)은 최근까지 영국을 본거지로 하여 유럽과 한국을 오가며 다양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광주비엔날레(2014)와 런던 ICA(fig-2, 2015) 등에서의 전시와 공연,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폭 넓은 작품활동을 이어왔다. 작가는 ‘동등성’ 이라는 주제와 개념이 어떤 방식으로 미술로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해 설치, 퍼포먼스, 드로잉, 자수, 사운드 등 다양한 매체의 작품을 통해 지속적으로 질문해 왔다. 




홍영인은 지난 몇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더욱 극대화되어 가는 국가주의와 사회적 불평등의 일반화 현상을 바라보면서, 기존과 다른 소통 방식의 가능성이 긴급하다고 여기게 되었다. 작가는 인간과는 완전히 다른 소통 방식을 가진 동물들에 관심을 두고 특히 ‘새’에 대한 탐구를 이번 신작에 반영하였다. <사당 B>는 전시장 입구에 설치되어 인간과 동물의 위계에 대해 질문하는 <새의 초상을 그리려면>과 클럽 이네갈(Club Inégales)과 협업하여 즉흥연주를 통해 ‘동물되기’를 모색하는 <하얀 가면>, 그리고 전시장 외부 공용 공간에서 진행되는 여성의 저임금 노동을 표현하는 그룹 퍼포먼스  <비-분열증>을 포함한 세 개의 신작으로 이루어졌다. 각 작품은 동물과 인간, 이성과 본능 같은 이분법적 대립과 모순을 넘어서는 각기 다른 의식(ritual)으로서 표현된다. 이 세 작품들은 비주류 역사의 잊혀진 시-공간을 재방문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1972년 출생

[학력]
2012 런던 골드스미스 컬리지 아트 박사
2000 런던 골드스미스 컬리지 순수미술 석사
1998 서울대학교 조소과 석사
1996 서울대학교 조소과 학사

[주요 개인전]
2018 <The Moon’s Trick>, 에시터 피닉스, 엑시터, 영국
2017 <The Moon’s Trick>, 주영한국문화원, 런던, 영국
2016 <A Fire that Never Dies>, 시실리아 힐스트롬 갤러리, 스톡홀름, 스웨덴
2015 <홍영인 6/50>, Fig-2, ICA 스튜디오 및 극장, 런던, 영국
2014 <익명의 이미지>, 아트선재 배너프로젝트, 서울


2. 박혜수



박혜수(1974~ )는 최근까지 <Nowhere Man>, <Now Here is Nowhere>, <보통의 정의>, <당신이 버린 꿈> 등의 전시를 통해 우리 사회와 집단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와 무의식에 대해 물음을 던지면서 나아가 개인의 기억과 삶의 가치를 가시화하는 작업을 보여주었다. 박혜수는 이러한 인식과 무형의 가치들을 시각화하기 위해 우리를 둘러싼 환경들을 관찰하고, 촘촘한 조사와 채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필요에 따라 전문가들과 협업한 결과물들을 작품으로 귀결시킨다. 



이번 박혜수의 신작은 ‘당신의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이 질문은 개인들이 생각하는 ‘우리’에 대한 정의와 범주 즉, 이들이 갖는 집단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게 한다. 작가는 실질적인 작업에 앞서 ‘우리’에 대한 인식을 주제로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한 전문가의 분석과 작가적 해석이 반영된 작품을 만들어 냈다. 전시장의 중심에 구현된 설치작품이자 가변적 토론공간에서는 작가와 다양한 협업자들에 의해 <토론 극장 : 우리_들>이 진행된다. 이곳에서 관람객들은 작품의 참여자이자 퍼포머로서 역할이 확장되고 변이되면서 보다 능동적으로 전시와 작품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박혜수는 가상으로 설립한 휴먼 렌탈 주식회사인 <퍼팩트 패밀리>를 통해 현대 사회 속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족의 해체 문제를 다룬다. <No Middle Ground>에서는 사회의 양극화 현상을 짚어내며, <후손들에게>는 고독사와 가족 관계의 붕괴를 영상으로 담아낸다. 이런 그의 작업들은 한국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사회적 현상과 부조리를 직시하게 한다. 

1974년 출생 

[학력]
2000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조소과
1997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주요 개인전]
2018 <Community Praform-책방그림>, 신흥창작소 갤러리, 성남
2017 <Nowhere Man>, 디스위켄룸, 서울, 신흥창작소 갤러리, 성남
     <Goodbye to Love>, Chapter II Gallery,  서울
2016 <Now Here is Nowhere>,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2013 <보통의 정의>,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2012 <당신이 버린 꿈>, 플래툰 쿤스트 할레, 서울

3. 이주요



이주요(1971~)는 대표작 <나이트 스튜디오>, <Two>, <Commonly Newcomer> 등의 작업을 통해 가변적이고, 임시적인 그리고 견고하지 않은 일상 재료들의 심리적, 물리적 조합들로 사적인 경계와 공적인 경계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사회와 그 주변부에 존재하는 것들에 가치를 담는 작업을 해왔다. 작가는 국내외를 오가며 전시뿐만 아니라, 공연, 출판 등 폭 넓은 행보를 보이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다.



이주요는 이번 전시에서 향후 작가가 실제로 구현하고자 하는 창고 시스템에 대한 제안이자, 하나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이 되는 신작 <Love Your Depot>를 선보인다. 전시장은 크게 작품창고, 랩(Lab), 그리고 팀 디포(Team depot)로 불리는 컨텐츠 연구소로 구성된다. 이곳에는 이주요의 작품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이 보관되는데 이것은 전시기간 동안 전시장에 상주하는 참여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고 기록된다. 동시에 현장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온라인으로 송출할 수 있는 플랫폼이 운영되면서 살아있는 커뮤니케이션 허브(hub)가 구축된다. 이로써 전시장은 작품보관 창고이자 다양한 창작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공간으로 거듭난다. 비평가 찰스 에셔가 이주요의 작업에 대해 “미술적 시스템에 전적으로 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는 조건을 짓는다” 라고 표현한 바 있는 것처럼 작가가 이번 전시를 위해 고안한 이 실험적 시스템은 ‘예술가에 의해 창작된 작품의 소멸을 유예시키고, 예술의 공유를 위한 방식’을 찾아가는 대안적인 제안이다.

1971년 출생

[학력]
영국 런던 첼시 컬리지 순수미술과 석사
미국 펜실베니아대학 순수미술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서양화과

[주요 개인전]
2017 <Barbed>, Wilkinson Gallery, 런던, 영국
2015 <Of Pictures>, Sophie’s Tree, 뉴욕, 미국
      <Dear My Love>, Ursula Walbrol Gallery, 독일, 뒤셀도르프
2014 <Commonly Newcomer>, 퀸즈뮤지움, 뉴욕, 미국
      <Jewyo Rhii>, Wilkinson Gallery, 런던, 영국
2013 <나이트 스튜디오>, 아트 선재센터, 서울, 한국
      <Wall To Talk To>, MMK, 프랑크프루트, 독일
      <Wall To Talk To>, 반아벤 뮤지움, 아인트호벤, 네덜란드


4. 김아영



김아영(1979~)은 베니스 비엔날레(2015)와 팔래 드 도쿄(2016) 개인전 등을 통해 한국 근현대사와 석유 정치학, 영토 제국주의, 자본과 정보의 이동 등 동시대적인 이슈들을 담은 영상, 퍼포먼스, 설치 등의 작업을 지속해왔다. <PH 익스프레스>, <제페트, 그 공중정원의 고래 기름을 드립니다, 쉘> 등의 작업에서 작가는 사실과 허구를 재현하고, 시공간이 교차하거나 재구성되는 강력하고 중첩적인 내러티브에 다층적인 시각적 요소들을 집적시키는 독특한 방식의 작업들을 선보였다. 



김아영의 이번 신작 중 가장 중심이 되는 영상작업은 <다공성 계곡: 이동식 구멍들>(2017)의 후속작인 <다공성 계곡 2: 트릭스터 플롯>이다. 이는 전작에서 보여준 ‘페트라 제네트릭스’라는 광물이자 데이터 클러스터가 이주하는 여정의 연장선상에서, 난민과 데이터의 이주를 다양한 층위로 중첩시켜 픽션으로 풀어낸 작업이다. 김아영은 최근작들을 통해 전 지구적 차원에서 벌어지는 이주, 이송, 도항에 대한 관심과 탐구를 지속하여 왔다. 이번 신작에서는 이러한 관심을 아시아 지역 특히, 몽골로 확장시켜 바위와 대지신앙으로 대표되는 몽골의 유사 설화와 접목시킨다. 여기에 제주 예멘 난민의 이주와 이들의 존재 방식을 지질학적인 레퍼런스와 중첩시키면서 사변적 픽션의 형태로 보여준다. 끊임없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대륙 내부의 지각 판과 그것과는 대조적으로 수많은 단단한 경계들로 가로막힌 대륙의 표면, 그리고 이 대륙의 내부와 외부를 이동하는 실제와 가상의 에이전트들은 때때로 그 경계 앞에서 저지되고 또 허용된다. 작가는 이 같은 복잡다단한 관계들의 공존을 보여줌으로써 역사와 현재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차원의 질문을 던진다. 

1979년 출생

[학력]
2010 첼시 컬리지 오브 아트 MA 순수미술학과
2007 런던 컬리지 오브 커뮤니케이션 BA 사진학과
2002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시각디자인학과

[주요 전시]
2018 <다공성 계곡>, 일민미술관, 서울, 한국
2017 <이 배가 우리를 지켜주리라>, (멜버른 페스티발 일환), 콜링우드 아트 프리신트, 멜버른 호주
2016 <이 배가 우리를 지켜주리라>, 팔레 드 도쿄, 파리, 프랑스
2015 <네페트, 그 공중정원의 고래기름을 드립니다, 쉘2>(공연), 박스 씨어터, 문래예술공장, 서울, 한국





2019 올해의작가상 심사위원 소개

<2차심사>
윤범모(1951) 
2019.2 ~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장(당연직)
[주요 경력]
전 동국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전 가천대 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2017-18 창원조각비엔날레 총감독
2016-17 경주세계문화엑스포 예술총감독
2013-14 광주비엔날레 특별프로젝트 책임큐레이터
2011-15 한국큐레이터협회 회장
1993-99 한국근대미술사학회 회장


<1차심사>
바르토메우 마리(1966) Bartomeo Mari
전 국립현대미술관장(당연직)
[주요 경력]
2019~현재  페루 리마미술관장
2015~2018 대한민국 국립현대미술관장
2014~2016 국제근현대미술관위원회(CIMAM) 회장
2008~2015 스페인 국립현대미술관(MACBA) 관장
2004~2008 스페인 국립현대미술관(MACBA) 학예실장
2005 베니스 비엔날레 스페인관 큐레이터
2002 타이베이 비엔날레 큐레이터


더크 수누아르(1963) Dirk Snauwaert
2005-현재  벨기에 뷔일스 현대미술센터 
           (Wiels Contemporary Art Centre) 관장
[주요 경력]
2001-2004 프랑스 리옹 뵐뢰르반 현대미술관 
           (IAC Institut d’Art Contemporain in Villeurbanne/Lyon) 공동 예술감독
1996-2001 뮌헨 쿤스트 베레인 (Munich Kunstverein) 예술감독


히로미 구로사와 (1964) Hiromi Kurosawa
2003-현재 가나자와 21세기 현대 미술관 수석 큐레이터 
[주요 경력]
2012 《Do Ho Suh: Perfect Home》, 가나자와 21세기 현대 미술관2011 《City_net Asia 2011》 공동큐레이터
2008 《Olafur Ellisason: Your Chance Encounter》, 《Hachiya Kazuhiko : OpenSky》, 가나자와 21세기 현대 미술관
2004-05 21세기 현대 미술관 개관전


기혜경 (1964)
2015~현재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운영부장
[주요 경력]
2012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2012》 기획
2010 국립현대미술관 기획전 한중일 삼국의 팝아트 《메이드인 팝 랜드》
201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아트펜스 프로젝트 《정서영의 현대미술의 토끼》
2008 국립현대미술관․아오모리 현립미술관 공동기획 《최영림․무나카타 시코》전 2007 국립현대미술관 기획전 《마리노 마리니 : 기적을 기다리며》 기획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