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정종미 한국화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2021 기억공작소Ⅱ - 정종미展




전시기간 2021. 5. 12. ~ 7. 11.
전 시 명 2021 기억공작소Ⅱ - 정종미展
장 르    한국화


  ■ 전 시 명 : 2021기억공작소Ⅱ 정종미展 - 진혼-‘사미인곡’
  ■ 관람일정 : 2021. 5. 12.(수) ~ 7. 11.(일), 월요일 전시 없음
  ■ 관람시간 : 10:00~13:00, 14:00~17:00, ※ 홈페이지 사전 예약제 운영
※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하여 전시관람 사전예약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홈페이지에서 관람 시간 확인과 사전 예약을 하실 수 있습니다.
  ■ 작가와 만남과 워크숍은 코로나19로 확산방지로 진행하지 않음 
  ■ 장  소 : 봉산문화회관 4전시실(2층)
  ■ 기  획 : 봉산문화회관
  ■ 문  의 : www.bongsanart.org, 053-661-3500
           트위터(@bongsanart), 페이스북(bongsanart), 인스타그램(bongsanart_)



▢ 전시 소개

2021 기억공작소Ⅱ 정종미展

‘기억공작소記憶工作所 A spot of recollections’는 예술을 통하여 무수한 ‘생’의 사건이 축적된 현재, 이곳의 가치를 기억하고 공작하려는 실천의 자리이며, 상상과 그 재생을 통하여 예술의 미래 정서를 주목하려는 미술가의 시도이다. 예술이 한 인간의 삶과 동화되어 생명의 생생한 가치를 노래하는 것이라면, 예술은 또한 그 기억의 보고寶庫이며, 지속적으로 그 기억을 새롭게 공작하는 실천이기도 하다. 그런 이유들로 인하여 예술은 자신이 탄생한 환경의 오래된 가치를 근원적으로 기억하게 되고 그 재생과 공작의 실천을 통하여 환경으로서 다시 기억하게 한다. 예술은 생의 사건을 가치 있게 살아 내려는 기억공작소이다.

전시장에서 작품을 마주하는 순간 어머니의 품과 같은 편안함과 유년시절 어디선가 느꼈던 아련한 기억 속 포근함이 온몸을 감싼다. 우리에게 남아있는 자연성 회복을 일깨워 주는 이 신묘한 분위기는 다름이 아닌 우리 조상들부터 내려오는 DNA의 발현이자 물질에서 느껴지는 회귀의 본능일지도 모른다. 한지에서 나오는 은은함과 자연성이 담긴 색채에서 느끼는 익숙함이 마치 자애로운 모성의 은유적 경험과 같은 평온함을 안겨주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안락함 뒤에는 간과하지 말아야 할 진실이 숨어있다. 드러내지 않은 인고의 삶을 살아온 이 땅의 어머니들 희생이 그런 것이다. 숱한 위기 속에서 우리 민족이 이만큼 성장할 수 있는 큰 원동력이 되었지만, 역사 속에서 여성들은 불합리와 불평등 속에서 소리 없는 희생을 강요당하였고 마모되는 삶에 대한 간절한 슬픔과 숨은 욕망을 참아내며 억척스러운 삶을 살아왔다는 것이다. 강함이 인정받던 시대에 여성성은 주류에 의해 철저하게 짓밟혀지고 인정받지 못하였다는 것은 역사적인 사실로 지금의 시대에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그녀들의 삶이 은은한 색채 뒤에 애착과 연민으로 다가오게 하는 전시이다.

한국 여성성에 바치는 진혼
작가의 여성성에 대한 탐구는 한지에 대한 애정부터 시작된다. 멀리 미국의 종이공방 수련과정에서 전 세계의 재래식 종이를 접하고 연구하면서 한지의 우수성과 한국 여성과의 동질성을 발견하였다고 한다. “나는 닥종이에서 우리 한국 여성의 기질을 발견한다. 종이와 여성은 생태학적인 면에서 기질을 공유하고 있다. 오랫동안 장지위에 그림을 그리면서 종이를 찢고 갈고 바르면서 이 종이가 지닌 기질과 내가 거기에 담고자 하는 여성성이 일치함을 느낀다.”라고 말하며 닥섬유가 가지는 오래가고 질긴 습성과 강인한 근성을 한국 여성의 성정과 결합함으로 단순한 물질적 대상이 아닌 한국적 미감을 발현하는 매개체로 연결을 시켰다. ‘She’, ‘미인도’, ‘보자기 부인’ 그리고 ‘역사 속의 종이부인’ 등으로 변천한 종이부인 시리즈를 통해 작가는 어머니로 대표하는 익명의 여성과 역사와 함께 실존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경외와 숭고의 진혼을 올리는 체현을 한 것이다. 특히, 과거 가부장적 사회 규범 체계 속에 여성들이 규방에 모여 한 단순한 노동으로 치부된 수공예품에서 현재 세계인의 이목을 사로잡는 아름다움으로 재평가된 유일무이한 한국 조각보를 작가는 미학적 차원을 넘은 시공간적으로 재해석하였다. 작가는 “보관이나 혹 전달을 위해 만들어진 보자기, 무엇을 싸고 덮고 모아주는 이 보자기에 여성들은 많은 사랑과 꿈과 그리고 눈물을 쏟았으리라...”라며 아픈 시대를 보듬고 안아왔던 한국 여성을 보자기의 미학을 구체화하며 한국의 미, 한국의 색, 한국 여자 등 어떤 표면적 전형성의 이면에 담긴 여성의 숨은 역사까지 감싸주고 품어주는 ‘보자기’의 의미를 담으려는 노력을 지속한 것이다.

많은 연구와 고찰 그리고 집요함
작가는 대학시절 수묵은 남성적이고 채색은 여성적이라는 이분법적인 분위기 속에서 강한 것을 좋아하는 가부장적 사고에 대한 반감이 있었지만 이런 화두가 오히려 채색 연구의 동기부여가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미국과 일본 등에서 한지와 보자기 미학의 우월성을 취득하며 유교문화, 일제강점기, 맹목적 서구화를 거치며 변질, 왜곡되어 온 고유의 채색기법 재현을 연구하게 된 것이다. 먼저 우리나라 채색의 역사적 계보 추적을 위해 고구려 벽화나 고려불화 그리고 조선시대의 궁중 색채와 민화를 연구하여 폄하된 채색, 사라진 재료를 찾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우리나라 채색에 담긴 오행사상과 불교철학의 뿌리를 발견함으로 일본과 중국과는 다른 상징성과 색채 속에 공간과 시간을 포함한 자연에 대한 해석이 담김을 알아냈다. 또한, 재현을 위한 복잡한 과정을 실현하면서 재료학에 몰두해서 한국적 색채미학과 형식미를 정립하게 된다. 자연주의 안료와 염료를 사용하며 천연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끊임없는 연구는 콩댐기법으로 예를 들 수 있다. 튜브물감에서 찾을 수 없는 자연이 주는 깊이감과 온화한 광택을 찾기 위해 서양의 템페라와 같은 전통방법을 콩댐에서 찾아낸 것이다. 이 외 비단과 모시 꼴라쥬 기법, 다양한 한지의 회화적 염색기법 등 재료가 가진 물성을 조사하는 연구를 지속한다. 작가에게는 천연 석채(돌가루 안료)나 자연 염료와 같은 자연에서 채취한 재료에서 나오는 맑고 깊은 건강한 자연색이 작가의 주된 관심사인 한국의 여성성을 담기에는 아주 적합한 물질일 것이다. “재료가 왜 중요한가 하면 미술이란 것이 물질을 통해 사람의 마음을 전달하는 것이다. 물질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좋은 전달책을 만들지 못한다. 그다음에 작가의 철학이나 가치관을 전달하는 것이다.”라고 말하며, 현대미술이 어떻게 흘러가더라도 작가에게는 ‘물성에 대한 연구로 시간과 공간을 가르는 행위’ 그 자체가 동시대 미술이며 가장 현대적 표현임을 설명하는 것이다. 자연과 여성에 대한 작가의 관심이 이후 어떻게 전개될지 기대해볼 일이다.


봉산문화회관 큐레이터 조동오





조각보를 위한 진혼곡, 67×67cm 49ea, 닥종이, 안료, 염료, 2010
여인, 65×53cm, 닥종이, 천, 염료, 안료,  2017


지화부인, 340×170cm, 닥종이, 실, 염료, 안료,  2018
조각보를 위한 진혼곡, 67×67cm 49ea, 닥종이, 안료, 염료, 2010
사미인곡, 521.2×162.2cm, 닥종이, 천, 염료, 안료, 2010


허난설헌, 194×131cm, 가변설치, 천, 닥종이, 염료, 안료, 2015



▢ 작가노트

오행의 색은 진혼의 색이다. 이 진혼색으로 한 바탕 살풀이를 하려한다. 우주 대자연의 기운과 인간의 그것이 교감하며 모든 매듭과 맺힘이 풀어지고 화해되기를 빈다. 

진혼색은 인공색이 아니라 자연으로부터 얻어진 자연색이다. 자연재를 사용하여 맑고 깊으며 발효되고 절은 듯한 색감으로 한국 여인의 질긴 포용력과 강인한 여성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조각보..진혼곡’ 은 일종의 살풀이 혹은 해한(解恨)의 의미를 담고 있다. 우리의 채색전통은 초상화/영정화나 민화/불화 외에도 규방의 공예인 보자기에서도 나타난다. 그 중 조각보는 한국만이 지닌 독특한 양식의 아름다움과 독특함을 지니고 있으며 여성에 의해 맘껏 피워진 것이다. 한국 여성의 영혼이 담겨진 색채로 상징된 조각보를 통해 모든 자연에 내재된 여성성에 경배를 올리고자 한다. 한지 중에도 가장 얇은 박지(薄紙)를 염색/코팅하고 연결하였다. 한국의 여성사를 이것에 담아보고자 한다. 성황당에 널려 있던 그 오색의 천들처럼 색으로 여성을 찬미하였다. 

상여의 지화는 오색을 사용하여 영혼을 위무하고자 한다. 신윤복의 미인은 지화를 만나 ‘사미인곡’으로 승화되었다. 지화는 한지의 질긴 성격과 염색의 효과를 이용한 민간의 장식인데 많은 삶의 염원이 담겨있다. 여인의 치마는 세계를 향유하는 은밀한 휘장이다. 이것에 의해 세상은 가려지거나 드러나거나 역사는 창조되어 온 것이다. 자연의 염료/안료 그리고 온화한 광택을 만들어주는 콩댐 기법을 중첩시켜 간색의 색면을 만들어 배치하였다. 한국의 샤머니즘적 기원의 색채 의미를 담았다. 가장 원천적 자연성/여성성으로 돌아가 그들을 경축하고자 하였다. 


정종미



▢ 참여작가 프로필

정종미 Jung, Jongmee 鄭鍾美 

대구생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및 동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개인전 25회
2021. 5.   진혼-‘사미인곡’ (봉산문화회관, 대구)
2020. 11.  여성성에 바치는 헌사-Women in Flower (Gallery Paper House, 서울)
2018. 11.  여성성에 바치는 헌사-Budda in Women (Gallery Paper House, 서울)
2017. 3.   전통단청/채화재료의 대체안료/전색제/채색기법 개발연구전 (동덕 갤러리)
2017. 2.   Dedicado a la Feminidad (한국문화원, 마드리드, 스페인)
2015. 2.   산수 & 여성을 위한 진혼 (고려대학교 박물관)
2013. 11.  조각보를 위한 진혼곡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2. 2.   여성성에 바치는 헌사-보자기 부인 (인화랑, 서울)
2009. 8.   역사속의 종이부인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부산)
2009. 2.   역사속의 종이부인 (금호미술관, 서울)

주요 단체전 150회 이상
2020 위대한 서사 - 이인성미술상 20주년 특별전 (대구미술관)
      수묵 신작로 (광주미술관)
      2020여수국제미술제-‘해제,금기어’ (여수엑스포D전시홀/엑스포 아트갤러리)
      The Wind - 난설헌국제교류 10주년 특별전 (강릉 아트센터)
      한국화 100년 특별전 (울산문화예술회관)
2019 갤러리현대의 개관 50주년-한국근현대인물화 (갤러리 현대)
      역단의 풍경-한국화의 뿌리를 찾아서
      Mob 시 (갤러리 롤랑)
      한국 근현대 인물화전 (현대 갤러리)
      청주공예비에날레 (청주)
      제5회 멘토멘티전 (한원미술관)
      한라에서백두까지-3.1운동임시정부수립100주년기념회화(동양화)33인전
2018 바다와 섬 (한국문화원, 중국 상해)
      2018 특별전 ‘신라를 보다’ (경주박물관)
      독도미학 (세종문화회관)
      안평대군 이용 탄생 600주년 기념전 ‘몽유인왕’
      신금강산도 (월전미술관)
      제3회 평화상생 공존전-세계한민족미술대축제
      종가-2018 전남국제 수묵비엔날레
      그림 신여성을 읽다-나혜석<경희>출간100주년기념 근대여성작가 문학그림전
      당대회화 김선두 정종미 2인전 (아트비트 갤러리)
      이중섭 미술상 30년 발자취 전 (조선일보 미술관)
      한일중 현대미술제 삼국미감 (삼탄아트마인)
      친교 : 멘토 멘티전 (월전미술관)
2017 붓다랜드 (월전 미술관)
      장욱진 100주기 미디어파샤드전 (양주 시립 장욱진 미술관)
      2018 평창문화올림픽 아트베너전‘올커넥티드’ (문화체육관광부 평창올림픽)
      2017 풍류남도 아트프로잭트 - 수묵남도
      2017 전남 국제수묵 프레 비엔날레 (목포 노적봉미술관)
      감각의 언어, 몸 (오승우미술관, 무안)
      내가 사랑한 가족 (정부청사갤러리)
      한국의 얼굴 (정부청사갤러리)
      친교 멘토멘티전 (월전미술관)

수상
2012 13회 이인성 미술상    
2001 13회 이중섭 미술상

저서
<우리그림의 색과 칠> 학고재출판사
<KSH 재료기법 활용 매뉴얼> 디자인 달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외 다수의 미술관

현재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교수, 색채연구소장

sosimhun@korea.ac.kr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