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2025 건축가 사진전 : Static Mouvement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25-02-05 ~ 2025-02-24

  • 참여작가

    곽데오도르 김규린 류인근 문희 민현준 박준호 배연수 손진 우대성 유이화 윤경희 이성범 이정훈 이지혜 전이서 전인호 정의엽 조웅희 조한준 최성희 최욱 한만원 황임규

  • 전시 장소

    토포하우스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2-734-7555

  • 홈페이지

    http://www.topohaus.com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건축가 23명의 렌즈로 본 세상, 사진에 담긴 건축가의 감각과 감성 
‘2025 건축가 사진전- Static Movement’ 


한국의 대표 건축가 23명의 사진 작업을 선보이는 《2025 건축가 사진전 –Static Movement》가 서울 종로구 인사동 토포하우스에서 2월 5일(수)부터 2월 24일(월)까지 열린다. 건축 작업의 도구나 결과물을 보여주기 위한 사진이 아닌 순수한 조형적 작업으로서의 사진을 통해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건축가들의 감성과 감각, 그리고 건축가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다. 

창간 2주년을 맞는 문화예술미디어 컬처램프가 토포하우스와 공동 기획했다. 건축 및 건축가와 대중의 간극을 좁히고, 건축과 예술의 융합을 시도하는 ‘컬처램프’(대표기자·발행인 함혜리)는 지난 해 건축가들의 예술적 드로잉 작업을 통해 건축가들의 사유방식을 살펴보는 ‘2024 건축가 드로잉전’(2024.1.24.~2.8)을 개최한 바 있다. 이어지는 기획으로 이번에는 사진이라는 시각예술에 주목한다.  
이번 《2025 건축가 사진전 –Static Movement》전의 참여건축가는 곽데오도르( 떼오하우스 대표), 김규린(G.A.O. 좋은건축사사무소 대표), 류인근 (요앞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희(건축사사무소 이·도 아키텍츠 앤드 파트너스 대표건축사), 민현준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건축사사무소 엠피아트 대표건축가), 박준호 (EAST4 Partners 대표), 배연수 (스페이스반 건축사사무소 대표),손진(이손건축 소장), 우대성 (우연히프로젝트 대표), 유이화 (ITM유이화건축사사무소 대표), 윤경희(여의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이사),이성범 (이성범건축사사무소 대표), 이정훈(조호건축사사무소 대표), 이지혜(실내 건축가), 전이서(전아키텍츠 대표), 전인호 (BDB PLANNER 대표), 정의엽 (에이엔디건축사사무소 대표) 조웅희 (홍익대 건축학부 교수, TCA the concrete abstract 대표), 조한준 (조한준건축사사무소 대표), 최성희(최-페레이라건축 소장), 최욱 (원오원아키텍스 대표), 한만원 (HnSa건축 대표), 황임규 ( 예림종합건축사 사무소 대표건축사) 등이다. 개성이 강하고 의미있는 건축으로 우리가 사는 환경을 조성하는 작업을 하는 이들 23명의 건축가들이 각자 2~4점의 사진 작품을 보여준다. 

전시 주제 ‘Static Movement(정적인 움직임)는 시간과 공간을 다루는 ’역동적인‘ 건축가가 사진이라는 ’정적인‘ 매개체에 어떻게 세상을 담아내는지,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는지를 보여주려는 기획의도를 담고 있다. 정치·경제·사회적으로 혼란스럽고 침체된 분위기에도 건축가들은 자신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Static Movement‘는 ‘정중동(靜中動)’이라는 해석도 가능할 것이다.
건축가에게 사진은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완성된 건축은 사진으로 기록되며 많은 경우 사진은 건축의 최종 결과물로 간주되기도 한다. 건축물을 현장에 직접 가서 볼 수 있는 사람이 소수인반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건축을 사진으로만 접하기 때문에 건축가들은 자신의 작품이 어떻게 사진에 담길지를 고민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사진은 건축의 프로세스를 기록하는 주요수단이기도 하다. 여타 창작분야에 비해 길고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 건축의 특성상 프로세스는 매우 중요한데, 사진은 이 과정을 생생하게 증명하는 간편하고도 강력한 도구이다. 설계이전 구상단계에서 이뤄지는 사이트 답사에서부터 시공 현장까지, 건축가는 이 과정을 사진으로 기록한다. 

건축실무와의 연관성을 떠나서도 사진은 예술적 행위자로서 건축가에게 매우 중요한 자기 표현방식이다. 건축 창작을 ‘물리적 환경을 다루면서, 경험자의 움직임을 통해 지각되고 인식되는 총체적 경험을 조직하는 행위’라고 정의한다면, 건축가는 감각과 지각의 대상에 대해 예민한 ‘각성’을 유지해야 하는 직업이다. 이 각성은 사물과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가’로 시작한다.  

미술비평가이자 사진이론가인 존 버거(John Berger, 1926~2017)는 <다른 방식으로 보기(Ways of Seeing)>에서 “한 이미지는 X라는 사람이 Y라는 대상을 어떻게 보았는지에 대한 기록이 된다”고 했다.

“우리는 흔히 사진을 기계적 기록이라고 생각하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한 장의 사진을 볼 때 우리는 막연하게나마 그 사진이 사진을 찍은 사람의 무한히 많은 시각들 가운데서 특별히 선택된 것이라는 사실을 의식하게 된다” (존 버거, ‘다른 방식으로 보기’ )
《2025 건축가 사진전 –Static Movement》전은 ‘건축가는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했다. 전시에 출품된 사진의 예술성이 어느 정도인지 비교하고 평가하기 보다는 사진을 통해 건축가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혹은 그들의 감성이 사진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이 전시의 주 목적이다. 즉, 건축가들의 렌즈를 통해 보여지는 사물이나 풍경은 어떤지를 참가한 건축가들이 펼쳐 놓은 작품 속에 담긴 감성의 코드를 해석해 보는 것이 이번 전시의 감상 포인트하고 할 수 있다. 건축가들이 다양한 장소와 공간에서 촬영한 사진을 통해 건축 창작의 근원에 보다 가까이 다가가고, 건축가들의 의식적 흐름과 심상을 느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축과 건축가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이해를 돕고, 건축가들에게는 작업의 지평을 넓히며 세대와 지역을 아우르는 소통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전시는 한국건축가협회, 새건축사협의회, 대한건축사협회, 한국여성건축가협회,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가 후원한다.  



조웅희, financial distrct



문희 ,섬광의장소III, Digital Pigment Print_40x60cm_2003




이지혜,스틸 앨리스_Digital Pigment Print_40x60Cm_ 2022




황임규, Architectural Drawing series SSD108




손진, 산마르코 수도원 




김규린, 물의 시간 




최성희, 무제 


  

곽데오도르  떼오하우스 대표 / 공학박사/ KIFBD 설립자 
김규린 G.A.O. 좋은건축사사무소 대표/건축사
류인근 (주)요앞건축사사무소(YOAP architects) 대표
문희 건축사사무소 이·도 아키텍츠 앤드 파트너스 대표건축사
민현준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건축사사무소 엠피아트(MPART) 대표 건축가
박준호 EAST4 Partners 대표 /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겸임교수  
배연수 스페이스반 건축사사무소 대표 / 인하대 건축과 겸임교수
손진   이손건축 소장 
우대성 우연히프로젝트 대표, 건축가/공학박사
유이화 (주)ITM유이화건축사사무소 대표/이타미준 건축문화재단 이사장 / 유동룡미술관 관장
윤경희 (주)여의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이사
이성범 (주)이성범건축사사무소 대표, 삼육대 건축학과 겸임교수
이정훈 조호건축사사무소 대표
이지혜 실내 건축가, 시각 예술가, 사진작가
전이서 (주)전아키텍츠 대표/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 
전인호 BDB PLANNER 대표 / 이화여대 공간인문학 초빙교수
정의엽 AND(에이엔디건축사사무소) 대표 / 건축사
조웅희 TCA the concrete abstract 대표/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조한준  (주)조한준건축사사무소 대표, 삼육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 
최성희 최-페레이라건축 소장  
최욱 원오원아키텍스 대표
한만원  HnSa건축 대표
황임규 (주)예림종합건축사 사무소 대표건축사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