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홍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우민아트센터> 2014 우민젊은기획자 <길들여지는 밤> 전시 안내

이용미



 

2014 우민젊은기획자 <길들여지는 밤>
일 시: 5월 1일 목요일 - 6월 28일 토요일
          오전 10시 - 오후 7시, 매주 일요일 휴관
오프닝 리셉션 및 시상식 : 5월 7일 수요일 오후 5시
참여 작가 : 성왕현, 송유림, 양유연, 이유나+오헬리앙 뒤센, 임지희, 정해련, 황지윤, KKHH

기 획 : 조지현 (아트스페이스 이드 대표)



작가와의 대화


일 시 : 5월 24일 토요일 오후 3시
참여작가 : 송유림

일 시 : 5월 28일 수요일 오후 3시
          매월 마지막주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
참여작가 : 정해련



대 상 : 성인 및 학생, 미술애호가
참가신청 : 15명 선착순으로 모집하며 학예실로 전화 혹은 이메일 신청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프로그램 명 : 그림자 밟기 (전시 감상가이드로 전시 체험)


일 시 : 5월 3일 토요일 - 5월 31일 (매주 토요일 1시간이내, 1일 2회 진행, 주중 감상은 사전 예약 진행)


대 상 : 중고등학생 중심의 단체


참가신청 : 학예실로 전화 혹은 이메일 신청




 



길들여지는 밤

인생의 ‘밤’을 대하는 심리학적 수용론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칠흑같이 어두운 인생의 시련이나 절망의 한가운데 서있다 보면 우리는 이러한 상황이나 고통들이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만 같은 두려움을 느낀다. 이번 전시의 제목이기도 한 <길들여지는 밤>에서의 ‘밤’이란 이렇듯 햇빛이 보이지 않는 하루이자, 일몰부터 일출까지의 시간을 뜻하기도 하지만 관용적으로는 죽음이나 공포, 고통, 불안과 같은 어두운 감정이나 고통스럽고 막막한 상태를 비유적으로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다. 후자의 의미로 생각할 때, 이러한 ‘밤’들은 인간이라면 운명과도 같이 겪어낼 수 밖에 없는 삶의 통과의례이기도 한데 전시는 이러한 ‘밤’으로 상징된 인생의 시련을 맞닥뜨리고 일련의 과정을 거쳐 각자의 삶 안에 수용되기까지의 과정을 ‘밤’에 길들여짐에 비유하여 작가들의 작품 안에 낮게 깔린 ‘밤’의 정서들을 심리학적 방법론으로 접근해 풀어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결코 익숙해지기 쉽지 않을 인생의 ‘밤’들에 길들여 질 수 있을까. 우민아트센터의 2014 우민젊은기획자 공모로 선정된 전시인 <길들여지는 밤>은 이러한 물음에 대한 해답이라 할 수 있다.

성왕현의 작품 안에서 죽은 사람에게 수의를 씌우듯 자본의 논리에 의해 철거되어 방수포로 뒤덮여진 추억의 장소들은 넓고 파란 흐름으로 일렁인다. 작가는 이러한 소중한 대상을 잃어버린 슬픔을 ‘멜랑콜리’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데 애도와 달리 ‘멜랑콜리’는 상실을 인정하지 못한 채 지속적으로 충격의 상태에 머물러 있음으로써 감정적 상실을 거부한다. 이는 그의 작품 <섬>(2012)에서 거대한 물결사이로 고립된 한두 채의 집, 단순한 컬러, 심한 대비 등의 조형 원리 아래 올곧이 드러난다.

송유림은 다분히 우회적인 암시를 통해 정적이며 감성적인 어조로 타인과의 갈등, 불안과 같은 밤의 감정들을 다룬다. 특히 <Family Album>(2014), <Words of Family>(2014)는 지금까지 작가가 집중해왔던 가족이나 유년시절 이야기의 연장 선상으로 이미지를 통해 의미가 확연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작가는 함축적이고 모호한, 분명하게 말 할 수 없는 이야기들을 켜켜이 올려진 색색의 실들로 차분하고 아름답게 화면 안에 수놓는다.

양유연의 작품은 전체 색감에서 느껴지는 무게감과 함께 작가 자신의 삶 연대기에 나타난 개인적 표상일 수도 있는 인물을 화면에 등장시킴으로써 인간이 품고 있는 상처, 우울, 불안을 환기시킨다. 이러한 작가의 어두운 정서는 장지에 머금은 채색만큼이나 넌지시 제시될 뿐이지 곧장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작품을 보면 작가가 무슨 고민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것들을 혐오하는지 알게 된다. 그러면서 여전히 상처받고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며 회피하는 모습으로 화면 속 인물들을 자신에게 투사시킨다. 이는 개인의 자아를 보편적인 대상으로 지각하려는 태도로서 내면으로만 응시하던 시선을 확장시킨다.

이유나+오헬리앙 뒤센은 영상과 조형 설치 작업을 같이 진행하는데, 버려졌던 하나의 오브제를 자르고 벗겨냄으로써 나타나는 형태와 재료 본연의 표면을 그대로 보여준다. 구불구불한 검은색 띠와 같이 공간 안을 그리고 있는 그들의 작업은 이번 전시 주제를 망라하는 ‘밤’ 이미지의 함축이며, 각 단계의 감정 층위를 아우르는 감정 변곡선의 알레고리로 의도하지 않아도 변화하는 감정의 속성을 그들의 일상에서 발견된 재료를 가지고 즉흥적으로 공간에 따라 설치를 달리함으로써 감정의 속살을 우회적으로 드러낸다.

림배지희의 작품 앞에 서면 복잡하게 엉켜진 감정들이 읽혀진다. 이번 전시에서 보여질 <별일 아니다>(2013-2014) 시리즈는 감상자를 단순히 감상하게 하는 것에서 끝나게 하는 게 아니라 생경한 듯 익숙한 내면의 어두운 자아와 대면하게 만든다. 화면 전체를 압도하는 무거운 색감과 침울한 분위기는 이러한 감정이입을 잠시 주저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복잡하지 않게 삶의 여러 우여곡절을 넘긴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단단함으로 자신의 짙고도 짙었을 사적인 이야기들을 감상자 앞에 망설임 없이 툭 내려놓을 수 있는 내공과 여유가 공존한다.

정해련은 익숙하면서도 일상에서 지나쳐 버리기 쉬운 공간을 발견하고 머리에 실 핀을 꽂듯 공간을 주목시킨다. 작품은 전시장에 공간적∙정서적 맥락을 조금 비켜서서 자리 잡는데 이는 작품이 가진 본연의 특질 즉 스테인리스의 차가운 촉각적 온도에도 불구하고 감상자의 눈에 거스르지도 너무 외떨어지지도 않게 위치시킨다. 관습화된 사회적 기준에 들어맞기를 욕망하는 사회에 대해 작가는 관찰자로서의 태도를 유지하며 전시가 말하는 정서적 화두에서조차 한걸음 물러서서 장소적 맥락에 빗대어 함축된 언어로서 시각화한다.

황지윤은 몽환적인 느낌의 자연 풍경들을 화면에 담는다. 눈보다 마음에 익을 법한 시각적 잔상의 여운을 남기는 작가의 풍경화는 공포나 불안, 유희 같은 심리적 자극을 일으키는 개체화된 형상들의 결과물로서 이중 구조의 형태를 띤다. 이는 감상자가 화면 안의 아름다운 풍경에 마음을 내려놓는 사이 어두운 심리적 풍경으로 소환하는 장치로서 작용하며 결과적으로 역동적이고 변화무쌍한 내면의 심리를 이발소 그림의 형식적 전형성에 내재화된 방식으로 덧입혀버리는 작가의 세련된 감정적 태도를 엿볼 수 있다.

KKHH의 <적당한 사이>(2013)에서 ‘적당하다’는 말은 정도나 양이 알맞다는 뜻과 동시에 썩 만족스럽지 않지만 어느 정도 동의할 수 있다는 애매한 범위의 말이기도 하다. 이처럼 상황에 따라 가깝고도 멀게 느껴지는 관계 속성에 주목하여 공동체가 암묵적으로 ‘적당함’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지점을 포착하는데 작가는 주제에 대한 감정적 해석을 되도록 배제한 채, 실험이라는 객관의 테두리 안에 떼어 두면서 담담하고 담백한 시선으로 풀어낸다.

심리학자 퀴블러 로스(Elisabeth Kübler Ross, 1926~2004)의 죽음에 다가가는 5단계 형식을 인생의 ‘밤’을 받아들이는 방법론으로 차용한다. 로스의 이론인 죽음에 다가가는 감정 단계 즉 부정, 분노, 타협, 우울, 수용은 죽음을 받아들이는 인간의 심리적 준비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인생의 ‘밤’같은 시련을 대하는 우리의 감정과도 닮아있다. 전시는 1단계에서부터 5단계까지의 감정 단계Step를 설정하고, 서로 다른 층위의 감정으로 투영된 10명의 작가들의 작품들로 ‘밤’의 정서를 바라본다. 또한 심리학 이론의 5단계의 단순한 형식으로 감정의 층위를 구조화하는데 이는 전시의 ‘밤’으로 상징된 인생의 시련이자 과업을 우리의 삶에 유연하게 받아들이고자 하는 해석의 단초가 될 것이다. 한편 관람객이 전시장에서 ‘밤’의 정서를 작가들의 작품으로 읽어나가는 과정이 인생의 고난과 시련을 삶의 일부로 끌어안기까지의 과정과 맞물려 해석됨으로써 언제까지나 끝나지 않을 것만 같은 이러한 인생의 ‘밤’들도 어떠한 심리적 준비 단계 즉 감정의 변화 과정을 겪어내면 각자의 해법대로 삶에 끌어안을 수 있을 거라는 믿음을 전시를 통해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글. 조지현 (아트스페이스 이드 대표)



기획자소개

조지현 Cho, Ji-Hyun
현재 아트스페이스 이드(Art Space id) 대표. 지하창고전 및 개관전(2010)을 시작으로 잊혀진 기억전(2011), 중앙동 콜라보레이션 기획전(2013)을 기획하였고, 스토리아트레지던스 지역특성화 레지던스 사업 선정(2012), 국립현대미술관 큐레이터 리그 3기를 수료(2013)했다.


작가소개

성왕현 Sung, Wang-Hyun
2009년 청년작가 초대전<후소회 한국화 새로운 모색 2009>(세종문화회관, 서울)을 시작으로 <[!]느낌표, 동방의 요괴들 순회전>(2009, 갤러리27, 경기), <Thirty three Korean Contemporary Art 展>(2009, gallery H, 서울), <뛰어!넘어!>(2009, 관훈갤러리, 서울), <트라이앵글 아트 페스티벌>(2013,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등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하였고 2013년 첫 개인전 <WADERER>(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을 열었다.

송유림 Song, Yu-Lim
2009년 <Stitches_Stitched>(Space 15th, 서울)을 시작으로 <Bridge Project_project.4>(2009, 창아트, 중국), <책상 위의 한 선정은, 결국>(2012, 인사미술공간, 서울), <Disancing>(2012, 금호미술관, 서울), <Untold stories by Tea for three> (Ram studios, 밀라노) 등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하였고 2010년 첫 개인전 <The slender song>(비원갤러리, 서울) 이후 <Words of memory>(2010, 신한갤러리, 서울), <갤러리진선윈도우전 83 유리된장면들/the isolated scenes>(2012, 진선갤러리, 서울)을 열었다. 레지던스 프로그램으로 금호창작스튜디오 6기(2010-2012)에 참여하였다.

양유연 Yang, Yu-Yeon
2008년 <Art at Home : Wonderful Life>(두산갤러리, 서울)을 시작으로 <The End of The World>(2010,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내가 본 ‘것’>(2011,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서울), <진경, 眞鏡>(2013, OCI미술관, 서울) 등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하였고 2009년 첫 개인전 <폭풍전야>(갤러리현대 윈도우갤러리, 서울) 이후 <흉>(2010, 꽃+인큐베이터, 서울), <한낮에 꾸는 꿈>(2012, 갤러리소소, 파주 헤이리), <가득한 밤>(2013, 갤러리분도, 대구) 등을 열었다. 신진작가 지원프로그램인 OCI YOUNG CREATIVES(2014, OCI미술관)에 선정되었다.

이유나+오헬리앙 뒤센 Lee, Youna+Aurelien Duchesne
2011년 <Masala reaction>(뉴델리, 인도)를 시작으로 <Modele Standard>(2012, 물랑아트센터, 프랑스), <Crises>(2013, 아트커넥션, 루마니아), <Eye and Heart 촉각전>(2013, 한국공예관, 청주), 등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하였고 2014년 첫 개인전 <Loop Around>(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를 열었다. 레지던스 프로그램으로 Shilpapaddyam(2011, 인도 케랄라주), 물랑아트센터(2012, 르망, 프랑스),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7기(2013, 청주)에 참여하였다.

림배지희(임지희) Lim, Ji-Hee
2010년 첫 개인전 <MINI HOME>(2010, CE카페갤러리, 청주) 이후 <숲다, 디스플레이 프로젝트>(2012, 갤러리이드, 청주), <별일 아니다>(2014,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를 열었고 2012년 <스펙트럼 3人그룹전>(57번가 갤러리, 서울)을 시작으로 <사대문International artist Communi展>(2013, 전북예술회관, 전주), <잠수-종>(2013, 잠월미술관, 함평), <한 뼘, 드로잉: 쑈>(2014, 대청호미술관, 청원), <낙서 4>(언오피셜프리뷰 갤러리, 서울) 등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하였다. 레지던스 프로그램으로 스토리아트 1기(2012, 청주) 및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7기(2013, 청주)에 참여하였다.

정해련 Jeong, Hae-Ryun
2009년 <Hopper Hotel>(쾰른, 독일) 을 시작으로 <DIE DA IST MIT DER DA DA(....)>(2012, ES contemporary art, 메란, 이탈리아), <건축적인 조각-경계면과 잠재적 사이>(2014, 소마미술관, 서울) 등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하였고 2011년 첫 개인전 <Kunst trifft Kreisel>(볼벡, 독일), <At my forgotten home>(2012, 뮌스터 국립조형예술대학, Munster, 독일), <프로젝트스페이스 우민_그려진 여인들>(2013, 우민아트센터, 청주), <Empty Speech>(2013,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를 열었다. 레지던스 프로그램으로 Neuhauser Kunstmuhle(2012, 짤츠부르크, 오스트리아) 및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7기(2013, 한국)에 참가하였다.

황지윤 Hwang, Ji-Yoon
2011년 첫 개인전 <둔갑술 풍경>(175갤러리, 서울)을 시작으로 <풍경의 변주>(2012, OCI미술관, 서울), <double landscape>(2012, 한국예술종합학교 대강당갤러리, 서울), <소리에 민감한 풍경>(2013, 카페 드 유중-이수점, 서울), <landscape and memory>(2013, GS타워 갤러리, 서울)을 열었고 <伸인상전>(2011, 금산갤러리, 서울), <BOB UP>(2012, O's 갤러리, 전주), <경계의 회화전>(2013, 금호미술관, 서울) 등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하였다. 신진작가 지원프로그램인 OCI YOUNG CREATIVES(2012, OCI미술관) 및 KUMHO YOUNG ARTIST(2014, 금호미술관)에 선정되었다.

KKHH(강지윤+장근희) Kang, Ji-Yun+Jang, Gun-Hee
2010년 <천국보다 낯선>(커뮤니티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을 시작으로 <소셜뮤지움>(2011, 스페이스빔, 인천), <Seoul2050Ⅱ>(2012, MIT Wiesner Gallery, U.S.A), <Artist's Portfolio>(2013, 사비나미술관, 서울), <라운드업>(2013,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MIS-PLAY>(2014, 인사미술공간, 서울) 등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하였고 2012년 첫 개인전 <낭만의 순간>(플레이스막, 서울) 이후 <산으로 가는 배>(2012, space99, 서울), <적당한 사이>(2013, space99, 서울) 을 열었다. 레지던스 프로그램으로 석수아트프로젝트 국제레지던시 ARIA(2011, 스톤앤워터, 안양), 타이페이 아티스트 빌리지(2013, 타이페이, 타이완), 서울시창작공간 금천예술공장(2013, 서울에 참가하였다.

문 의 : 학예실 T. 043-222-0357, 223-0357 E. info@wuminartcenter.org


전체 0 페이지 0

  • 데이타가 없습니다.
[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