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

  • 청구기호631.211/윤65ㅇ
  • 저자명윤용이 지음
  • 출판사파주:돌베개
  • 출판년도2007년
  • ISBN897,199,286,903,630
  • 가격18000원

상세정보

한국 도자기의 발달사를 서술한 한국 도자사 교양 입문서. 각 시대의 역사ㆍ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 도자기의 역사를 살펴보며, 청자와 백자에 비해 그 가치와 역사가 등한시되어왔던 질그릇을 보다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은 한국 도자기의 발달사를 흥미진진하게 서술한 한국 도자사 교양 입문서이다. 선사시대의 질그릇부터 조선시대의 백자까지, 각 시대의 역사ㆍ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 도자기의 역사를 살펴본다. 한국인이 살았던 현장 어디에서나 발견되는 도자기는 한국인의 삶의 모습을 통시적으로 보여주는 역사이며, 삶의 증거이다. 옛 도자기에는 당시 사람들의 삶과 꿈, 그리고 그들이 추구한 아름다움이 담겨 있다. 

이 책에서는 청자와 백자에 비해 그 가치와 역사가 등한시되어왔던 도기, 즉 질그릇을 보다 집중적으로 조명하며 충실하게 다루고 있다. 도자기의 형식 설명만 나열한 것이 아니라, 도기부터 자기까지 도자기 전체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저자는 특유의 구수한 문체로 동아시아의 역사 안에서, 또한 한국의 사회ㆍ문화적 맥락 속에서 우리 도자기가 어떻게 탄생하고 발전하고 쇠퇴하였는지를 쉽게 설명해주고 있다.

1. 역사의 숨결을 따라 읽는 우리 옛 도자기 이야기 
- 선사시대의 질그릇부터 조선시대의 백자까지 


2. 도자기가 전하는 우리 역사와 생생한 삶의 이야기

3. 우리 도자기를 둘러싼 오해와 진실

지은이 | 윤용이

1947년에 태어나 성균관대 사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학예관, 문화재위원, 원광대 국사교육과 교수를 역임했다. 2007년 현재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문화예술대학원장직을 맡고 있다. 문화재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한국도자사 연구>(1993),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1996), <한국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1997), <알기 쉬운 한국 도자사>(2001, 공저), <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고려 도자의 변천'(1986), '고려, 조선 도자 시기구분론'(1992), '조선 도자의 변천'(1992)이 있다.

목 차
저자의 글 
한국인의 삶과 문화가 깃든, 우리 옛 도자기 

1부 질그릇, 한민족이 빚어낸 질박한 아름다움

1장 질그릇이란 무엇인가 
한국인의 삶과 질그릇 | 질그릇의 기형과 장식무늬, 색깔 | 세계의 질그릇을 통해 인류의 역사와 삶을 이해하다 | 도기와 토기 | 최초의 그릇 
2장 질그릇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선사시대, 질그릇의 탄생 | 최초의 그릇, 덧무늬질그릇 | 신석기 시대의 대표 유물, 빗살무늬질그릇 | 청동기시대의 질그릇 | 고조선과 질그릇 제기의 등장 
3장 다양한 문명의 등장, 개성 있는 그릇의 제작 
초기철기시대, 고대국가의 기틀을 세우다 | 철기시대, 다양한 그릇이 등장하다 | 가마와 물레의 사용 
4장 실용미와 세련미, 고구려와 백제의 질그릇 
고구려의 전성기, 문화가 활짝 꽃피다 | 아차산에서 출토된 고구려의 질그릇 | 수, 당과의 전쟁으로 쇠퇴한 고구려의 문화 | 한강 유역에서 꽃피운 백제의 역사 | 사비시대의 백제, 중국·일본과의 활발한 교류 
5장 빼어난 조형미, 가야와 신라의 질그릇 
520년의 역사를 가진 가야의 질그릇 | 삼국통일의 기반을 다진 신라의 질그릇 
6장 고요한 불교의 세계, 통일신라와 고려의 질그릇 
신라의 삼국 통일과 화엄사상 | 통일신라, 불교의 유행과 뼈항아리의 제작 | 선종과 질그릇 | 9~10세기, 사각병과 완 등 실용기의 등장 | 불교의 영향과 귀족 문화의 취향이 반영된 고려시대의 질그릇 | 고려시대 질그릇의 흐름 | 『고려도경』에 나타난 고려의 질그릇 
7장 단순하고 소박한 조선의 질그릇 
조선시대 질그릇의 흐름 | 자연을 닮은 조선시대 질그릇의 소박함 

2부 자기, 한국 미의 정수

1장 자기란 무엇인가 
도기와 자기, 질그릇과 사기그릇은 어떻게 구분하는가 | 자기의 색깔과 유약의 상관관계 
2장 청자는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나 
고려 청자의 시원을 알려주는 초기청자 가마터 | 선종과 차의 만남, 청자완의 유행 | 월주요 청자 장인의 유입으로 시작된 고려 청자의 기원 
3장 고려의 비색청자가 완성되다 
문화적 성숙의 토대 위에 활짝 꽃핀 고려의 귀족사회 | 중국의 3대 발명이 이루어진 송대 문화의 힘 | 12세기, 고려 청자의 전성기 
4장 갓맑은 빛깔을 띤 상감청자의 탄생과 분청자로의 이행 과정 
고려 도자의 특징이 가장 도드라진 13세기 청자 | 청자 장식무늬에 반영된 고려인의 마음 | 고려 말에서 조선 초, 상감청자에서 분청자로 
5장 임금에서 백성까지 폭넓게 사용된 조선의 분청자 
분청자와 분청사기 | 뚝배기에 끓여낸 된장 맛 같은 분청자의 매력 | 15세기 분청자의 다양한 장식기법 - 상감 인화기법 | 조선 왕실의 그릇으로 사랑받은 청화백자 | 개성 넘치는 분청자의 멋과 매력 - 선각?박지기법 
6장 일본인의 마음을 사로잡은 자유로운 분청자의 세계 
분청자, 자유로운 선의 세계를 표현하다 | 일본인이 사랑한 조선의 분청자 
7장 백자를 선택한 조선의 마음 
조선 초 주자학의 유입과 백자의 확산 과정 | 15세기 중반, 관영 사기공장 분원이 설치되다 | 청화백자의 틀이 성립되다 
8장 가장 조선적인 백자의 아름다움 
전쟁 후 조선 사회의 변화, 실학의 발전 | 다양한 지방색을 드러내는 백자의 제작과 철화백자의 유행 | 이마리 도자기의 대량 수출로 다져진 일본 근대화의 초석 
9장 조선 후기 다채로운 백자의 세계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