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조선 후기의 기술도:서양 과학의 도입과 미술의 변화

추천

  • 청구기호609.11/정94ㅈ
  • 저자명정형민;김영식
  • 출판사서울대학교출판부
  • 출판년도2007년
  • 가격18000원

상세정보

서로 다른 분야의 학자가 공동 과제를 수행하는 일은 학문이 분화된 오늘날 하나의 이상으로 떠올랐다. 미술사학 분야에서도 이와 같은 과제수행을 수행하는 모범집단이 있거니와 대개 사상사 분야와의 공동연구가 주를 이루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는 말할 것도 없고 인근 문학, 연극, 음악 분야와의 연대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얼마 전 문득 발견한 『조선 후기의 기술도』에 붙어 있는 부제 ‘서양 과학의 도입과 미술의 변화’가 없었다면 그리고 정형민이라는 저자 이름을 찾지 않았다면 그저 지나치고 말았을 것이다. 김영식이라는 과학사학자와 정형민이라는 미술사학자의 공동연구임을 발견한 순간 얼마나 큰 기쁨이었는지. 행복함이 절로 밀려들었다. 서구근대미술 수용의 역사를 다룬 많지 않은 논문을 뒤적거렸어도 어딘지 공허했었으니 아마도 이 책이 갈증을 해소할 것이라는 지레 짐작 탓이었을 게다.

조선에서 서구미술 수용은 관념으로야 매우 오래부터였지만 이것은 거의 과학자에 의한 것이었고 화가의 경우엔 수용할 별다른 계기도 의지도 없었다. 과학자의 이론, 관념 영역에서의 수용은 화가의 의식으로 내면화를 가능하게 했을 것이며 미묘한 영향을 끼쳤을 것임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문제는 목적의식이 뚜렷한 서구근대미술 양식의 수용과 그 작품이 있느냐의 여부이고 기존 연구는 그를 만족시킬만한 실제 사례를 제시하지 못했다.
기왕의 연구가 너무도 막연했던 이유는 아마도 실학자의 서구과학에 대한 이론과 실제 작가의 작품 사이의 매개를 실증하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게다. 저자는 바로 그 매개를 기술도(技術圖)로 설정했는데 ‘작도법(作圖法)’을 기준으로 삼고 그것을 서양식과 전통식으로 분별해 나가는 방법론을 적용했다. 이에 따르면 조선에서 서구미술 수용의 구체화는 고종시대 말기에 이뤄지는 것으로 결론이 난다. 이 점이 『조선 후기의 기술도』가 거둔 눈부신 업적이다. 만약 내가 어느 기관의 우수 저작을 선정하는 책임을 위임받았다면 두 말할 필요조차 없이 바로 이 책을 단 위에 올려놓고서 흐뭇함을 감추지 못할 것만 같다.

최열 | 미술평론가

책소개
기술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선 후기 과학과 미술에 미친 서양 과학과 미술의 영향에 대해 그간 과학사와 미술사에서 별개로 진행되어 온 연구를 종합 • 정리한 책이다. 이 책에서는 먼저 서양 과학이 동아시아 3국으로 전래된 과정과 그것이 세 나라의 과학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 서양 미술이 중국과 조선에 유입된 과정과 그것이 미술에 미친 영향을 검토한다. 이어서 서양 과학과 미술의 만남을 중국 기술도의 발달과정을 통해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조선 후기의 상황을 보기 위해 당시 과학기술 서적의 삽화, 즉 기술도와 회화 속에 도입된 기술도를 비교•검토한다.

저자소개
정형민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웰슬리대학을 졸업하고 미시간대학교 석사(동양미술사)학위, 컬럼비아대학교 박사(동양미술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미술관 과장으로 활동했다.

김영식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하버드대 화학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자연대학 화학부 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 과학사학회 편집인으로 활동했다.
『조선 후기의 기술도(서울대출판부, 2007.12.31)』, 『프리즘(서울대출판부, 2007.08.15)』, 『정약용 사상 속의 과학기술(서울대출판부, 2006.04.30)』, 『한국 근대과학 형성과정 자료(서울대출판부, 2004.12.30)』, 『Current Perspectives in the History of Science in East Asia(서울대출판부, 1999.06.30)』, 『역사와 사회 속의 과학(서울대출판부, 2003.03.25)』, 『나의 삶 나의 생각(서울대출판부, 1993.12.10)』, 『과학혁명』, 『과학사』, 『역사속의 과학』, 『과학과 근대사회』, 『중국전통문화와 과학』외 다수가 있다.

목차
책머리에
1. 머리말
2. 연구 현황
1. 조선 후기 서양 과학의 도입과 조선 과학의 변화
2. 조선 후기 서양 미술의 도입과 조선 미술의 변화
3. 서양 미술의 도입과 중국 및 일본 미술의 변화
3. 서양 과학의 도입과 그 영향
1. 서양 근대 과학과 예수회의 과학
2. 서양 과학의 중국으로의 전래
3. 서양 과학의 일본으로의 전래
4. 서양 과학의 조선으로의 전래
5. 조선 후기 사회•문화 속에서의 서양 과학기술의 의미
4. 서양 기술도의 도입과 그 영향
1. 중국
2. 일본
3. 조선
5. 과학과 미술의 만남: 서양과 중국의 기술도
1. 서양
2. 중국
6. 과학과 기술의 만남: 조선후기의 기술도
1. 기술도의 풍속화
2. 기술도의 응용
3. 개화기의 기술도
7. 맺음말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