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주류와 비주류의 미술현장과 미술비평

  • 청구기호609/김544ㅈ
  • 저자명김성호
  • 출판사다빈치키프트
  • 출판년도2008
  • ISBN8991437852
  • 가격20000 원

상세정보

책소개
1996년 미술세계 평론상 수상 이후 미술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는 김성호의 미술평론집. 필자의 경험과 미술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미술평론의 형식으로 전개되었다. 이 책은 필자의 작위적인 작명 '소수비평'과 우리에게 익숙한 화두인 '미술의 민주화'라는 두가지 핵심적인 개념을 중점으로 집필되었다. 인 '미술의 민주화'가 그것이다. 위의 두 개념 속에는 미술을 '순수'로 바라보면서, 만남의 관계학이 이루어지는 미술현장을 언제나 '비순수'로 규정하는 필자의 비평태도가 내재되어 있다. 이 평론집은 작품이나 작가를 조망하고 미학적 가치를 논하면서 미술 내부의 문제를 거론하기 보다는 주로 '미술현장과 미술비평'이라는 이름으로 미술 외부와 미술과의 상관성에 대해서 사회학적인 잣대를 빌려서 거론하였다. 다빈치기프트에서 발간하는 김성호 미술평론집 2권에 해당한다.

저자소개
저자 : 김성호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과와 중앙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동 예술대학원 문화예술학과 (현 예술경영학과)에서 예술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파리1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준비과정을 수학하고 파리10대학교 철학과에서 예술철학, 미학 전공으로 박사준비과정 (DEA)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파리1대학교 미학과 박사과정, 파리3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모란미술관 큐레이터, 미술세계 파리통신원, 파리 하부앙무씨옹갤러리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수원미술전시관 큐레이터, 임진강시각예술 축제 책임큐레이터, 미술세계 편집장으로 일했다. 중앙대 학부와 예술대학원, 경기, 협성, 청주대 대학원에 출강했고 서울시립미술관, 한국사립미술관협회, 국립현대미술관 등에서 강의했다.

현재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한국예술학회, 인물미술사학회 회원으로, ’96미술세계 평론상 수상 이후 미술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쿤스트독미술연구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창작의 커뮤니케이션과 미술비평』(2008),『주류와 비주류의 미술현장과 미술비평』 (2008) 두 권의 미술평론집과 『조각, 미술관, 문화』(2005, 공저)외 다수의 공저와 논문이 있다.
e-mail : mediation7@naver.com

목차
감사의 글 
프롤로그 
1장. 소수비평, 미술 무가치 시대의 미술비평 
I. 들어가는 글 : 미술 무가치 시대에 남아있을 가치를 찾기 위해 
II. 모더니즘 미술의 짧은 전성기 
III. 엘리트 적자미술의 종말과 이종(異種) 서자미술의 등극 
IV. 다원주의 미술 혹은 미술 무가치 시대의 미술-철학에서 미술비평으로 
V. 영상, 애니메이션 시대의 복수 생산자 그리고 소수비평 
VI. 주류와 문화 권력에 대항하는 소수비평 
1) 소수비평은 '소수의 복수'가 공유하는 비평이다. 
2) 소수비평은 엘리트적 대중, 즉 비전문비평가들의 비평이다. 
3) 소수비평은 공동의 목적을 지향하되 비일치성을 줄곧 드러낸다. 
4) 소수비평은 비주류의 자발적 비평이다. 
5) 소수비평은 미술의 음모에 저항하는 실천의 정치이다. 
6) 소수비평은 위계와 계급의 질서를 벗겨내는 비평이다. 
7) 소수비평은 계급차별과 문화 권력에 대항하는 실천적 비평이다. 
8) 소수비평은 '깨뜨리기의 글쓰기', '균열의 글쓰기', '예의 없는 글쓰기'를 행한다. 
VII. ‘결’하고 나오는 글 
2장. 지역문화 환경과 탈중심주의의 지역예술 역할론 
I. 지방, 지역, 중앙 그리고 문화 환경 
II. 서울과 수도권 문화중심주의 
III. 문화 중심주의로부터의 탈주와 중심의 전이 
IV. 탈중심주의와 문화잡종 시대의 지역과 문화, 예술의 역할 
V. 나오는 글 
3장. 지역의 시각예술축제 개발과 그 한계 
I. 지역 시각예술축제에 대한 주제 해석과 기획 
II. 주제 구현의 실제 
III. 임진강시각예술축제 기획 실현의 한계와 자아비판 
4장. 미술로 수행하는 인권운동의 위상론 
I. 들어가는 글 
II. 권리와 권력-‘체제 외적 저항’과 ‘체제 내적 투쟁’으로부터 
III. 인권 개념의 확장-자유권과 사회권을 넘어서 
IV. 차별과 차이-한국적 상황으로부터 인권예술하기 
V. 미술로 인권운동하기-‘예술매개체적 운동’과 ‘예술창작적 탈(脫)운동’ 
VI. 미술로 인권운동하기-‘쿨 미디어’를 통한 ‘핫 미디어’ 위상의 수용 
5장. 미술교육에서의 현장성과 멘토링 
I. 들어가는 글 
II. 미술교육에서의 현장성, 유럽의 모델 
1. 독일-미술교육의 사회화 
2. 프랑스-미술교육의 현장화와 대중화 
3. 영국 외-미술교육의 사회화와 산업화 
III. 한국 미술교육에서의 현장성과 멘토링의 과제 
IV. 나오는 글 
6장. 미술대학 교육과 미술현장 
I. 잘못된 선택 
II. 취직? 아르바이트? 졸업 후의 선택 
III. 선택의 갈림길에서 
7장. 미술전시공간의 신진작가 발굴과 지원 
I. 국내 신진작가 지원 공모전에 대한 삐딱한 고찰 
II. 《신진작가 발굴전》의 지원 방식 
III.《신진작가 발굴전》의 재조명 
IV. ‘신진작가 지원’에 대한 입바른 소리들 
8장. 미술전시공간과 무명작가 유작전 
I. 미술전시공간에 대한 쓴 소리 
II. 창작에만 매달렸던 무명작가와 유작전 
9장. 미술전시 오프닝과 뒤풀이 문화 
I. 개인전과 신경 쓰이는 전시 오프닝 
II. 팩션-스트레스 받는 전시 뒤풀이 
III. 전시 오프닝과 전시 뒤풀이를 위한 제언 
10장. 미술권력과 그 주변의 미술작가들 
I. 미술올림픽의 계절 
II. '안전빵'을 붙잡는 전시 기획자와 외면당하는 미술작가들 
III. 힘 있는 큐레이터들과 '하나도 안 친한' 미술작가의 꿈 
11장. 미술창작스튜디오 지원의 기대치와 한계 
I. 작업실을 찾는 작가 O씨 
II. 미술정책에 있어 정부는 영원한 후발주자 
III. 현행 지원으로부터 소외받는 다수의 미술가들 
12장, 일본의 미술창작스튜디오 
I. 일본의 작업실을 찾아서 
II. 아틀리에 Ons 
III. 스튜디오 미래공방 
13장. 대안공간 네트워크의 기대치와 한계 
I. 대안공간의 생성 
II. 대안공간의 정체성과 네트워크의 기대치 
III. 대안공간 네트워크의 한계를 끌어안고 
14장. 국제아트이벤트와 미술관의 민주화 
I. 들어가는 글 
II. 미술관의 민주화-권력과 시장 사이 
III. 미술관의 위기-‘블록버스터 쇼’와 시장 사이 
IV. 미술관의 위기-‘국제아트이벤트’와 스펙터클 사이 
V. 나오는 글 
15장. 비엔날레 현장-타이뻬이 비엔날레 2004 
I. 타이뻬이의 자생적 비엔날레 
II. Do You Believe in Reality? 
III. 'Multi-cultural Reality'와 '다큐멘터리가 환기시키는 Reality' 
IV. 서구와 미디어의 권력으로부터의 탈주 
16장. 아트페어 현장-아르코 아트페어 2007 
I. 노대통령이 스페인에 간 까닭은 
II. 아르코 아트페어가 남긴 문제 
17장. 아트페어 현장-피악 2000 
I. 개인전을 선택한 FIAC 
II. 팔기 위해 있지 않는 미술은 가장 잘 팔린다. 
III. 23개국, 196 갤러리, 217명의 작가 
IV. 비싼 콜렉터는 거실의 ‘소파’ 색에 맞는 작품을 찾지 않는다. 
18장. 국제미술평론 혹은 아시아미술평론 
I.들어가는 글 

II.2004 대만 AICA대회 구성 및 내용 
III.2004 대만 AICA대회- 운영위원회 참관 
IV.새로운 국제 질서에의 편입, 이것으로부터의 탈주- AICA 대만의 패권주의 
에필로그 
출전 
따로 읽기/ 김성호 평론에 대한 메타비평 
1. 심상용, '미술 무가치 시대의 ‘소수비평’의 문제제기와 의미' (1장 메타비평) 
2. 김영호, '문화권력 시대의 미술관과 비엔날레' (14장 메타비평) 
따로 읽기/ 짧은 서평과 추천의 글 
부록/김성호 평론 목록 
ABSTRACT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