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왕실 혼례의 기록=Joseon dynasty books of royal wedding in art historical perspective
청구기호609.1105/이54ㄱ
저자명이성미
출판사서울 :소와당
출판년도2008년
ISBN8996063827
가격35000원
의궤(儀軌)는 왕실의 행사를 기록한 문서로 일찍이 1866년 프랑스 함선이 강화도를 점령했을 때 국가기록보관소에 보관한 상당수의 의궤를 약탈해 갔다. 그로부터 일백년도 훨씬 지났을 때 역사학자와 서지학자, 복식사가가 눈길을 주어 점차 창고를 벗어나기 시작했다. 1990년 앞뒤 무렵 비로소 미술사학자들이 관심을 기울여 연구 성과를 내기 시작하더니 1989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로 옮긴 이성미가 그 의궤에 빨려들어갔던 것도 이 때다. 인연이란 이렇게 우연히 닿는 것인데 그런 인연의 결실은 1994년에 나온 <<장서각소장 가례도감의궤>>였을 것이다. 나로서야 그 책을 구하고서 미술사학 범위가 넓혀지고 있음을 실감하는 선에 멈추었지만 그 인연의 끈을 놓지 않은 연구자는 자신은 물론 주변 연구자에게 과제를 주어 가능성을 확장해 나가기 시작했다. 더욱이 1993년 프랑스 고속전철 수입 협상 과정에서 130년전 약탈해 간 의궤 반환논란으로 언론을 타고 소문이 삽시간에 퍼져 갑자기 의궤가 ‘실록’처럼 국민 사이에 무척 유명해졌다. 이런 분위기도 있고 해서 의궤 연구는 힘을 얻었는데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는 그로부터 쌓은 한 연구자의 탐스런 열매다. 왕실 결혼을 기록한 가례도감의궤만을 대상으로 삼은 이 열매는 앞으로 왕의 초상, 왕실의 여러 잔치를 다룬 종류의 의궤로 확장되어 나갈 것이라 하니 미술을 사랑하는 이들의 응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최열 | 미술평론가
책소개
왕실 혼례의 기록인 가례도감의궤에 실린 반차도를 정밀 촬영하여 풀 페이지 컬러 도판으로 수록하여 거의 전부 일반에 공개하고 있고, 가례반차도의 특징과 내용, 시대별 변화 양상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있다. 현재 남아있는 의궤의 현황과 종류에 대해, 그 종류를 간략한 표로 정리하고, 각 종류별 내용을 소개하며 가례도감의궤를 비롯한 진연,진찬의궤, 산릉도감의궤 등이 무슨 말인지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현재 의궤들이 어느 곳에 얼마나 소장되어 있는지, 그 연유는 무엇인지, 가례도감의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조선의 회화적 기법은 어떠한지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저자소개
지은이 | 이성미 서울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繪?科)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U.C. Berkeley)에서 동양미술사 석사학위를, 프린스턴대학교(Princeton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덕성여자대학교 교수 및 박물관장을 역임하고 1989년부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로 재직하며 동 한국학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2008년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명예교수이다. 한국미술사학회장, 국사편찬위원(國史編纂委員) 등을 역임하였고 뉴욕의 Asia Society 외국 자문위원, 미술사 학술지 Archives of Asian Art의 편집위원이다.
주요 저서로는 Korean Landscape Painting: Continuity and Innovation Through the Ages, 『조선시대 그림속의 서양화법』, 『한국회화사용어집』(공저), Fragrance, Elegance, and Virtue: Korean Women in Traditional Arts and Humanities, 『우리 옛 여인들의 멋과 지혜』, 『내가 본 세계의 건축』,『朝鮮時代 御眞關係都監儀軌 硏究』(공저), 『藏書閣所藏嘉禮都監儀軌』(공저), 『元明의 繪畵』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日本繪畵史』(秋山光和 原著)가 있다. 그밖에 국문 및 영문으로 한국과 중국미술사 관련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게재하였다.
목 차
책을 펴내며
1. 머리말
2. 가례도감의궤의 제작 및 현존 현황
3. 1600년대 가례도감의궤와 반차도 행렬의 구성 1) 소현세자 가례도감의궤(1627) 2) 숙종 가례도감의궤(1681) 3) 1600년대 기타 가례반차도의 특징적 구성 요소
4. 1700년대 가례도감의궤와 반차도 행렬의 구성 1) 영조와 정순후 가례(1759) 이전 2) 영조 가례도감의궤(1759) 3) 왕세손〔정조〕효의후 가례도감의궤(1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