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미술사: 갑오개혁에서 해방 시기까지
- 청구기호609.1105/홍54ㅎ
- 저자명홍선표 지음;한국미술연구소 편집
- 출판사(주)시공사
- 출판년도2009년
- ISBN8952756466
- 가격20000원
저자는 금년에 이순(耳順)이자 불혹(不惑)에 이르렀다. 달력나이 60세를 맞았으며 논문을 발표한지 30년이니 연구나이 불혹이라는 말이다. 그는 화갑기념논총 같은 호사를 거절하고, 스스로 1979년 학회지에 논문을 발표한 지 30년이 되었음을 기념하여 이 책을 발간하였다. 책머리에 『월간미술』에 연재한 ‘한국근대미술사특강’이 원고의 초석이었음을 밝히며, 원고청탁을 해주었고, 누구보다 이 책의 발간을 기뻐할 것이라며 류동현 기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있다. 매체가 아닌 개인에게 감사하는 ‘사람의 마음’을 표하는 것은 요즘같은 세태에 보기드문 일인데, 그는 늘 그렇게 허식없이 소박한 마음으로 사람을 대한다. 늦은 나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필자를 지도교수인 그는 한 연구자로서 존중해주고,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잠을 줄이며 살던 그 시간 속에서 필자는 진정 감사한 마음이었고 그러한 배려가 학자적 양식의 휴머니즘에서 발원한 것임을 안다.
한국회화사의 권위자가 근대를 서술한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그동안 서양미술사에 기반한 연구자들이 양산해온 ‘서구미술의 이식’이라는 근대의 초점을 한국미술사의 ‘흐름’으로 파악하게 한다는 점이다. 인위적 가치를 중시하는 근대를 제도적으로 추구하면서 국민이나 민족이라는 공동체 의식으로 자본주의와 문명화된 모습을 형성하며 새로운 표상시스템과 시각체제로서의 ‘미술’이 발생했다는 제도로서의 미술 혹은 체제로서의 미술에 대한 시각은 미술의 외연에 있던 삽화나 잡지를 연구의 중심으로 끌어들였다. 결과적으로 미술작품이 주변부로 밀려난 듯 하지만 그 안에는 작가와 미술인의 단체가 존재한다. 사회현상으로 파악하는 근대미술의 한 연구방식을 대면하게 되는 것이다.
조은정, 미술평론가
지은이 | 홍선표
홍익대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한국회화사를 전공했으며, 규슈대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에서 '근세 한일회화교류사 연구'로 문학박사를 취득했다. 일본 문부성 일본국제문화연구센터 특별 초빙연구원, 문화재위원,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위원, 한국근대미술사학회 회장,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홍익대 대학원, 연세대 국제대학원, 고려대 대학원, 서울대 대학원에 출강했다.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 성강문화재단 한국미술연구소 소장, 「미술사논단」편집인이다.
저서로는 『조선시대회화사론』(문예출판사, 1999: 1999년 월간미술 학술대상, 1999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교보문고 1990년대 100권의 저서 선정), 『고대 동아시아의 말그림』(마문화연구총서, 한국마사회, 2001), 『한국의 전통회화』(이화여대출판부, 근간)『동아시아 미술의 근대와 근대성』 등이 있으며, 그 외 공저 및 편저와 논문, 논설 250여 편이 있다.
목차
책머리에
서장
제1장 개화기의 미술
서화시대의 연장
- 오원 양식의 형성과 융성
- 사군자그림의 전문화
새로운 ‘미술’제도와 개념의 도입
- 보통학교 미술교육과 전문교육
- 박람회의 개막, 관중의 탄생
- 박물관과 화랑의 효시
- 신용어의 이식과 배치
근대적 장르의 등장
- 사진과 시각혁신
- 서양화의 2차 파급
- 삽화 및 인쇄미술의 계몽
건축의 개화
제2장 1910년대의 미술
서양화가의 탄생
서화강습소의 설립과 후진 양성
- 서화미술회와 동양화 1세대의 배출
- 서화강습소의 확산
서화협회의 발족
전람회미술로의 이행
- 물산공진회와 공모전
- 단체전과 개인전의 태동
- ‘미술’ 개념의 일원화와 미술론의 대두
제3장 1920년대의 미술
조선미술전람회의 창설
‘동양화’의 탄생과 개량
- 수묵사경화의 개척
- 채색인물화와 화조화의 신풍
서양화단의 형성과 약진
조각가와 건축가 공예가의 출현
서화협회의 활동과 소집단 미술운동의 발생
- 서화협회
- 소집단 미술운동
미술비평의 대두와 미술론의 대립
- 저널리즘 미술비평의 본격화
- 미술론의 대립
‘한국미술사’와 ‘한국미론’의 태동
제4장 1930년대의 미술
서양화단의 팽창
- 아카데미즘의 만연
- 프롤레타리아 미술운동과 수난
- 모더니즘의 진화와 추상미술의 수용
향토색과 고전색의 추구
- 향토색
- 고전색
동양화의 증식
- 1세대의 성장
- 화숙의 설립과 2세대의 배출
조각 공예 건축계의 형성
한국미술의 이론적 모색
- 모더니즘 미술론의 증진
- 한국미술의 특질론
- ‘한국미술사’ 연구의 전문화
제5장 1940년대의 미술
1940년대 전반기 미술
대동아공영과 동양적 모더니즘의 진흥
전시동원체제와 시국미술의 대두
1940년대 후반기 미술
좌 우대립과 미술단체의 분열
민족미술 건설과 민족미술론의 성행
해방공간의 창작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