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남천의 꽃:남천 송수남

  • 청구기호653.11/송56ㄴ
  • 저자명송수남
  • 출판사재원
  • 출판년도2010년
  • ISBN8955751536
  • 가격50000원

상세정보

상업주의와 복고주의, 권위주의가 만연하던 1970년대 말 한국화의 위기 상황 앞에서 한국화의 자기혁신과 생명력 회복을 주도적으로 추진하였고, 이후 서양화•한국화, 추상•구상을 아우르며 미술계의 거장이 된 송수남의 화집이다. 작가 특유의 대담한 필치의 꽃이 담긴 근작을 만나볼 수 있다.

책소개

가을볕에 잘 여문 사과들을 산다. 그런데 그 사과들 중 한,두개는 먹지 못하고 꼭 시들게 하고 만다. 할머니의 주름처럼 될 때까지 두었다 결국 먹지 못하는 사과로 만들기 때문이다. 붉은빛이 너무 예뻐 감히 먹을 수가 없다. 그 빛에 취해 만지는 것조차 흠집이 생길새라 두려워 보고 또 보고만 있는 것이다. 평생을 고결한 선비로 살다 가신 퇴계가 즐겨 읊은 매한불매향梅寒不賣香이란 싯귀가 있다. 홍난파 선생의 봉선화를 흥얼거리고 있노라면, 어느덧 옆에서 함께 따라 부르고 있는 이. 그러다 소월의 초혼을 낭독하는 이. 빵집에서 산 단팥빵을 한입 깨물며 “아 맛있다”며 두꺼운 안경테 너머로 아이처럼 해맑게 웃는 이. 오십을 넘겨 만난 칠십이 넘은 그 이. 지난 세월 속에 아픔이 왜 없었을까 만은, 또한 흉은 왜 없었을까 만은. 요즘 그이가 내게 보여주는 붉은 빛은 너무나 예쁘다. 그이가 풍겨내는 향은 퇴계의 향이다. 세속에 찌든 내가 그 빛과 향을 만지면 흠집이 생길까 겁이나, 보고 또 보고만 있다. 그이의 빛과 향에 취해 때론 어지럽기 조차하다.

그림을 그리는 그이의 집에 손때 묻은 시집들과 많은 문학서, 그리고 어색하지 않은 고가구가 그득하다. 그래서 그이의 그림에 향이 풍겨 났었구나. 그이의 집 거실은 온통 묵향에 젖어있다. 그이의 집 작은방과 그이의 파주 작업실은 수백, 수천, 수만의 꽃빛들로 물들어 있다. 그이가 요즘 살고 있는 모습이다. 뜬금없이 전화가 온다. “뭐해?” 참으로 당황스러운 질문이다. 우물쭈물하다 보면 “수고해요” 전화는 끊어지고 그이가 전화를 했는지, 하지 않았는지 혼돈이 온다. 그래서 확인 차 전화를 걸면 받지 않는다. 어떤 날 그이가 친 매화와 국화를 보고 있노라면 옆에서 “어허 참 담백하네” 한다. 내가 돌아보면 영낙없이 딴전이다. 그런 이가 요즘 화폭에다 꽃을 키우고 있다. 욕심도 많게 수백, 수천, 수만의 꽃을 키우고 있다. “영감은 꽃을 왜 키우는 거요” 하였더니 “그냥 먹이 싫증나서” 한다. 하지만 나는 안다. 그이가 먹을 얼마나 사랑하는지를. 그이가 이 땅에서 보여준 오묘한 먹의 변화들을. 그이의 먹은 울창한 숲속의 나무가 되었다가, 외로운 섬들이 떠있는 바다가 되었다가, 산이 되고 달이 되어 온 산천을 뛰어다니다, 

요술같이 변해 점이되고 기호가 되어 새로운 조형의 우주를 만든다. 세상의 참으로 많은 입들이 무어라하든 내게 그이의 꽃은 그이가 칠십이 넘어 가꾸는 새로운 우주이지 싶다. 세상의 참으로 많은 눈들이 무엇을 보든 난 그이가 키우는 파란, 빨강, 노랑 등 형형색색의 수많은 꽃들 바탕에 배여, 출렁거리고 있는 먹의 바다를 보고 있다. 먹의 바다를 지나온 사람만이 키울 수 있는 꽃들이, 그의 화폭에, 그이만의 독특한 꽃들로 자라나 있는 것이다. 그이의 먹이 키우고 있는 꽃들을 보고 있다. 그 꽃들의 빛과 향이 너무 예쁘고 황홀해 그냥 보고, 맡고 있을 뿐이다. 그이의 꽃들을 보고 있자면 “아 맛있다” 며 그이가 베여 물던 단팥빵의 맛처럼 “아 맛있다”.

작가 | 남천 송수남

1938년 전주에서 태어나 홍익대 서양화과로 입학, 4학년 때 동양화과로 전과하였다. 스웨덴 국립동양박물관 초대 개인전을 비롯하 30여회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동경국제비엔날레, 상파울루비엔날레, 국제현대수묵화전 등 여러 차례의 단체전을 열었으며, 홍익대 미술대 교수, 미술대전, 동아미술제, 중앙일보미술대전 심사및 운영위원 등을 역임했다.

상업주의, 복고주의와 권위주의가 만연하던 1970년대 말 한국화의 위기 상황 앞에서 한국화의 자기혁신과 생명력 회복을 주도적으로 추진하였고, 이 후 서양화와 한국화, 추상과 구상을 아우르며 세계 속의 한국적 미와 혼을 찾는 우리 미술계의 거장이 되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