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의 한국미술.2:변화와 도전의 시기=20th century Korean art.2
- 청구기호609.11/김64ㅇ;2
- 저자명김영나 지음
- 출판사예경
- 출판년도2010년
- ISBN8970844138
- 가격25000원
김영나 교수는 지난 해까지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회장으로 근현대미술사학의 진전을 위해 헌신했다. 임기를 마치고서야 자기 학술사업의 열매를 엮어 이 논문집을 엮어 냈다. 그간의 노고에 감사의 마음을 드린다. 저자는 지난 1998년 같은 제목의 논문집을 내놓았었는데 그 땐 일본, 서양 미술의 맥락과 한국을 짝지워 나갔었다. 10여년이 지난 이번 저서엔 ‘변화와 도전’이라는 낱말을 열쇠로 삼아 한국 미술의 맥락을 탐사해 나갔다. 미술과 그 시대라는 관계에 주목함으로써 얻은 요체일 터이다.
두툼한 책을 펼치면 ‘제1부 전통과 현대’를 만나는데 주제는 한국이 서양과 만나서 일으킨 반응으로 민족주의와 식민주의가 충돌해 중첩된 회색지대의 모습을 보여준다. 거기엔 박람회며 고희동, 고유섭, 이인성 그리고 신여성이 있다. 제2부엔 역시 서양 미술을 전공한 학자답게 서양과 한국 미술의 맥락을 추적하고 있거니와 제3부 이후로 넘어가 20세기 후반 한국미술의 다양한 맥락을 통찰하고 있다. 근현대미술사학이 대상으로 삼고 있는 20세기는 이제 고전이자 전통으로 자리잡고 있거니와 김영나 교수의 이 저술을 읽으면서 꿈꾸는 책무는 근현대미술사학의 주권 확립이니 그 성취가 우리의 희망을 앞당겨 주는 것일 게다.
최열 미술평론가
지은이 | 김영나
미국 뮬렌버그 대학 미술학과를 졸업하고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미술사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덕성여자대학교 교수로 근무했으며, 현재는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있다. 1991년부터 1년간 일본국제교류기금 펠로우십으로 도쿄대학교에서 연구했으며, 서양미술사학회 회장, 미술사교육학회 회장,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회장, 한국 근현대미술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대학교 박물관장을 지냈고, 2007년부터는 문화재위원을 맡고 있다.
목차
2권
제1부 전통과 현대
Ⅰ. 서양과의 첫 만남: 1893년 시카고 만국박람회와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의 조선관 전시
1. 19세기 만국박람회
2. 1893년의 시카고 박람회
3. 시카고 박람회의 동아시아 전시
4. 시카고 박람회의 조선관과 파리 박람회의 대한제국관 전시
5. 근대화를 위한 의식의 변화
Ⅱ. 전통과 현대 사이에서: 첫 번째 서양화가 고희동
1. 근대미술의 시작
2. 첫 번째 서양화가로서의 고희동
3. 서화협회의 활동
4. 동양화가로의 변신
5. 1945년에서 1950년까지의 고희동의 활동
6. 한국전쟁과 그 이후
Ⅲ. 한국미술사의 태두 고유섭: 그의 성과와 한계
1. 한국미술사학의 시작
2. 고유섭의 교육 배경과 시대적 배경
3. 고유섭의 연구성과와 한계
Ⅳ. 이인성의 향토색: 민족주의와 식민주의
1. 조선미술전람회와 향토색
2. 조선적 회화와 향토색 미술에 관한 논의
3. 작품 속에 재현된 식민지 조선의 여성
4. 향토색에 나타나는 민족주의와 식민주의의 유동적 경계
Ⅴ. 논란 속의 근대성: 한국 근대 시각미술에 재현된 ‘신여성’
1. 신여성과 여성운동
2. 신여성은 누구인가
3. 고급미술에서의 신여성
4. 대중매체에 재현된 신여성
5. 신여성을 통해 본 한국의 근대성
제2부 한국 근현대미술과 서양미술
Ⅰ. 선망과 극복의 대상: 한국 근대미술과 서양미술
1. 한국 근대미술과 서양 미술사조의 관계
2. 한국 근대미술과 유럽미술
3. 해방 이후의 한국미술과 서양미술
4. 한국미술의 근대적 변화
Ⅱ. 서양화의 출발점: 한국의 인상주의
1. 인상주의의 유입
2.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
3. 근대적 관찰자로서의 화가
4. 한국의 인상주의 화가들
5. 일상성과 당대성
Ⅲ. 밀레의 농민상: 미국과 동아시아에서의 수용현상
1. 대중적인 농민화가 밀레
2. 밀레 신화의 허구
3. 밀레의 농민상 읽기
4. 미국에서의 밀레 신화
5. 동아시아에서의 밀레의 소개와 수용
6. 근대화가 불러온 신화적 농민상
Ⅳ. 한국 근대미술과 입체주의
1. 입체주의의 소개
2. 1950년대의 입체주의의 영향
3. 한국적 입체주의 미술의 특징
Ⅴ. 1950년대 아시아 문화와 미국: 일본과 미국, 한국과 미국
1. 미국 문화의 수용
2. 일본과 미국
3. 한국과 미국
4. 동서문화의 혼합
제3부 현대미술의 제 양상
Ⅰ. 장욱진 미술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
1. 인간과 자연의 화가 장욱진
2. 초•중기의 작품 세계
3. 후기 작품에서의 동양성
4. 자연 세계와의 대화
Ⅱ. 한국 조각계의 거목 김세중
1. 제2세대 조각가 김세중
2. 초기 작품들
3. 종교 조각들
4. 공공 조형물
Ⅲ. 신화의 형성과 해체: 4인의 한국 여성미술가들
1. 여성 화가의 신화
2. 천경자와 최욱경
3. 김수자와 니키 S. 리
Ⅳ. 현대미술에서의 전통의 선별과 계승: 1970년대의 모노크롬 미술과 1980년대의 민중미술
1. 한국 현대미술에서의 전통
2. 모노크롬 회화운동
3. 민중미술
4. 전통의 재창조
Ⅴ. 초국적 정체성 만들기: 백남준과 이우환
1. 디아스포라 미술가로서 백남준과 이우환
2. 초국적 유목민으로서의 백남준
3. 경계에 위치한 이우환
4. 초국적 정체성
제4부 한국전쟁과 분단의 미술
Ⅰ. 한국의 전쟁미술
1. 한국의 분단
2. 한국전쟁의 증언과 기억
3. 전후의 미술과 전쟁 조형물
4. 한국 전쟁미술의 특성
Ⅱ. 유토피아의 신기루: 정치적 공간으로서의 사회주의 도시와 모뉴먼트
1. 공간 정치학의 관점에서 본 평양
2. 도시와 통치자의 이미지
3. 정치적 우상으로서의 통치자상
4. 권력의 붕괴와 모뉴먼트
Ⅲ. 전쟁의 기억: 워싱턴 D.C. 내셔널 몰의 한국전참전용사기념비
1. 내셔널 몰의 한국전참전용사기념비
2. 기념비의 선정
3. 기념물의 맥락에서 본 한국전참전용사기념비
4. 한국전쟁의 기억과 참전용사기념비
5. 한국전참전용사기념비와 전쟁의 기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