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일본 근현대미술사

  • 청구기호609.13/이76ㅇ
  • 저자명이중희
  • 출판사예경
  • 출판년도2010년
  • ISBN8970844190
  • 가격23000원

상세정보

이와사키 요시카주(岩崎吉一)와 하라다 미노루(原田實)의 『일본근대회화사』가 강덕희의 번역으로 나온 지 13년이나 지난 지금에야 이중희 교수의 『일본근현대미술사』가 나왔다. 늦었다는 느낌이 있지만 번역서건 저술이건 중국근대미술사 한 권 갖추지 못하고 있는 터이므로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저자는 19세기와 20세기 이백 년을 대상으로 삼아 20세기를 현대로 설정하고 있고 또 회화만이 아니라 공예, 조소를 아울러 야심찬 통사를 의도하였다. 20세기 중엽 이후가 앞 시대에 비해 소략하지만 시대의 포괄성과 소재의 다양성, 주제의 풍부함으로 말미암아 첫 통사로는 일본 근현대 미술을 아우르는 데 부족하지 않다는 느낌이다. 

해방 직전까지만 해도 일본과 중국은 하나의 문화권으로 개방되어 있었고 따라서 문화와 예술 전반이 하나처럼 교류가 활발했지만 해방 뒤 이 모든 것이 단절되었다. 미술사학 분야도 마찬가지여서 중국과 일본은 남과 같았다. 이제 21세기이고 교통도 자유롭다. 가까운 시일 안에 중국 근현대미술사도 나오고 한∙중∙일 3국을 아우르는 미술사도 나오기를 희망한다.

최열, 미술평론가


지은이 | 이중희

동양에서 서양화가 처음으로 도입될 당시 전통화 내부에서 일어난 반응에 대한 연구로 도쿄예술대학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부회장, 회장을 거치고 문화재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우수도서로 선정된 『한•중•일 초기 서양화 도입 비교론』(2003)과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인 『한국 근대미술사 심층연구』(2008)가 있다.

목차

Ⅰ. 일본 근대미술

1. 박람회를 통한 근대화 
에도 시대 박물학의 전통 | 미술을 통한 식산흥업책(殖産興業策) | 기술적 성격에서 출발한 미술 | 국가 주도의 정책적 미술육성 | 미술 개념의 변화 

2. 근대 전야, 회화와 사진 
근대 이행기에서의 새로운 표현에 대한 자극 | 요코하마(橫浜) - 우키요에에서 개화화(開化畵)로 | 사진 전래와 그 영향 

3. 메이지 전반기 회화 상황 
화학국(畵學局) • 공부미술학교 시대의 서양화 | 남상기(濫觴期) 서구 유학 화가 | 제2진 서구 유학파들의 과제 | 전통도시 교토(京都)의 근대미술 상황 

4. 신•구파 대립의 메이지 회화 판도 
회화에서 신 • 구파 발생 유래 | 페놀로사(Fenollosa)의 영향 | 페놀로사와 도쿄미술학교 | 고야마 쇼타로(小山正太郞)를 통해 본 서양화 구파 

5. 메이지의 서양 화가 
본격적 서양화 도입 직전의 존재, 고세다 요시마쓰(五姓田義松)와 야마모토 호스이(山本芳翠) | 메이지 후반기의 거장, 아사히 츄(淺井忠) | 서양화단을 일신시킨 구로다 세이키(黑田淸輝) | 1900년대 초두의 낭만주의와 후지시마 다케지(藤島武二) • 아오키 시게루(靑木繁) 

6. 메이지의 일본 화가 
일본화의 신•구파 차이 : 가노 호가이(狩野芳崖)와 요코야마 타이칸(橫山大觀) | 일본 미술원과 역사화 : 마쓰모토 후코(松本楓湖)와 가지타 한코(梶田半古) | 교토화단의 화풍 : 고노 바이레이(幸野?嶺)와 다케우치 세이호(竹內栖鳳) | 근대 문인화가 도미오카 뎃사이(富岡鐵齋) | 일본 남화 | 자연주의와 무세이카이(无聲會) 

7. 공예 
메이지 시대의 공예 | 수출 공예품의 성격 | 공예 도안의 변화 | 전통 공예와 그 행방 

8. 조소 
서양풍 조소 성립 | 전통 목조와 혁신 | 로댕 예술의 붐 

9. 미술의 대중적 성향 
대중 미술, 우키요에(浮世畵) | 삽화의 황금 시대 | 만화•풍자화 | 전쟁과 영화 | 석판화 유행 | 수채화 유행 | 그림엽서 

10. 미술 인구의 확산 
관전 개설 | 작품 매매 성립 | 자유 예술인의 지향 | 논쟁을 통한 미술 발전 

Ⅱ. 일본 현대미술 

1. 일본 모더니즘 
잡지 『시라카바(白樺)』와 유토피아 | 휴잔회와 초토사 | 생명을 불사른 완전 연소의 미 | 자아해방을 향한 예술가들의 거점 | 서양 미술 이념의 일본화(日本化) 

2. 현대도시와 기계미 
미래파의 충격 | 콜라주 기법의 수용과 발전 |1920-30년대 일본공예계 | 백화점과 전람회 | 1930년대 일본의 두 측면 : 도시문화와 프롤레타리아 미술 

3. 일본화와 모더니즘, 신일본화란? 
시대 의식이 분명한 화가 : 하야미 교슈(速水御舟)와 무라카미 가가쿠(村上華岳) | 고전회화의 재해석 | 퇴폐적 표현의 일본화 | 고전 주제의 재해석 | 일본화와 서양 미술 사이 

4. 만개한 대중미술 
대중적 멀티 아티스트, 다케히사 유메지 | 창작판화 성립 | 사진의 예술화와 대중화 

5. 서양화의 성숙과 다양화 
야수파의 일본 양식화 | 초현실파 운동의 증폭 | 추상회화의 운명 | 야스이 소타로(安井曾太郞)•우메하라 류사부로(梅原龍三郞) 시대 | 일본화가들의 파리와 미국 | 다이쇼•쇼와 시대 조각의 판도 

6. 전쟁과 미술 
15년 전쟁 시대의 회화 | 전쟁미술 읽는 법 | 전쟁의 표현 | 전쟁과 반전쟁의 표현 

7. 전쟁 후 혼돈과 미술의 새로운 정비 
전쟁체험의 표현 | 미술계의 재편 | 리얼리즘의 논쟁 | 오카모토 타로와 사회파 | 이삼 노구치가 미친 영향 | 일본화의 전쟁 후 세계 | ‘실험공방’과 ‘구체미술협회’ | 앵포르멜의 선풍 | 요미우리 앙데팡당전의 전위성 | 전후 세대와 사실주의 사진 

8. 현대미술의 다양한 전개 
일본화의 세대교체, 그 지위 향상 | 60년대, 일본화의 추상표현 | 1970-80년대, 일본화의 새로운 전개 | 콘셉추얼 아트와 ‘모노파(物派)’ | 1970년대 이후 회화 | 1960-70년대 조소 : 새김에서 입체로 | 디자인 역할과 현대사회 표현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