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오윤 전집 2)오윤 : 칼을 쥔 도깨비

추천

  • 청구기호659.3/오66ㅇ;2
  • 저자명오윤
  • 출판사현실문화연구
  • 출판년도2010년
  • ISBN8992214919;8992214933(세트)
  • 가격24,000원

상세정보

오윤이란 이름은 내게 ‘칼노래’처럼 들린다. 그 아호가 ‘개도치’이니까 개도치가 칼 노래를 부르는 그 모습 그대로다. 나는 1986년 5월 그림마당민에서 오윤의 처음이자 생전의 마지막 개인전을 진행하면서 그 가락을 내것으로 만들려고 무던히도 애를 썼다. 그로부터 2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가락을 내 안에 품지 못했다. 그 스물 다섯 해 사이 몇 번인가 어느 출판사에선가 오윤 일대기니, 평전을 쓰라는 청탁을 받기도 했고, 또 언젠가 김도연 형 장례식에 참석했을 때 만난 채희완 형에게 말하기를, 내가 글쟁이니까 오윤 형에 대해 뭔가 글쓰기를 해야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그마저도 이루지 못했다. 2006년 작고 20주기 오윤전을 준비하면서도 나는 오윤에 대한 글쓰기를 하지 않았다. 다만 김정희, 이응노와 어울려 두 꼭지 글을 썼을 뿐, 그랬던 건 아마도 내 속에 그 개도치의 칼노래 가락이 들어오지 않아서였을 게다.
사라져간 누군가 떠올리면 가슴 시린 그런 사람이 있다. 내게 오윤이 그런 이다. 1985년 8월 수유리 아카데미하우스 민족미술대토론회 자리에서 밤새워 마시던 술이며, 1984년 여름 채희완의 탈춤 <강쟁이 다리쟁이>에 쓸 탈 만들 때 뒤섞이던 말이며, 그리고 또, 또, 기껏 몇 해만 어울렸을 뿐인 형인데도 그렇다. 떠나가는 뒷모습이 아픔이었던 탓일까.
『오윤전집』 세 권은 감격스럽다. 1권은 오윤의 벗들이 기억하는 생애와 함께 평론가와 관찰자들이 쓴 예술론 그리고 오윤이 쓴 몇 안 되는 글과 좌담을 모았다. 2권은 판화와 회화, 조각을 비롯해 책 표지를 모았으며 3권은 소묘 3천여점 가운데 7백여점을 수록했다. 한 작가에 대한 이처럼 방대한 규모의 전집의 출간은, 오윤처럼 20세기 미술사에 무거운 가치를 지닌 작가의 전집은 미술사학계에 커다란 선물일 것이다.

하지만 전집의 간행은 무엇보다 미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축복이다. 한 예술가에게 있어 가장 큰 행복은 세월이 흐른 뒤에도 그 작품이 사랑 받을 수 있음일 것이다. 작가는 떠났어도 몰입할 수 있는 감동을 주는 그 작품을 남긴 작가는 흔치 않다. 오윤은 바로 그 흔치 않은 몇 작가의 한 명이다. 설레임을 불러 일으키는 형상을 남긴다는 것, 오윤은 그렇게 했다. 이 『오윤전집』은 들뜬 가슴을 이어가게 해 주는 다리로써 참으로 손쉽게 오윤을 만나게 해 준다. 엄청난 크기와 무게 탓에 펼치거나 손에 쥐기도 힘든 호화판 화집이 아니라는 사실만 봐도 그렇다.
나는 희망한다. 이 전집으로 오윤 연구와 가치평가가 진전되기를, 하지만 더욱 큰 바람은 더 많은 사람들이 오윤에 깊이 탐닉하는 것이다. 아마도 이 전집이 그렇게 해 줄 것 같다. 그럴 것이다.

최열, 미술평론가

지은이 | 오윤 외
1946년 부산 동래에서 소설가 오영수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에 재학 중 오경환, 임세택 등과 함께 ‘현실’ 동인을 결성하여 리얼리즘 미술운동을 제창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난 이후 근 10여 년 동안의 모색기를 거쳐 1980년 ‘현실과 발언’ 동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수많은 목판화와 회화 작품을 선보였다. 간경화로 시달리다 첫 개인전 직후인 1986년 7월 5일, 마흔한 살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오윤은 1980년대 작가들 중에서도 가장 먼저 자기 형식을 제시한 화가이다. 그래서 당대에 민중미술의 상징적인 존재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한국 현대 판화의 선구자로서 평가받았다. <칼노래> <춘무인 추무의> <아라리요> <징> <북춤> 등은 1980년대 민중미술의 대표적인 판화 작품들이다. 그 외에 <원귀도>를 비롯한 십여 점의 회화와 20여 점의 조소 작품이 있다.
 

목차

2권

간행사: 아직 해야 할 일이 많은 작가, 오윤을 위하여
서문: 《오윤 전집 2: 칼을 쥔 도깨비》에 부쳐
제1부: 판화
제2부: 판재
제3부: 유화
제4부: 조소
제5부: 책표지
제6부: 동래학춤 무보
제7부: 벽돌공장 메메
연보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