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떠한 유파나 단체에도 소속되지 않은 서민 화가가 그린 민화는 18세기부터 20세기 전반,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 크게 성행했다. 지식인이나 전문 화가가 그린 문인화나 궁중회화를 모방하면서도 서민들의 취향과 정서를 반영하고 독특한 조형세계와 해학적인 해석을 통해 개성적인 예술세계를 담아냈다는 특징이 있다. 자유로우면서 기발한 발상은 민화만이 가지고 있는, 틀에 얽매이지 않은 창조적인 자유와 포용성을 드러낸다.
그러나 민화는 회화의 한 분야보다는 풍속사적인 측면에서 주로 연구되며 한국 미술사 연구에서도 학계의 관심을 끌지 못해왔다. 이 책은 그 동안 제대로 조명되지 않았던 한국 민화의 미술사적 위상을 올바르게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뜻에서 기획된 개론서이다. 저자의 오랜 노력으로 모인 자료를 통해 민화의 개념과 역사, 민화의 주제, 미학적 특징, 그림에 반영된 종교적 이념, 궁중회화·문인화·풍속화 등과의 영향관계, 동아시아 민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등을 폭넓고 상세하게 소개하는 등 한국의 민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서민 화가가 서민을 위해 그린 그림'인 민화에 대한 집약적인 연구를 담은 이 책을 통해 민화에 대한 전방위적 탐색과 종합적 접근을 함과 동시에 과거의 한국인은 어떤 그림을 그리고 즐겼는지 그 원초적이고 근원적인 미의식의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다.
책소개
한국 민화에 대한 전방위적 탐색과 종합적 접근
한국의 민화는 풍속사적인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지거나, 궁중회화(궁화)나 문인화(사인화)에는 미치지 못하는 회화 장르로 폄하되어왔다. 그동안 한국미술사 연구도 궁중회화와 문인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던 게 사실이며, 민화는 오랫동안 학계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테마한국문화사 9)의 저자 정병모는 문인화가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민화 같은 서민회화가 제대로 조명받지 못하는 현상을 편협한 엘리티즘이라고 지적하며, 한국 민화의 미술사적 위상을 올바르게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이 책은 민화의 개념과 역사, 민화의 장르 분류, 미학적 특징, 그림에 반영된 종교이념적 측면, 궁중회화ㆍ문인화ㆍ풍속화 등과의 영향관계, 동아시아 민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등을 두루 천착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한국 민화를 종합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집필되었다. 대중의 관심은 높아지지만 그에 상응하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학계가 외면하고 있던 민화에 주목하여, 국내의 자료는 물론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민화 자료를 찾아 홀로 오랫동안 노력해온 국내 미술사학자의 노작이다.
지은이 | 정병모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를 나와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국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편수연구원을 거쳐 현재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민화학회 회장 및 서울시ㆍ경상북도 문화재전문위원으로 있으며, 한국민화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는 『무명화가들의 반란, 민화』(다할미디어, 2011), 『민화의 계곡 Ⅰ』(조선민화박물관, 2010), 『영원한 조선을 꿈꾸며: 채용신의 삼국지연의도』(조선민화박물관, 2009), 『조선시대 음악풍속도 Ⅱ』(국립국악원, 2004), 『사계절의 생활 풍속』(보림, 2004), 『회화 Ⅰ・Ⅱ: Korean Art Book』(예경, 2001),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다할미디어, 2001), 『한국의 풍속화』(한길아트, 2000) 등이 있다.
목차
<테마한국문화사>를 펴내며
Discovery of Korean Culture
Preface
저자의 말
제1부 민화란 무엇인가
1. 민화의 개념
민화인가, 궁중회화인가 | 과거의 속화, 현대의 민화 | 서구에서 시작된 민화 개념 |
일본에서 정립된 민화 개념 | 민화, 서민화가가 그린 그림
2. 궁화, 사인화, 그리고 민화
전통회화의 분류로 본 민화 | 궁화에서 민화로 | 사인화의 영향을 받은 민화
3. 채색화로서의 민화
색채의 힘 | 청색과 적색의 조화 | 부분채색의 효과 | 무지개의 꿈 | 채색의 실제 예
|SB| 민화와 풍속화는 어떻게 다른가
제2부 민화의 주제
1. 민화, 어떻게 나누나
민화의 분류 | 민화의 특징
2. 화조화
화조화란 | 화훼도 | 영모도 | 어해도 | 초충도 | 소과도
3. 인물화
이야기하는 인간 | 고사인물화 | 풍속화 | 종교화 | 초상화
4. 문자화
그림 같은 글씨, 글씨 같은 그림 | 길상문자도 | 유교문자도 | 비백서
5. 산수화
마음의 풍경 | 소상팔경도 | 금강산도 | 무이구곡도
6. 문방화와 누각화
문방화, 책과 문방구를 그린 그림 | 민화의 누각화, 감모여재도
|SB| 동음이어법, 박쥐가 행복을 뜻하는 이유
제3부 민화의 역사
1. 민화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민화의 원초적 이미지 | 민화의 실질적 시작, 처용문배 | 처용문배의 이미지
2. 고려시대의 민화
불화, 무화, 벽화
3. 조선 전기의 민화
조선시대의 문배와 세화 | 조선 전기의 민화 표현 | 분청사기에 담긴 민화의 표정
3. 조선 후기의 민화
권력을 풍자한 민화 이미지 등장 | 세화에서 민화로 발전 | 민화의 성행
|SB| 현대에 되살아난 민화의 열기
제4부 민화와 종교
1. 민화에 투영된 유교이념
민화와 유교문화 | 길상문자도에서 유교문자도로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유교 민화, 효자도 |
학문에서 길상의 상징으로 변한 책거리 | 누구를 위한 제사인가 | 매우 현실적인 유교 민화
2. 불화에 분 민화 바람
불화를 통해 본 민화의 유행 | 사찰 곳곳에서 만나는 민화들 | 명부전과 민화 |
민화로 장식된 위패형 진영 | 산신도의 두 얼굴 | 민화가 사찰에서 유행한 까닭은?
3. 무화의 휴머니즘
인간적인 신의 세계 | 조선의 또 다른 역사, 서울의 무화 | 서울의 마지막 신당, 금성당의 무화 |
밝고 명랑한 이미지의 황해도 무화 | 그로테스크한 제주도 무화 | 무화의 보존 문제
|SB| 광통교의 민화 파는 가게
제5부 동아시아의 민화
1. 한자문화권과 동아시아의 민화
동아시아 민화의 보편성 | 같으면서 다른 한자문화권의 민화
2. 중국의 민간연화
문신으로 시작된 중국 민화의 역사 | 천진의 양류청 | 유방의 양가부 | 소주의 도화오
3. 일본의 우키요에와 오쓰에
근심이 가득한 세상에서 즐거운 세상으로 | 조선통신사들이 본 에도시대의 풍경 |
먹빛의 강렬한 표현 | 서정적인 미인상 | 미인도의 이상형 |토슈사이 샤라쿠의 해학적인 캐릭터 |
제3의 주제로 떠오른 풍경화 | 길거리 민화 오쓰에
4. 베트남의 민화
베트남 민화와 한국 민화의 관계 | 세시풍속과 베트남 민화 | 항총회화 | 동호판화 | 신판화
|SB| 세계 속의 우리 민화
부록
주
도판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