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어진의궤와 미술사 : 조선국왕 초상화의 제작과 모사

추천

  • 청구기호654.5/이54ㅇ
  • 저자명이성미 지음
  • 출판사소와당
  • 출판년도2012년 1월
  • ISBN9788993820676
  • 가격30,000원

상세정보

『일본회화사』, 『조선시대 그림 속의 서양화법』 등의 저자이자, 조선시대 각종 왕실 행사의 실체를 소상히 기록한 사료인 의궤를 미술사 분야에서 최초로 체계적으로 정리 분석한 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명예교수인 저자가 의궤 중에서 특히 국왕의 초상화, 즉 ‘어진(御眞)’의 제작, 보수에 관해 기록한 의궤들을 모은 ‘어진의궤’에 대한 연구서를 출간했다.

이 책은 조선시대 어진 제작의 전모를 기록한 어진 관련 의궤 아홉 건의 내용을 심층 분석하여 한국 미술사, 나아가서 조선시대 궁중문화 연구에 도움이 되는 사항들을 추출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주요내용을 보면 어진관련 도감의궤의 제작과정과 현존상황에서는 1713년 <어용도사도감의궤>의 기록을 통해서 ‘어진’이라는 단어의 유래를 살펴보고 역사상 도감의궤가 몇 번 제작되었는지 현재 남아있는 것은 어떤 것들인지 알아본다. 1688년 숙종 때의 태조어진 모사 행사의 기록인 <영정모사도감의궤>와 생존해 있는 국왕의 어용(御容)을 그리는 행사 기록인 1713년의 <어용도사도감의궤>의 내용을 소개한 후 차이점을 짚어본다. 영조와 갑오개혁 때에는 우리나라가 대한제국으로 국체(國體)를 바꾼 후 여러 가지 제도가 바뀜에 따라 그 이전의 의궤와 다른 점들에 유의하며 살펴본다.

이러한 어진을 그리는 임무를 맡을 화가를 선정하는 방식과 그 기준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도 살펴보고, 의궤에 참여한 화가들에 관한 기록 가운데 화가들의 선정과정, 화원들의 우열 판단 문제, 화원들의 급료 문제, 포상에 관한 각 시대의 관행 등을 세세하게 검토하여 조선시대 화원제도 연구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됐다.


책소개

없음.

지은이 | 이성미
서울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繪畵科)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U.C.Berkeley)에서 동양미술사 석사학위를, 프린스턴 대학교(Princeton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덕성여자대학교 교수 및 박물관장을 역임하고 1989년부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로 재직하며 동 한국학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2012년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명예교수이다. 한국미술사학회장, 국사편찬위원(國史編纂委員) 등을 역임하였고, 뉴욕의 Asia Society 외국 자문위원, 미술사 학술지 Archives of Asian Art의 편집위원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I. 머리말 

II. 어진(御眞)관련 도감의궤(都監儀軌)의 제작과 현존 상황
1. ‘어진(御眞)’이라는 용어의 탄생
2. 어진관련 도감의궤의 제작과 현존 상황

III. 숙종(肅宗)대의 어진관련 도감의궤
1.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영정모사도감의궤』: 태조어진 모사(1688)
2.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어용(御容)도사도감의궤』: 숙종어진 도사(1713)

IV. 영조(英祖)대의 어진관련 도감의궤
1. 『영정모사도감의궤』: 세조어진 모사(1735)
2. 최초로 반차도(班次圖)가 포함된 『영정모사도감의궤』: 숙종어진 모사(1748)

V. 19세기 어진관련 도감의궤
1. 『영정모사도감의궤』: 태조어진 모사(1837)
2. 현존하는 태조어진 모사: 『어진이모(移模)도감도청의궤』(1872)

VI. 갑오경장(1894) 이후의 어진관련 도감의궤
1. 『영정모사도감의궤』: 태조어진 모사(1900)
2. 칠조(七祖)의 영정을 모사: 『영정모사도감의궤』(1901)
3. 고종황제와 황태자의 초상화 제작: 『어진도사도감의궤』(1902)

VII. 유교(儒敎)이념과 어진
1. 숙종(肅宗)시대 이전
2. 숙종시대
3. 영조(英祖)시대
4. 19세기와 대한제국(大韓帝國) 시대

VIII. 어진화가들의 선정과정, 평가기준과 방법 및 대우
1. 어진화가들의 선정과정
(1) 숙종시대
(2) 영조시대
(3) 19세기 이후
2. 어진관련 도감에 나타난 화가들의 급여 및 시상(施賞) 내용
3. 어진관련 도감에 참여하였던 화가들 

IX. 어진관련 의궤와 오봉병(五峯屛) 
1. 연구 목적
2. 조선시대 왕실 기록에 나타난 오봉병의 제작과 사용
3. 오봉병의 도상(圖象)
4. 오봉병의 회화(繪?) 양식
5. 소결(小結)

X. 맺는말

참고자료
1. 어진관련 도감의궤에 나타난 조선시대 장인(匠人)의 종류
2. 어진관련 도감의궤에 나타난 화가 명단(가나다 순)
3. 현재 알려진 각종 형태의 오봉병의 소재별 목록

참고문헌
도판•표•지도 목록
용어해설
찾아보기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