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그림으로 읽는 조선 여성의 역사

  • 청구기호337.0911/강34ㄱ;2012
  • 저자명강명관 지음
  • 출판사휴머니스트
  • 출판년도2012년 4월
  • ISBN9788958624851
  • 가격23,000원

상세정보


강명관 지음 | 휴머니스트 | 396쪽 | 23,000 원 | 

가부장적인 유교 이념으로 여성을 종속적인 존재로 얽매고자 하였던 조선 시대 사대부들의 욕망과 시선을 다양한 그림을 통해 추적한 책이다. 그 은밀하고 긴 역사의 흐름 속에서 조선 시대 여성상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고 풍경처럼 숨어 있던 조선 여성의 진짜 모습을 찾는다.

책소개

고전 텍스트 해석의 혁명가, 강명관
그림을 통해 조선 여성의 역사를 다시 쓰다
신윤복의 〈미인도〉를 일컬어 우리는 한국의 전통미라고 부른다. 그녀의 단아한 미소는 그 자체로 ‘한국 고유의 미’에 대한 자부심을 선사한다. 그러나 ‘누가 왜 이 그림을 그렸는가?’라고 묻는다면 〈미인도〉에 대한 우리의 시각은 달라져야 한다.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고문 속 숨겨진 역사의 장면들을 발굴해내는 고전 텍스트 해석의 혁명가 강명관 교수. 그가 이번에는 조선시대 여성의 시각적 이미지에 주목하여, 이 그림들에 제작 주체인 남성의 욕망과 의도가 투사되고 있음을 밝힌다. 이 책 《그림으로 읽는 조선 여성의 역사》는 여성을 종속되는 존재로 얽매고자 했던 조선시대 유교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그림을 통해 사대부 남성의 이율배반적인 욕망을 관철시키려 했는지, 그 은밀한 역사의 기록을 추적한다.

왜 그림을 통해 조선시대 여성상의 진실을 복원하려 하는가?
화가가 만들어내는 여성의 이미지는 그것이 제작되는 시간과 공간 등 여러 조건들에 영향을 받는다. 그렇기에 그림 속에서 묘사되는 대상을 통해 우리는 당대의 정치•경제적 맥락과 권력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남성으로만 구성된 화원이라는 예술 조직과 일부 민가의 남성들에 의해 시각적 이미지가 제작되었던 조선시대라면, 그림 속 여성의 형상은 그 제작 주체인 남성의 욕망과 의도가 온전히 투영된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는 조선시대 그림 속의 여성 형상에 주목하여 그를 통해 당대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체제의 조건들을 밝혀내고자 한다. 150여 점의 그림 속에서 여성이라는 대상 위에 베일처럼 드리우고 있는 사대부 남성의 시선과 욕망들을 읽어내고, 그것을 걷어냈을 때 마치 풍경처럼 숨어 있던 조선 여성의 진짜 모습을 복원할 수 있는 것이다.

“조선 건국 이후 남성-양반은 성리학에 입각한 유교적 가부장제를 진리로 믿었다. 유교적 가부장제는 여성은 남성의 이익을 위해 남성에게 일방적으로 종속되는 존재라 주장하고, 거기에 맞는 여성의 성역할을 제작하여 여성의 대뇌에 주입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상당 부분 성공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의 머릿속에 아직 남아 있는 조선시대의 ‘여성상’은 바로 유교적 가부장제의 결과물인 것이다. 나는 이 책에서 조선시대 회화와 소수의 판화를 제재로 삼아, 남성-양반의 진리로 믿었던 유교적 가부장제에 의해 여성의 시각적 이미지가 어떻게 만들어졌던가를 밝히고자 한다.” - ‘책머리에’ 중에서.

포토몽타주로 재구성한 조선 여성의 얼굴, 그리고 일상
저자는 조선시대 여성을 그린 모든 그림에는 당대 남성의 욕망과 여성에 대한 인식이 묻어 있으며, 사회를 지배하는 의식과 무의식이 그러한 그림을 제작하는 추동이었다고 말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여성에 대한 남성의 욕망과 시선, 인식의 역사라고 파악할 수 있다. 이 책에 수록된 각종 연회 그림, 다양한 미인도, 《삼강행실도》 판화 등은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시대와 그 저변의 권력 관계를 읽어낼 수 있는 텍스트 역할을 한다. 이에 저자는 기록되지 않았던 조선 여성의 역사를 그림이라는 텍스트를 통해 읽어내고 다시 써 내려간다. 그림들을 모아 오리고 다시 붙이듯, 포토몽타주 방식을 통해 그림 속에 갇혀 있던 여성의 진짜 얼굴을 재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지은이 | 강명관
1958년 부산에서 태어났고, 서울에서 20대 후반부터 30대 초반까지 잠시 머물렀다. 2012년 지금은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이다. 하는 일은 주로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이다. 그 외는 막걸리를 마시든지 집 뒤에 있는 산에 올라간다. 그래서 공부하는 방의 이름을 책주산실(冊酒山室)이라 지었다. 그동안 《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 《조선의 뒷골목 풍경》, 《공안파와 조선후기 한문학》, 《농암잡지평석》, 《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 《열녀의 탄생》 등을 썼다. 아주 오래전 에두아르트 푹스의 《풍속의 역사》를 읽고 언젠가 한국 풍속의 역사를 써야겠다고 마음먹었다. 그날을 준비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서장. 고려-회화로 보는 고려 여성의 얼굴
초상화 두 점으로 남은 고려시대 여성

1장. 조선 전기-유교의 이름 아래 가려지는 여성들
1. 유폐되는 여인들 : 유교적 가부장제와 조선 여성의 형상
2. 점차 사라져가는 여인의 얼굴 : 초상화 봉안 풍습의 쇠퇴
3. 미인도는 왜 남겨두었을까? : 도덕적 매뉴얼과 미인도의 미학
4. 가부장적 미덕을 강요하다 : 설교의 수단으로 그려진 여성 그림
5. 숨기지 못한 남성 욕망의 흔적들 : 계회도에 그려진 계집종과 기녀

2장. 조선 후기-남성의 시선으로 그려진 여성의 세속
1. 본격화하는 가부장제 : 여성 형상에 변화를 가져온 요인들
2. 절개를 위해 신체를 희생하다 :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열녀 형상
3. 효 권하는 사회 : 양로연도와 경수연도
4. 잘난 남자의 부록으로 그려지다 : 회혼례도와 평생도
5. 국가와 가족의 경제를 떠받치는 손 : 경직도와 속화에 표현된 여성의 노동
6. 여자를 엿보고 여자 때문에 싸우고 : 가부장제의 성적 욕망과 여성 형상

3장. 길들여지지 않는 여성주체
1. 열녀와 절개의 이면 : 가부장제에 대한 적응과 반발
2. 절로 향하는 여자들 : 신앙적 주체로서의 여성
3. 쾌락은 감금되지 않는다 : 쾌락적 주체로서의 여성 형상

맺음말 ‘주체’로서의 조선 여성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