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중국 도자사 연구

  • 청구기호631.21/방44ㅈ
  • 저자명방병선
  • 출판사경인문화사
  • 출판년도2012년 8월
  • ISBN9788949908588
  • 가격55,000원

상세정보

10여 년간 중국 현지의 박물관 및 도요지를 방문하고, 관련 학자들의 견해와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집필된 국내 학자의 중국도자사 연구서가 출간되었다.이 책은 총 13장에 걸쳐 신석기시대부터 청대에 이르는 중국도자의 역사를 개괄하고 있으며, 도자 장인과 황실, 사대부 등 후원자와의 관계, 그릇의 미적 특성 및 제작의 경제, 사회적 특성까지도 포괄하고 있다. 또한 각 시대별 특성 및 도요지의 가마별 특징, 나아가 우리나라 도자사와의 연관성까지도 방대하게 연구분야로 삼고 있다.저자는 그릇이 자연과 의식주로 대변되는 인간 생활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해 왔고, 도자기의 역사가 어떻게 인간의 삶에서 세상의 원리로서 반영되는 가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지금까지의 도자사 연구서들이 대부분 양식적 변천과 미적 분석에 지면을 할애했다면, 이 책은 그릇과 그 사용 주체인 인 간의 삶을 결합시켜 그릇의 문화사적, 사회사적 측면을 다루는 한편, 도자기의 미학적인 측면과 시대적 영향 관계도 조망하고 있다.국내에 소개된 중국도자사 연구의 대부분이 번역서인 현실 속에서 저자는 본 연구가 기본적으로 한국도자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작되었음을 밝히는 것은 주목할만한 대목이다. 방대한 주석과 참고문헌 및 색인 역시, 관심 있는 연구자들에게 훌륭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책소개


이 책은 총 13장에 걸쳐 신석기시대부터 청대에 이르는 중국도자의 역사를 다루었다. 도자 장인과 황실, 사대부 등 후원자와의 관계, 그릇의 미적 특징과 제작의 경제, 사회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서술의 목표를 두었다. 먼저 중국도자의 발생과 변천을 시기별, 지역별로 나누어 제작배경과 제작기술을 설명하였다. 또한 이를 둘러싼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영향관계와 세계 도자 무역을 주도했던 대외무역 및 교류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남북방의 중국도자와 가마터를 중심으로 고고학적 발굴 자료를 활용하여 그 양식적 특징과 변천을 미술사적으로 분석하였다. 각종 역사서와 문집 등 다양한 문헌자료를 활용하여 중국도자의 제작 체계와 수요층의 시대미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 시기 안에서는 지역적으로 세분화하되 시기별로 대표적인 가마와 작품을 두 개의 축으로 구성하여 서술하였다. 예를 들어 진시황 병마용과 한대 陶俑, 당대의 당삼채와 절강성 월주요와 형요, 송대의 월주요, 요주요, 정요, 관요, 경덕진요, 용천요, 자주요, 건요, 균요, 여요, 덕화요, 원대의 경덕진 청화백자와 용천요, 명청대 경덕진을 중심으로 한 청화백자와 오채, 분채자기 등이 그것이다. 이들 가마의 지리적 기술적 특징과 여기에서 생산된 대표적인 기종을 파악하고 각각의 제작기술, 제작배경, 작품의 양식적 특징, 후원세력과 동시기 다른 미술작품과의 관계, 대외 무역과 외국의 영향과 출토 상황, 시기별 대표적인 도자 문헌자료 분석을 통한 미학적 해석과 설명을 곁들였다. 또한 유럽과 동남아, 일본에의 수출자기와 한국의 관계는 별도의 장을 만들어 보다 심도있게 다루었다. 이를 통해 중국도자의 세계도자사상 위치와 한국도자의 상대적 위치와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종 사진자료는 현지에서 직접 촬영한 것을 가능한 활용하고 중국과 대만, 일본, 유럽 등지의 박물관과 미술관의 협조를 얻어 풍부한 사진 자료를 싣고있다.




지은이 | 방병선

1960년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기계설계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친 후 전공을 바꿔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저서로 <조선후기 백자 연구>, <순백으로 빚어 낸 조선의 마음, 백자>, <왕조실록을 통해 본 조선도자사>, <도자기> 등과 많은 논문이 있다. 서울시 문화재위원과 문화재감정위원을 역임하고 현재 간송미술관 연구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충청남도 문화재위원, 한국미술사학회 총무이사 등을 맡고 있으며 고려대학교 동아시아미술문화연구소장과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목차


책 머리에


01 서 론 _ 10 

1. 그릇이란 무엇인가 11 

2. 화북과 화남 15


02 중국 도자의 여명기 _ 17 

1. 신석기시대 17 

2. 앙소문화 19 

3. 마가요馬家窯 도기 24 

4. 제작기법 27


03 청동기 시대 도기: 중국 고대 문화의 꽃, 하・M상・M주・M춘추전국시대 _ 31 

1. 하대 도기 31 

2. 상대 도기 32 

3. 주대周代도기 39 

4. 춘추시대 도기 42 

5. 전국시대 도기 43


04 진・M한대 부장副葬 도자의 유행: 진대 병마용과 한대 원시청자 _ 51 

1. 병마용의 위세: 진대 도자 53 

2. 청자 제작의 개시: 한대 도자 55 

3. 연유도기의 등장 64 

4. 시유도기와 청자의 출현 66


05 도용과 자기의 발달: 삼국・L남북조・M수대 도자 _ 69 

1. 제작배경 70 

2. 도용 76 

3. 청자의 발달과 월주요 85 

4. 화북도자와 가마 92 

5. 새로운 그릇: 수대(581~618) 백자의 출현 99


06 팩스 차이나: 당삼채와 오대 월주청자 _ 109 

1. 당대 도자 제작배경 109 

2. 글로벌 상표: 당삼채 111 

3. 도용 116 

4. 당삼채의 수출 124 

5. 당대 비색 청자: 월주요 127 

6. 오대 월주요 청자 131 

7. 당·오대 남북방자기; 형요·공현요·요주요·동관요·경덕진요·공래요 135 

8. 당·오대 한중 도자 교섭 152

07 아취와 야성: 북송, 요, 금대 북방 자기 _ 162 

1. 북송 관요 164 

2. 송대 관요의 역할: 예기 제작 167 

3. 북송 최고의 백자: 정요 171 

4. 북송 문인의 로망, 여요 176 

5. 북방 청자 중의 청자, 요주요 187 

6. 북방 민중자기: 자주요 195 

7. 모던 채색의 선구, 균요 203 

8. 요(916~1123)·금대 도자 210


08 문인의 아취: 남송대 관요와 남방 자기 _ 235 

1. 항주의 우과천청雨過天靑: 남송관요 237 

2. 남송 월주요 251 

3. 새로운 청자, 용천요 253 

4. 청백자의 새로운 경지, 경덕진요 261 

5. 무역도자의 선봉, 덕화요 266 

6. 흑색의 미, 건요 269 

7. 모던 장식의 선구: 길주요 277


09 청화백자의 세계: 원대 경덕진과 용천 _ 281 

1. 원대 관요와 부량자국 282 

2. 원대 경덕진 자기의 종류와 제작기술 287 

3. 새로운 글로벌 상품: 원대 청화백자 297 

4. 원대 유리홍釉裏紅 316 

5. 원대 용천요 321 

6. 원대 자주요 328 

7. 원대 균요 336 

8. 원대 덕화요 340 

9. 무역도자 344


10 청화, 오채, 두채의 향연: 명대 경덕진 자기와 무역도자 _ 365 

1. 명대 도자 개관 366 

2. 명대 어기창 370 

3. 명대 관요 자기의 양식 변천 387 

4. 용천요 409 

5. 자주요와 균요 416

6. 덕화요 420 

7. 법화기法花器 424 

8. 무역도자 426


11 명말청초 도자: 흥취와 격변의 시대 _ 442 

1. 변화와 도전 442 

2. 신양식의 출현 444 

3. 무역도자 453


12 황제, 분채, 경덕진: 청대 경덕진과 화려한 대미 _ 472 

1. 청대 어요창의 운영체제와 제작기술 475 

2. 양식변천 488 

3. 땅뜨레꼴 신부 서한과 『도야도설』, 그리고 『경덕진도록』 505 

4. 청대 무역도자 561 

5. 청말 민국 시기 도자 579


13 세계 속의 중국도자 _ 585


주석 및 참고문헌 _ 592

색 인 _ 68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