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영은 한국 추상조각을 대표하는 예술가이며 선비와 같은 삶을 살면서도 전통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현대적인 미의식을 추구한다. 저자는 객관적인 시선으로 김종영의 삶과 예술 세계를 들여다보고, 인간과 자연에 대한 깊은 통찰이 응집된 추상조각에서 느낄 수 있는 감동을 전한다.
책 소 개
인간과 자연을 통찰한 조각가
김종영의 예술 세계를 만나다
한국 현대조각의 이정표, 김종영
김종영金鍾瑛, 1915-1982은 한국의 추상조각을 대표하는 예술가다. 해방 이후에 한국 조각이 일본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정체되어 있을 때 그는 기존의 조각 전통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만들어 나갔다. 당시 일본과 한국의 조각계를 휩쓸었던 로댕의 영향을 뛰어넘어 스스로 추상조각을 제작한 김종영은 한국 현대조각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시공아트시리즈 59번째 책인 『김종영 한국 현대조각의 선구자』은 작가에 대한 첫 번째 평전이다. 박수근, 이중섭에 이어 시공아트시리즈에서 다루는 세 번째 한국 작가이기도 하다. 김종영은 조선시대 선비와 같은 삶을 살면서도 전통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현대적인 미의식을 추구한 예술가다. 그의 작품 또한 초기에는 인체가 중심이 되었다가 조각에서는 보기 드문 식물과 산으로 옮겨 가며 그 범위를 넓혔다. 단순히 자연을 작품으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자연 속 대상의 원형을 발견하여 그 본질을 조각의 재료에서 찾으려 한 것이다. 이 책에는 김종영의 올곧은 삶과 더불어 인간과 자연에 대한 통찰이 깊어 가는 여정이 담겨 있다. 또한 조각가뿐 아니라 화가와 서예가적 면모도 살펴보고 있다. 끊임없이 생각하고 끊임없이 창작에 몰두한 예술의 창조자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최초의 추상조각가
1953년, 한국전쟁으로 암담했던 시대에 영국의 테이트갤러리에서 열린 《무명정치수를 위한 기념비》 조각전에서 한국 작가의 작품이 입상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작품의 주인공은 김종영이었다. 이는 전후 최초로 국제 미술계에 한국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김종영의 작품이 당시 서구의 조각과 비교해도 결코 뒤지지 않았음을 말해 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김종영은 사대부가의 후손으로 태어나 자연스럽게 시詩서書화畵를 익혔고, 동경미술학교에 진학해 미술교육을 받았다. 당시 일본 조각계는 로댕 계열의 작가들이 주를 이루었고, 김종영 또한 그 영향으로 초기에는 인물 조각을 주로 만들었다. 하지만 1953년 이전에 제작된 [새]는 그동안의 전통적인 인체 조각과는 완전히 달랐다. 더 놀라운 것은 이것이 누구의 영향도 받지 않은, 스스로 터득해 만들어 낸 추상조각이었다는 점이다. 김종영의 혁신적인 시도와 진지한 작업 태도는 그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학생들에게 그대로 전해졌으며, 한국 조각의 길을 닦아 준 진정한 선구자라고 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조각에서 찾은 ‘조각하지 않는 아름다움’
김종영은 ‘불각不刻의 미’를 추구한 조각가다. 조각가임에도 ‘조각하지 않음’을 추구했다는 것은 언뜻 보아 이해가 가지 않는다. 김종영이 말하는 ‘불각’이란 단순히 깎지 않는 것이 아니다. 깎아 낸 흔적을 최대한 없애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경지가 바로 ‘불각’의 아름다움인 것이다.
김종영은 “내 작품의 모티프는 주로 인물과 식물과 산이었다”라고 말했을 정도로 이 세 가지 주제에 집중했다. 초기 작품들에서는 인물이 주로 나타나고, 차례로 식물과 산으로 관심이 옮겨 갔다. 특히 후기로 갈수록 나무나 돌에서는 조각한 흔적이 사라지고 마치 원래 그런 모양의 나무나 돌이었던 것처럼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 주었다. 차가운 대리석 돌덩이에서 꽃이 피어나고 잎사귀가 돋아나는 모습을 이끌어 내기도 했고, 돌을 깎아 냄으로써 원래의 돌보다 더 돌 같은 모습을 만들기도 했다. 이는 오랜 세월 꾸준하게 자연현상을 탐구하여 얻은 결과였다.
서예와 그림에 뛰어난 조각가
옛 선비들의 덕목 중 하나는 시서화에 능한 것이었다. 화가라면 그림에 곁들여 멋진 글씨를 쓸 줄 알아야 했고, 서예가라면 사군자쯤은 그릴 줄 알아야 했다. 하지만 현대로 올수록 서예와 회화의 영역은 뚜렷이 구분되었고, 이 둘을 겸비한 예술가는 찾기 어려워졌다. 하지만 김종영은 800여 점의 서예 작품과 3,000여 점의 드로잉 작품을 남길 정도로 서와 화에 능했다. 즉 한쪽에만 치우치지 않은 통합형 예술가였던 것이다.
이 책에서는 서예, 드로잉, 유화 등 김종영의 또 다른 작품 세계를 보여 준다. 특히 다양한 자화상 드로잉이 눈길을 끈다. 조각가 중에 이렇게 많은 드로잉을 남긴 경우는 드물다. 그가 하나의 작업을 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구상과 노력을 했는지 잘 보여 주는 예다. 재미있는 것은 드로잉이 조각을 위한 준비 작업만이 아니라 생각의 과정을 담고 있는 또 다른 작품이라는 점이다. 그가 3,000점에 가까운 드로잉을 남겼다는 것은 한시도 쉬지 않고 끊임없이 생각하고 표현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김종영은 작가이자 교육자로 평생을 살았다. 오로지 작업과 자기 성찰에만 집중하며 많은 작품을 남겼다. 우리나라 근현대 작가들의 작품이 관리 소홀로 소실되거나 방치되고 있어 안타까움을 자아내는 데 반해 김종영의 작품은 잘 보존되고 있어 다행한 일이다. 하지만 그동안 대중적인 관심을 받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다. 저자는 객관적인 시선으로 김종영의 삶과 예술 세계를 들여다보고, 인간과 자연에 대한 깊은 통찰이 응집된 추상조각에서 느낄 수 있는 감동을 전하고 있다.
지은이 ㅣ 오광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수학했으며 홍익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강사 및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국전》, 《한국미술대상전》, 《동아미술제》, 《중앙미술대전》 등에서 심사위원 및 운영위원, 《상파울루 비엔날레》, 《베니스 비엔날레》, 《광주 비엔날레》 등 여러 국제전에서 커미셔너로 참여했으며 《광주 비엔날레》 전시 총감독을 맡은 바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전문위원(큐레이터)을 거쳐, 환기미술관 관장,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한솔뮤지엄 관장으로 있다. 저서로 『한국현대미술사』, 『한국미술의 현장』, 『박수근』, 『이중섭』, 『한국근대미술사상노트』, 『시대와 한국미술』, 『김기창과 박래현』, 『미술이란 무엇인가』, 『우리 시대의 미술가들』 외 다수가 있다.
목 차
저자의 말
1 조각이란 무엇인가
조각의 자립
중국의 조각
일본의 조각
한국의 근대조각
근대기의 조각가, 김복진
한국 근대조각의 뿌리
해방과 왜색 탈피
라이벌 의식: 서울대와 홍익대
김종영과 조각의 길
해방 공간과 《국전》
가톨릭으로의 귀의
김종영과 완당
완당과 세잔
2 김종영의 조각 세계
무명정치수를 위한 기념비
반추상의 과정
구조의 원리와 공간의 미
용접 철조
초기의 석고 조각
초기의 추상
뚫린 공간
식물의 내연과 인체의 외연
잉태하는 형태
인체와 자연
내면적 충동과 외면적 감응
관념으로서의 산
무위無爲의 작품들
망부석의 이미지
누워 있는 형태 또는 잠자는 형상
3 김종영의 풍부한 예술 세계
서書와 조각
김종영의 서예
드로잉
김종영의 드로잉
가족상 드로잉
자화상 드로잉
자연 드로잉
불각의 미
유희정신
4 김종영의 생과 예술을 정리하며
주
도판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