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미술, 전쟁을 그리다 : 화가들이 기록한 6 · 25

  • 청구기호609.11/정76ㅎ
  • 저자명정준모 지음
  • 출판사마로니에북스
  • 출판년도2014년 6월
  • ISBN9788960533431
  • 가격16,000원

상세정보

6•25전쟁이 개전한 후 60여 년이 지난 지금, 파괴된 역사의 현장 속에서 예리한 감수성으로 시대적 아픔을 승화시킨 한국 근현대미술인의 작품들을 통해 지난 상처를 되새겨 본다. 한국 현대사에서 6•25전쟁은 커다란 변혁을 가져온 사건이며 그 의미를 민족사에 되새기는 작업을 해야 할 당위성을 가진 미해결의 역사이다. 그러나 현재 그 본질은 논외로 치부되고 의미는 퇴색된 채 정치적 관점과 이해득실에 따라 의미와 가치를 부여 받고 있다. 이처럼 왜곡된 기준은 해방 이후 기지개를 켜기 시작한 우리 화가들에게도 적용되었다. 6•25전쟁이라는 특수한 사건으로 인해 그들의 작품이 가진 가치와 미학적 담론은 논외 되고 현실참여 여부만이 평가의 척도가 된 것이다.

이 책은 6•25전쟁이 시작되고 인민에 의해 함락된 ‘인공 치하의 서울’에서 화가들이 겪어야 했던 현실을 시작으로 그들이 겪어야 했던 전장에서의 삶에 대해 그려냈다.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우리 화가들이 그려야 했던 선전화와 김일성 초상화, 그리고 전쟁과 정치적인 명분에 따라 가열되는 좌우 대립, 그로 인해 희생되는 안타까운 화가들의 모습이 6•25전쟁의 전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만나볼 수 없었던 종군 화가들과 월북화가들의 행적까지 소개하며 잃어버린 우리 화가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거시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6•25전쟁과 당시 화가들의 삶과 예술을 재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책 소 개

혼돈의 시대를 오롯이 살아낸 한국 화가들의 삶!

한국 현대사에서 6.25전쟁은 커다란 변혁을 가져온 사건이며 그 의미를 민족사에 되새기는 작업을 해야 할 당위성을 가진 미해결의 역사이다. 그러나 현재 그 본질은 논외로 치부되고 의미는 퇴색된 채 정치적 관점과 이해득실에 따라 의미와 가치를 부여 받고 있다. 이처럼 왜곡된 기준은 해방 이후 기지개를 켜기 시작한 우리 화가들에게도 적용되었다. 6.25전쟁이라는 특수한 사건으로 인해 그들의 작품이 가진 가치와 미학적 담론은 논외되고 현실참여 여부만이 평가의 척도가 된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책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만난 수 많은 한국화가들의 작품과 자취를 통해 기존의 관점이 왜곡됐음을, 그리고 화가들 역시 인간이었기에 전쟁이라는 멍에를 피해갈 수 없었음을 발견한다. 어찌 보면 세상사는 요령이 남들보다 부족했을 예술가들에게 전쟁은 누구에게보다도 잔혹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삶을 잊기 위해 그리고 실존의 흔적을 남기기 위해 노력했다. 

한 분야에 대한 연구에 있어 심도 있는 작품과 자료의 발굴 그리고 연구를 통한 규명 후에 공과(功過)를 논하는 것은 당연한 절차일 것이다. 그렇기에 이 책을 계기로 보다 거시적인 시각과 객관적인 입장에서 한국 화가들의 삶과 예술을 재평가할 수 있길 기대한다. 

주요 내용

- 1950년 6월 한반도에서 일어난 6.25전쟁은 수많은 인명이 희생되고 물적 손실을 일으킨 아물지 않은 우리의 역사이다. 역사 안에서 우리 화가들 역시 자유로울 수 없었으나 이들은 아픔의 순간을 예술로 승화시켜 끊임없이 작품을 제작했고, 일부는 종군 화가단으로 활동하며 화가의 눈으로 역사를 기록하는데 앞장섰다. 또한 피난지인 부산의 열악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크고 작은 전시회를 개최했다. 하지만 전쟁 기간 동안 목숨을 잃거나 이념에 따라 혹은 시대에 휩쓸려 고향을 등지고 월북, 월남 하는 화가들이 생겨났고 이로 인해 우리는 지금까지도 단절된 반쪽의 미술사를 갖고 있다.

- 이 책에서는 6.25전쟁이 시작되고 인민에 의해 함락된 ‘인공 치하의 서울’에서 화가들이 겪어야 했던 현실을 시작으로 그들이 겪어야 했던 전장에서의 삶에 대해 알려준다.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우리 화가들이 그려야 했던 선전화와 김일성 초상화, 그리고 전쟁과 정치적인 명분에 따라 가열되는 좌우 대립, 그로 인해 희생되는 안타까운 화가들의 모습이 6.25전쟁의 전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접할 길이 없었던 종군 화가단의 활약과 그들이 남긴 작품, 월북 화가들의 행적까지 최대한 수록하여 잃어버린 우리 화가들에 대한 정보를 전해준다. 

- 1951년 10월 19일 중공군의 참전에 따라 전쟁은 열세로 돌아섰고 이에 따라 많은 국민들은 남으로 피난을 내려간다. 그렇게 흘러 들어간 피난지 부산에서의 삶은 참혹하기 그지없었고 한국현대미술사에 큰 족적을 남긴 박수근, 이중섭, 장욱진과 같은 화가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들은 미군부대 앞에서 초상을 그려주거나 허드렛일을 하며 생을 이어나갔으며 대한경질도기주식회사에서 장식접시에 그림을 그리는 일을 했다. 그러나 이런 와중에서도 부산의 광복동 다방거리에서는 크고 작은 전시회가 끊이지 않았으며 이 사실들이 바로 우리 화가들의 끈질긴 생의 의지와 예술에 대한 저력을 목격할 수 있는 사례이다. 

- 국방부 정훈국 산하의 종군 화가단을 필두로 조직되기 시작한 종군화가단은 치열한 전투현장의 참혹한 현실을 경험한다. 우신출과 이준, 오영수 같은 이들은 진격하는 국군과 함께 원산까지 북진했고 그 과정에서 동료를 잃는 사고를 겪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은 굴하지 않고 그림으로 역사를 기록하는 자신들의 소임을 다 했다. 


지은이 ㅣ 정준모
중앙대학교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동숭아트센터, 토탈미술관 큐레이터를 시작으로 1995년 제1회 광주비엔날레 전시부장 겸 전문위원, 대변인으로 활동했다. 1996년부터 2006년 봄까지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관과 학예연구실장, 덕수궁미술관장을 지냈으며 고양문화재단 전시감독을 역임했다. 1995년부터 지금까지 ‘기무사에 미술관을 원하는 사람들’이라는 NGO의 상임간사로 기무사에 서울관을 설립하는 데 힘을 보탰다. 2011년에는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총감독으로 10여 년간 방치되었던 옛 청주 연초 제조창 건물을 활용, 전시와 도심 재창조에 신기원을 이뤘다. 이후 이 일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의 계기가 되었다.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초빙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큐레이터로, 미술 행정가로 시각 문화 정책 관련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시각 문화 저변 확대에 관심이 큰 그는 문화방송(MBC) [문화스페셜], 한국방송공사(KBS) [문화가 산책]과 기독교방송(CBS)의 클래식 음악 프로그램인 [아름다운 당신에게]를 진행하며 음악과 미술을 접목시켜 소개했다. 교육방송(EBS)이 25회에 걸쳐 제작 방영한 [청소년 미술 감상]은 현재 중고등학교 미술 수업의 교재로 활용되고 있다. 

큐레이팅했던 전시로는 《통痛-1990》(동숭아트센터, 1990), 《한국 현대미술, 격정과 도전의 세대》(토탈미술관, 서울, 1993), 《토니 크랙》(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97), 《안도 타다오의 건축》(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98), 《영국현대미술》(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98), 《아트&아트웨어-옷, 그 겉과 안》(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루이즈 브루주아》(국립현대미술관, 2000), 《러시아 천년의 삶과 꿈》(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분관, 국립광주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부산시립미술관, 2000), 《바벨 2002》(국립현대미술관, 2002), 《아트 북 아트》(국립현대미술관, 한국출판협회, 2003) 등이 있다. 특히 국립현대미술관이 한국 근현대미술사를 정리하고자 1998년부터 기획 실행한 《근대를 보는 눈》은 한국 근대 유화 및 수묵채색화, 조소, 공예를 분야별로 최초로 심도 있게 집대성한 전시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2000년부터 《한국 현대미술의 시원》(국립현대미술관, 2000)을 시작으로 《한국 현대미술의 전개-전환과 역동의 시대》(국립현대미술관, 2001), 《한국 현대미술의 전개-사유와 감성의 시대》(국립현대미술관, 2002)를 총괄 기획하여 한국 현대미술사를 처음으로 개괄적으로 정리한 바 있다. 
논문으로는 「한국 미술의 현대성 규명을 위한 시론」(2000), 「한국 근현대미술관사 연구-국립미술관에 대한 인식과 제도적 모순의 근원을 중심으로」(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04), 「한국 미술 시장의 화랑의 역할과 문제점 그리고 그 대안」(문화예술위원회, 2006), 「문화 예술인 복지 제도에 관한 연구」(문화예술위원회, 2006), 「화가로서의 문신」(한국인물미술사학회, 2006) 외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저서로는 『영화 속 미술관』(마로니에북스, 2011), 편저서로는 『아트 북 아트』(컬처북스, 2003), 역서로는 『미술관 관람의 길잡이』(시공사, 1994)가 있다.


목 차

1. 시작하면서 

2. 찢긴 한반도
01 혼비백산하는 화가들 
02 계속되는 문화유산의 수난기 
03 월북 화가들 
04 6.25전쟁과 북한미술 
05 1.4후퇴와 월남 미술인들 

3. 삶도 예술도 귀했던 시절
01 미술인들의 피난살이 
02 전쟁에서 피어난 꽃 
03. 문화센터? 다방! 
04 유일한 생계수단 도기에 꿈을 그리다
05 동상과 영정 그리고 기념물 

4. 문화예술인들, 전선을 넘나들다
01 전선에 동원된 예술가들 
02 예술가들, 전선에 서다
03 전선을 누비는 화가들 
04 종군 화가단의 면모와 전쟁화의 의미 
05 6.25전쟁과 만화, 삐라 
06 전선을 향한 소리 없는 총구 

5. 환도_이별의 말도 없이
01 종전이 아닌 휴전 
02 전쟁 중 꿈에 본 세계 
03 화가들의 귀환과 되살아나는 명동
04. 국전 재개와 분열하는 화단 
05. 새로운 미술의 탐구와 재무장하는 비평 

6. 마치며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