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스몰 토크 : 뉴욕에서의 대화

  • 청구기호650.4/맹78ㅅ
  • 저자명맹지영, 유J 지음
  • 출판사북노마드
  • 출판년도2015년 1월
  • ISBN9788997835881
  • 가격15,000원

상세정보

한국 미술 현장에서 부재했던 그 소소한 장면, 작고 가벼운 ‘스몰 토크’들을 하나로 묶은 결과물이다. 두 저자가 일상 속에서 예술에 대해 나누는 대화는 미술관에서 시작해 아파트, 거리, 공원으로 확장되고, 따라가다 보면, 일상에서 자연스럽고 친근하게 예술에 다가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책 소 개

“우리가 일상이라는 예술을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일상은 미묘하게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색깔로, 다른 구도로 펼쳐진다.”

예술의 문턱은 여전히 높다. 그렇다면 예술이 대중에게 가 닿는 것은 정말로 아득히 먼 일일까? 예술이 우리의 일상으로 들어올 수는 없을까? 서울과 뉴욕이라는 두 도시의 아트 신(Art scene)을 경험한 큐레이터 맹지영과 아트 디렉터 유J는 이런 고민을 안고 『스몰 토크: 뉴욕에서의 대화』를 시작했다. 그들은 열한 번의 대화를 나누고 여섯 개의 짧은 단상을 모으는 과정을 거치며, 서울과 뉴욕, 두 도시의 미술 현장이 사뭇 다름을 알아차렸다. 특히 한국 미술 현장의 대중들은 예술에 대해 어렴풋 거리감을 느끼고 있었는데, 두 사람은 그 이유가 ‘대화의 부재’에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때문에 대중이 예술에 느끼는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전시 공간의 접근성 등 물리적인 환경을 개선하는 노력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고 가벼운 대화, 즉 ‘스몰 토크(Small talk)’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전시 오프닝에서 처음 만난 관람객들이 작품을 앞에 두고 떠들썩하게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 눈앞의 작품에 한정된 이야기가 아니라 거기에서 연상되는 자신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자연스럽고 가볍게 찾아가는 장면. 이 책은 한국 미술 현장에서 부재했던 그 소소한 장면, 작고 가벼운 ‘스몰 토크’들을 하나로 묶은 결과물이다. 미술관에서 시작해 미술관 밖으로 확장되어가는 두 사람의 대화를 따라가다보면, 일상에서 자연스럽고 친근하게 예술에 다가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예술 앞에서 보다 적극적인 감상자가 되고 싶은, 일상에 스민 예술을 발견하고 싶은 독자에게는, 사소하지만 중요한 이 이야기 ‘스몰 토크’에 귀를 기울여볼 일만 남았다.

미술이 우리의 일상으로 들어온 것일까? 익히 알려진 미술관과 갤러리뿐만 아니라 대안공간과 비영리 기관들이 작은 골목길에도 속속 생겨나고 있다. 그 공간들의 문은 활짝 열려 있지만 어찌된 일인지 대중에게는 그 문턱이 여전히 높기만 하다. 눈부시게 하얀 화이트큐브, 공간을 감싸고 있는 적막감…… 선뜻 걸음을 떼어 그 안으로 들어서기는 쉽지 않다. 결국 예술은 일상과 분리된 장소에서 일부 사람들에게 소비되고 만다. 이는 과연 누구를 위한 전시란 말인가. 오지 않을 관객을 기다리는 텅 빈 전시장은 무슨 의미가 있다는 말인가. 그렇다면 예술이 대중에게 가 닿는 것은 정말로 아득히 먼 일일까? 예술이 우리의 일상으로 들어올 수는 없을까? 서울과 뉴욕이라는 두 도시의 아트 신(Art scene)을 경험한 큐레이터 맹지영(화자 ‘a’)과 아트 디렉터 유J(화자 ‘b’)는 이런 고민을 안고 『스몰 토크: 뉴욕에서의 대화』를 시작했다. 

그들은 열한 번의 대화를 나누고 여섯 개의 짧은 단상을 모으는 과정을 거치며, 서울과 뉴욕, 두 도시의 미술 현장이 사뭇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차린다. 뉴욕에는 저마다의 역사와 개성을 내세워 관람객들이 믿고 찾는 갤러리와 미술관이 많다. 그곳에서는 어린 딸과 아버지가 작품을 두고 함께 대화를 나누는 장면,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모여 떠들썩하게 이야기하는 장면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어쩐지 낯선 장면이다. 한국 미술 현장의 대중들은 전시 공간에서 편안함보다 긴장감을 먼저 감지한다. 작가의 의도, 작품의 배경 같은 정보들을 조각조각 기워내 정답을 완성하려 한다. 그렇게 찾아낸 답이 혹시 틀리지는 않았을까 하는 걱정에 쉽사리 입을 떼지 못한다. 이렇듯 한국 미술 현장의 대중들은 예술에 대해 어렴풋 거리감을 느끼고 있었는데, 두 사람은 그 이유가 ‘대화의 부재’에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때문에 대중이 예술에 느끼는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전시 공간의 접근성 등 물리적인 환경을 개선하는 노력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고 가벼운 대화, 즉 ‘스몰 토크(Small talk)’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 책의 화자인 a와 b가 일상에서 나누는 가벼운 이야기들은 그런 작은 움직임의 일부이다. a와 b는 더 자주, 더 많이 이야기하자고 독자에게 끊임없이 말을 건다. 단지 독자의 앞에 놓인 작품에 한정된 이야기만을 하는 게 아니라 그로부터 연상되는 이야기 혹은 ‘각자의 삶과 이어진 연결 고리’를 찾아내자고 말한다. 감상에 규칙이나 정답은 없다. 우리 삶의 꼴이 모두 똑같을 수 없듯 예술에도 정답이 하나일 수 없다. 그 사실을 알게 될 때, 우리는 조금 더 자연스럽고 가볍게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어놓을 수 있을 것이다. 예술과 일상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순간, 진짜 감상이 탄생하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끊임없이 나누는 가벼운 이야기, ‘스몰 토크’가 필요하다.

이 책은 한국 미술 현장에서 부재했던 그 소소한 장면, 작고 가벼운 ‘스몰 토크’들을 하나로 묶은 결과물이다. a와 b가 일상 속에서 예술에 대해 나누는 대화는 미술관에서 시작해 아파트, 거리, 공원으로 확장된다. 자연 속에 스민 풍경과 소리, 그 모든 것이 감상의 대상이 된다. 그들은 말한다. 우리가 일상이라는 예술을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일상은 미묘하게 달라질 수 있다고. 다른 색깔로, 다른 구도로 펼쳐질 것이라고. 그러니 예술 앞에서 보다 적극적인 감상자가 되고 싶은, 일상에 스민 예술을 발견하고 싶은 독자에게는, 사소하지만 중요한 이 이야기 ‘스몰 토크’에 귀를 기울여볼 일만 남았다. 


지은이 ㅣ 맹지영
큐레이터이자 평론가이다. 현재 두산갤러리에서 큐레이터로 활동하면서 예술에 관한 글쓰기를 함께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매사추세츠 주립대학교와 스쿨 오브 비주얼아트에서 미술 실기와 이론(평론)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0여 년간 미국에서 미술 관련 공부와 실무를 경험한 후, 2011년 귀국했다. 전시와 글을 통해 대중이 느끼는 예술과의 거리감을 좁히고, 일상에서 자연스럽고 친근하게 예술에 다가가는 방법을 찾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지은이 ㅣ 유 J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활동중이다. 2001년 미국으로 유학하여 파슨스 디자인 스쿨에서 디자인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고, 디자인 회사에서 직장 생활을 했다. 2011년에 한국으로 귀국하여 대기업에서 UI 디자이너로 일하다, 스스로 회사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여러 문화권과 다양한 회사에서 일했던 경험을 통해 자신만의 문화 콘텐츠를 만들고 있다.


목 차

대화를 시작하며
첫번째 대화 / 뉴욕, MoMA(뉴욕 현대미술관)에서
두번째 대화 / 아나콘다 이야기 / 스몰 토크
세번째 대화 / 조슈아트리 사막에서
네번째 대화 / 뉴요커의 그림 감상법
다섯번째 대화 / 간식통 속의 괴물
여섯번째 대화 / 이것도 예술이야?: 소리로 호흡하기 
일곱번째 대화 / 작은 미술관이 주는 행복
장면 하나 / 고래와의 만남
장면 둘 / 열쇠 속 세상
여덟번째 대화 / 서울,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 다방에서
장면 셋 / 강아지에 대하여
아홉번째 대화 / 소비하는 삶
열번째 대화 / 강아지 길들이기
장면 넷 / 예술가 그리고 어머니
장면 다섯 / 소음과 음악의 차이 Ⅰ
장면 여섯 / 소음과 음악의 차이 Ⅱ
열한번째 대화 / 무거운 문, 가벼운 문
b의 독백 / 뉴욕에 대한 단상
대화 이후, a의 독백 / 작가의 말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