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대표하는 화가가 20년간 마음속에 그리다 짓고 살게 된 집이 있다. 그 집에 대해 쓴 이 책은 그러나 ‘집 잘 짓는 법’이나 ‘집 잘 꾸미는 법’을 담고 있지 않다. 대신 좋은 사람들과의 인연으로 작은 나무 집 한 채를 쌓아 올리는 과정과, 그렇게 지어진 집의 툇마루에 앉아 햇살을 받으며 느낀 작고 소담한 행복을 이야기한다.
책 소 개
나무 집이 마련해준 작고 소담한 행복의 순간들
한국을 대표하는 화가가 20년간 마음속에 그리다 짓고 살게 된 집이 있다. 그 집에 대해 쓴 이 책은 그러나 ‘집 잘 짓는 법’이나 ‘집 잘 꾸미는 법’을 담고 있지 않다. 대신 좋은 사람들과의 인연으로 작은 나무 집 한 채를 쌓아 올리는 과정과, 그렇게 지어진 집의 툇마루에 앉아 햇살을 받으며 느낀 작고 소담한 행복을 이야기한다. 김병종의 『나무 집 예찬』. 저자가 예찬해 마지않는 ‘나무 집’은 우리 옛집 ‘한옥’의 다른 이름이다. 저자에게는 ‘콘크리트 아파트’의 반대말이기도 하다.
김병종의 글과 함께, 뉴욕 타임스 객원 사진기자인 김남식이 가을과 겨울, 그리고 봄으로 이어지는 계절의 품 안에서, 아침, 오후, 저녁, 밤, 그리고 새벽으로 이어지는 시간들 속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작은 한옥 한 채의 표정을 담아냈다. 한옥에 살기를 꿈꾸지 않는다 해도, 조금쯤 쉬어가고픈 이들에게 ‘시간을 늘려’ 살아볼 기회를 마련해준다.
광속의 시간에 저항하고 싶다면,
나무 집으로 갈 일이다
『나무 집 예찬』은 ‘집’이 아니라 ‘시간’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된다. 책 읽을 시간도, 추억할 시간도, 꿈꿀 시간도 빼앗겨버린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세상에 갈증을 느끼며, 저자는 모든 것을 집어던지고 시골에 집을 짓고 들어앉은 문필가 웬델 베리의 이야기를 꺼낸다. 물론 모두가 웬델 베리가 되어 자연 속으로 걸어 들어갈 수는 없으며(그럴 용기도, 여유도 없기에), ‘번쩍번쩍’ 지나가버린 생애의 시간들을 아쉬워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말이다. 그는 ‘광속의 시간’에 맞서 자신의 속도를 되찾고 싶지만, 그럴 용기도 여유도 없는 이들을 위해 한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나무 집으로 가보는 것, ‘햇빛과 바람과 빗방울의 시간 쪽으로 눈과 마음을 돌려보는 것’이다.
천천히 새벽이 열리고 아침이 오기까지 시간은 더디 오고 더디 간다. 창호에 햇살이 푸짐하게 비쳐 오기까지는 더 말할 것도 없다. 간단하게 조반을 챙겨 먹고, 음악을 듣고, 책을 읽고, 글을 쓰고, 산책을 한 번 하고 와도 점심때까지는 턱없이 멀다. 장터에 가서 국밥을 사 먹고 동네 목욕탕에 들렀다가 가게에서 이것저것 사가지고 들어온다. 산그늘이 내리고 실내의 빛이 나무 틈으로 서서히 빠져나가고 나면 평화로운 저녁이다. 도시의 삶에서는 증발되어버린 지 오래인 저녁의 삶이 시작되는 것이다. _<프롤로그>, 16쪽
마당의 풀을 뽑고 세숫대야에 물을 떠 툇마루에 앉아 손을 닦고 그 물을 마당에 버리고 돌아서서 하늘을 보는 것도 그곳에서는 하나의 ‘일’이었다. 나의 모든 행위는 즐겁게 퇴행하기 시작했다. _<달빛과 은행나무>, 48쪽
그런데 왜 한옥을 ‘나무 집’이라 하는가. ‘한옥’이라 하면 ‘옛집’, ‘전통의 미’가 먼저 떠오른다. ‘나무 집’이라고 하면 그보다는 ‘자연’이라는 의미가 더 강해진다. 전자가 ‘집’ 자체를 떠올리게 한다면, 후자는 그 집과 함께하는 ‘삶의 방식’을 떠올리게 한다. ‘나무 집으로 가자’는 것은 그러므로 ‘삶의 방식을 되돌리자’는 말인 것이다.
나무 틈으로 비쳐든 석양, 어둠 속에 섞여 있는 박명(薄明)…
집이 그림이 되는 순간이 있다
아름다운 집을 이를 때 ‘그림 같은 집’이라고 한다. 저자는 흔히 건물의 외관을 떠올리게 되는 이 표현을 조금 바꾸어 ‘집이 그림이 되는 순간’을 글과 사진으로 담아냈다.
1부 <인연으로 쌓아 올린 집 한 채>에서는 시절과 인연을 좇아 한옥 한 채를 지어내기까지의 과정을 써 내려갔다. 처음 한옥을 갖고 싶다는 꿈을 품게 된 순간, 집터와 인연을 맺게 된 사연, 목수, 철물장이 등 ‘말 없는 실천가들’의 집짓기를 지켜보며 느낀 신선한 감동 등 따뜻한 추억들이 이어진다.
2부 <가을의 빛>, 3부 <눈 온 날 오후>에는 시간을 들여 지은 나무 집에서 ‘참 좋다’ 하고 느낀 행복의 순간들을, 계절과 시간에 따라 나누어 담았다. 가을 아침, 기왓장 위에 툭툭 떨어져 있는 잘 익은 모과를 보며 ‘방하착(放下着, 집착하는 마음을 내려놓는다는 뜻의 불교 용어)’을 생각하고, 눈 온 날 오후, 맑고 깨끗한 하늘을 보며 ‘허다한 죄의 얼룩을 덮어주려는 신의 배려’를 생각한다. 집과 풍경을 통해 우리네 삶을 생각해보게 된다.
사진은 뉴욕 타임스 사진부 객원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김남식이 일 년여의 시간 동안 공들여 찍었다. 눈에 보이는 그대로 담아낸 듯 담백하면서도 햇빛과 바람이 깃든 나무 집의 시간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천천히 넘겨 보다보면 휴식이 된다.
참으로 다사다난했던 한 해였다. 힘들고 팍팍한 날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늙은 은행나무’, 잠시 숨을 돌리며 ‘하냥 그렇게’ 기다릴 수 있는 좁다란 툇마루가 간절하다.
지은이 ㅣ 김병종
화가. 우리나라와 미국, 독일, 프랑스 등 여러 나라에서 30여 회의 개인전을 가졌고 국내외 많은 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미술기자상 등 다양한 미술상을 받았으며 대한민국 문화예술상과 문화훈장을 받았다. 『화첩기행』 같은 책을 썼다. 서울대 미대 학장을 지냈고 2014년 현재 그 대학에서 가르치고 있다.
사 진 ㅣ 김남식
뉴욕 국제사진센터에서 포토저널리즘과 다큐멘터리를 전공했다. 제임스 나트웨이 스튜디오의 인턴을 거쳐 2007년부터 뉴욕 타임스, 론리 플래닛 등과 작업해왔다. 2014년 현재 뉴욕에 거주하며 뉴욕 타임스 사진부 객원기자 겸 프리랜스 사진가로 활동하고 있다.
목 차
프롤로그 시간의 우물 10
1부 인연으로 쌓아 올린 집 한 채
달빛과 은행나무 24 | 나무 집을 논하다 52 | 고요한 황홀 57 | 섬세한 아름다움 66
인연으로 쌓아 올린 집 한 채 71 | 함양당에 오면 87
2부 가을의 빛
은행잎 지다 96 | 담장 아래 꽃과 나비 99 | 석간수(石間水) 흘러오다 101 | 소나무와 옛 기와 105 국화 107 | 가을의 빛 109 | 땅 위의 물개 111 | 청산을 나는 새 113 | 섬돌 위의 고무신 115
나무 십이지 117 | 블랙커피와 레드와인 118 | 카라얀과 한영애와 임방울 123 | 은행나무 131
황화(黃華) 132 | 행단시사(杏亶詩社) 135 | 작고 길쭉하고 은밀한 방 137
초록 나무와 새의 대문 139 | 옛 장인의 마음 141 | 이런 자물쇠 143 | 저녁이 온다 145
협력해서 선(善)을 이루는 집 147 | 기도의 방 149 | 불타는 석양의 빛 153
집 밖 나들이
시골 교회 155 | 퇴촌장 163 | 더 클래식 167
3부 눈 온 날 오후
절절 끓는 황토방 175 | 백설애애(白雪靄靄) 179 | 고드름을 문 봉황 181 | 흰 눈 속의 학 183
다담(茶談) 185 | 상선약수(上善若水) 187 | 문향(文香) 그윽 188 | 대청마루 191
눈 온 날 오후 193 | 낮닭 울음소리, 수련 잎에 얹히다 195 | 풍경 소리 197
눈 속의 석인(石人) 199 | 그늘 반 근 201 | 기다림 205 | 아아, 어둠이 내린다 207 | 달빛 209
멀리서 개 짖는 소리 210 | 소쩍새 소리 211 | 빛의 밤 215 | 새벽이 온다 217 | 다시 봄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