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내부에서 오랫동안 제기되었지만, 충분히 논의될 기회를 얻지 못한 작가들의 경제적인 생존이나 사회적인 지위에 대한 이야기를 8장에 걸쳐 주제별로 다룬다. 각종 국내외 레지던시, 창작스튜디오, 미술관을 무대로 활약하고 있는 작가, 기획자의 경험담은 새로운 세대 작가들이 자신들만의 방식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
책 소 개
후배 미술가들의 생존을 위한 소장 미술가, 기획자의 심층 인터뷰!
최근 공중파 뉴스에서 <엄마, 나 졸업했어>라는 제목의 한 미술대학 졸업전시가 보도된 바 있다. 이른바 ‘취포(취업 포기) 세대’라 불리는 고단한 청년들의 일상과 알바를 전전하며 전시 기회를 찾아야 하는 작가 생활에 대한 불안을 다룬 것이다. 2014년과 올해에는 전에 없이 국내 작가들의 경제적인 생존과 연관된 전시, 이벤트, 포럼, 공개 토론회, 신문기사 등이 쏟아져 나왔다. 사회 전반에 젊은 세대가 처한 구조적 문제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자연스럽게 미술대학 졸업생에 대한 관심 또한 미술계 안팎에서 부각되고 있다.
『응답하라 작가들-우리 시대 미술가들은 어떻게 사는가』는 미술계 내부에서 오랫동안 제기되었지만 충분히 논의될 기회를 갖지 못했던 작가들의 경제적인 생존과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이야기를 8장에 걸쳐 주제별 인터뷰 형식으로 다룬다.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에 대학을 졸업하고 이후 국내외 여러 전시에 참여하고 있는 이완, 송호준, 구민자, 조영주 등 소장 작가 21명의 개별 인터뷰는 작가 입문과 대인관계, 세컨드 잡, 유학과 결혼 등 작가적 생존과 성장의 과정에서 마주치는 대부분의 이슈를 망라하고 있다. 또한 저자는 준비 단계에서 독립기획자, 큐레이터, 예술인복지재단 시각예술 담당자 등을 포함한 총 50명의 설문조사와 면담 조사를 통해 텔레비전 프로그램 <아트스타 코리아> 논란, 작가비(Artist fee) 둘러싼 갑을 논쟁, 그리고 예술인복지재단의 복지기금 등 최근 불거진 미술계의 민감한 논점에 대한 폭넓은 작가들의 반응을 수합하여왔다.
미술사학자, 미술비평가로 현장과 연구 간의 밀접한 연계성을 추구해온 저자는 지난 4년간 예술상이나 국공립 창작스튜디오의 심사위원 및 멘토로 활동해왔다. 늘 작가들의 삶에 궁금증을 지니고 있던 그는 작가들의 삶에 대한 지식이 쌓이면서 이 대화들을 보다 넓은 관객들과 소통할 방법을 궁리하던 중 지난 2014년 <응답하라 작가들>이라는 전시를 기획했다. 이 전시는 우리 시대 작가의 생활과 작업 환경에 대한 인터뷰와 데이터 추출이 함께한 리서치 기반의 전시로 미술계의 이목을 끈 바 있다. 그리고 전시와 준비 기간에 진행된 인터뷰에서 다루어져온 학위 및 유학 경험, 작업실 소유 여부, 세컨드 잡의 비중, 복지 기금 수령 유무, 건강 상태, 아티스트 피(Artist fee) 분쟁 등 의 이슈들이 『응답하라 작가들-우리 시대 미술가들은 어떻게 사는가』에서도 심도 깊게 논의되었다.
지은이 | 고동연
뉴욕 시립대학교에서 미술사와 영화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2006). <응답하라 작가들> 전시와 책을 기획하기 전 각종 국공립 레지던시나 기업후원 예술가상의 심사와 멘토를 담당해오며 젊은 작가들과의 긴밀한 연계 속에서 비평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국내 중요 심포지엄과 학술지 「통섭 아시아문화연구지(Inter-Asia Cultural Studies)」 (런던, 2010, 2013), 「사진과 문화(Photography and Culture)」 (London, 2015)에 2000년대 이후 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난 대중소비문화, 남성성과 국가주의, 역사적 기억과 연관된 논문을 발표해오고 있다.
목 차
서문
008 진퇴양난의 시대, 후배 미술인들을 위하여
1 나는 이렇게 작가가 되었다
025 인트로
029 ‘프로젝트 스페이스 집’을 시작하면서–최두수
042 ‘가까운 데서 찾아라’–이완
056 미술대학, 철학, 그리고 다시 조형예술로–구민자
065 귀국 후 늦깎이 작가 생활–손종준
076 미술대학 강의자의 현장 입문기–임상빈
2 후원은 필요악: 기금과 창작스튜디오/레지던시
089 인트로
095 알바에서 기금으로–조영주
101 나의 국내외 레지던시 탐색기–구민자
111 나는 창작스튜디오/레지던시에서 소속감을 느꼈다–최기창
119 나는 왜 창작스튜디오나 레지던시에 참여하지 않을까–임상빈
3 창작을 위한 관계망
129 인트로
134 스터디 그룹과 예술창작–임상빈
140 동료의 발견, 나의 발견–함혜경
147 예상치 않은 네트워크 만들어가기–강소영 릴릴
159 SNS의 일반인들에게 물어보기–송호준
167 창작의 관계망이 지닌 득과 실, 네트워크와 잠수타기 사이에서–최두수
4 생존의 문제: 작가의 세컨드 잡
179 인트로
186 단순 알바로부터 탈출하기–함혜경
196 예술가/디자이너의 네트워크 구축하기–박재영
209 세컨드 잡과 작업의 관계–김재범
223 세컨드 잡을 최대한 배제하기–이완
5 작가비와 기획료
239 인트로
250 작가비가 없던 시절–강소영 릴릴
260 작가비에 대한 개인적인 기준–박준범
269 작가피는 복잡한 문제–박재영
278 기획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전시기획료–황정인
6 나 자신과의 싸움
289 인트로
296 규칙적으로 작업하기–김다움
311 나에게 양식적인 일관성이란–최기창
322 나는 예술로부터 무엇을 얻고자 하는가–송호준
331 슬럼프 극복하기–조영주
7 작가에게 결혼이란
338 인트로
345 여자 작가에게 결혼이란–조영주
352 남자 작가에게 결혼이란–김재범
360 가장과 작가, 쉽지 않은 조합–손종준
367 커플 작가에게 물어보다–30대 후반의 M(남)과 W(여)
8 2014년 한국미술계의 이슈들
385 인트로
394 제4회 공장미술제 그 이후–문두성(갤러리 루프)
410 아트스타 코리아 1–박준범
415 아트스타 코리아 2–김재범
422 예술인복지재단 지원금의 틈새–이연숙
433 일문일답–예술인복지재단, 김가진
부록
445 인터뷰 참여 작가 및 기획자 약력
450 전세계 작가권익단체, 복지제도, 대안적인 네트워크・공간에 관한 정보
463 추가 설문조사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