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추상조각의 터를 닦은 선각자이자 수많은 제자를 길러 낸교육자, 조각가 우성 김종영에 관한 글 모음이다. 김종영탄생 백 주년을 맞이하여, 강태성, 전뢰진, 최의순, 최종태, 윤명로, 최일단, 심차순, 최병상, 유영준, 이춘만, 강은엽, 원묘희, 류종민, 엄태정, 조재구, 백현옥, 심문섭, 안성복, 권달술, 김해성, 김효숙, 심정수, 박충흠, 윤석원, 최명룡, 최인수, 강희덕, 김영대, 원승덕, 유형택, 김병화, 김주호, 홍순모에 이르는 지난날 학생 시절을 추억하는 제자 서른세 명의 회고담을 모았다.
이제는 또 다른 많은 제자의 스승이자 영향을 주는 작가인 그들은스승과 관련한 경험이 조언 혹은 책언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말한다. 그들의 고백을 기억하며 읽어간다면‘스승이 부재하는 이 시대에 참된 스승의 표상’을 다시 생각할기회가 될 것이다. 추억과 그리움이 편편이 찍힌 책 끝에는 ‘사진으로보는 김종영과 그의 시대’라는 이름으로 선생의 사진을 가능한 한 빠짐없이 모아, 그가 살았던 시대와 소중한 인연들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도록 했다.
책소개
스승 김종영을 회상하다
한국 근대 추상조각의 선구자 우성又誠 김종영金鍾瑛(1915-1982)은 끊임없이 전통과 현대를 넘나들며 미美라는 명제와 싸워 온 흔치 않은 예술가였다. 그는 1953년, 영국 런던의 테이트 갤러리에서 주최한 ‘무명정치수를 위한 기념비’ 국제조각대회에 출품하여 입상하면서 비로소 조각가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수많은 작품을 제작했지만 스스로에게 엄격하고 절제하여, 단 두 차례의 개인전과 선별된 그룹전을 통해서만 작품을 발표했다. 경북 포항에 세운 〈전몰학생기념탑〉(1957), 서울 탑골공원에 세워진 〈삼일독립선언기념탑〉(1963) 등 기념비적인 조형물들도 많이 남겼으며, 서울대 미술대학장, 「국전」 심사위원 및 운영위원을 역임하면서 한국 조각계 발전에 헌신했다. 또한 이백여 점의 조각작품뿐 아니라 삼천여 점의 소묘작품, 팔백여 점의 서화작품 등 여러 가지 표현방식을 통해 절대미를 추구했다.
우리나라에 추상조각의 터를 닦은 김종영은 뛰어난 조각가였을 뿐만 아니라 존경받는 교육자이기도 했다. 국립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이 설립된 직후인 1948년부터 1980년까지 교수가 되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대학에서 조각을 가르치며 강태성, 최의순, 최종태, 최병상, 엄태정, 심정수 등 수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험난한 시대에 한 치의 흐트러짐 없는 삶을 살며 만인의 모범이 되었던 그는 자신에게는 가혹했지만 제자들에게는 사랑으로, 그러면서 보이지 않는 진리를 향해 일생 동안 매진했다. 김종영 선생 탄생 백 주년을 맞이하여 제자 서른세 명의 회고담을 모은 이 책은 스승 김종영과 나누었던 대화와 함께했던 시간들을 통해 예술가이자 교육자로서의 그의 삶의 단면을 밀도있게 재현해냈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스승 김종영을 그리는 회상록일 뿐만 아니라, 1946년 8월 22일 서울미대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국립서울대학교 예술대학(미술부, 음악부)이 설립되던 무렵을 짐작해 볼 수 있는 사료로서의 가치도 지니고 있다. 또한 뒷부분에 수록된 사진들 중 서울대 조소과 실기실의 모습이나 육이오 전쟁의 발발로 인해 부산 송도松島의 가교사假校舍에서 수업을 하던 모습들은 1950년대 전후 우리 미술교육의 현장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겠다.
무심한듯 던져진 말씀, 그 하나하나에 담긴 깊은 뜻
“예술가는 누구나 관중을 염두에 두게 되며, 예술가가 생각하는 관중은 시대와 지역을 초월해서 많고 넓을수록 좋다. 그러나 진정한 관중은 자기 자신이다. 왜냐하면 자신을 기만하면 관중을 속이는 셈이 될 것이고, 자신에게 정성을 다하면 그만큼 관중에게 성실하게 되기 때문이다. 결국 작품은 자신을 위해서 제작한다고 말할 수 있겠다.”? 김종영
김종영의 미술해부학 강의나 실기수업은 비교적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다. 훤칠한 키, 넓은 이마와 미소, 눈이 움푹 들어간 서구적인 이미지를 풍겼던 그는 다소 무뚝뚝하면서도 과묵했다. 자신의 작품에 대한 선생님의 칭찬이나 조언을 듣고 싶어하는 학생들에게 초연한 표정으로 “계속해 봐!”라고 한마디하는 게 고작이었다. 그럼에도 학생들은 경외와 존경의 대상으로 그를 바라보았는데, 복도 끝 김종영의 연구실에서 거의 매일 들려오는 망치 소리를 통해 학생들은 말하지 않아도 전달되는 작가정신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밑그림으로 감동을 그려라. 밑그림은 작업의 기초.”
“둥근 모양만 생각하고 씨앗은 보지 말라.”
“작품은 오랫동안 만진다고 걸작이 되는 것이 아니고, 언제 작품에서 손을 떼느냐가 중요하다.”
“이젠 장갑도 좀 벗기지. 양말도 벗기고.”
“손이 어째 말단 비대증 걸린 것 같군.”
김종영의 수업은 다른 교수들의 수업과는 남다른 데가 있었다. 교수들이 흔히 할 법한 어려운 전문용어나 현학적인 표현들만 늘어놓기보다는 그만의 화법話法을 구사했다. 그는 제자들에게 직언을 하는 대신, 조용하게 농담처럼 에둘러 말하면서 제자들이 스스로 깨우치도록 했다. 김종영이 구사한 해학적인 표현들은 수업시간마다 기분 좋은 웃음을 유발했으며, 다양한 비유법을 사용하여 알아듣기 쉽도록 하면서도 핵심만은 정확하게 전달했다.
“조각은 힘으로 하지 않는다.”
“쓸데없는 일을 하는 이가 중요한 사람이다!”
“글씨는 그림같이, 그림은 글씨같이.”
그는 일상생활에서도 부연 설명 없이 동문서답東問西答 같기도 하고 선문답禪問答 같기도 한 말을 자주 던졌다. 그의 말은 이해하기보다 생각할 겨를도 없이 지나쳐 버리기 일쑤였지만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생각이 나고 곱씹어 볼 만한 교훈을 담고 있었다고 제자들은 회상했다.
“청안淸眼, 혈안血眼 등등이 있다. 작가는 청안이어야 한다. 혈안은 무엇에 대한 욕구로 충혈이 되어 무엇을 성취하려 한다. 이권이나 탐욕을 의미하고…. 작품을 혈안으로 제작한다? 아니다. 청안, 어린이처럼 해맑은 눈으로 제작에 임하라.” ? 최의순이 회고한 김종영의 말. 「예술이라는 길은 혼자 걸어가는 것이다」 중에서
이 책은 일찍 세상을 떠난 스승을 진솔하게 그려낸 회상록으로, 1954년부터 1976년 사이에 서울미대를 졸업 또는 수료한 서른세 명의 제자들의 기록이다. 사적인 기록이지만, 예술가 김종영을 가까운 거리에서 보고 배운 제자들의 기록이다. 또한 책 끝에는, 김종영의 사진을 가능한 한 빠짐없이 모아, 그가 살았던 시대와 소중한 인연들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도록 했다.
일생 동안 속된 것들과 타협하지 않고, 이 시대의 고결한 동양적 선비 정신과 서양적 인본주의 정신(예술 정신)이 합해진 높은 경지에 도달한 스승 김종영은 무엇보다 강직한 주관과 열정을 가지고 작품에 몰두하는 예술가상藝術家像을 몸소 보여 주며 오늘날의 우리들에게도 깊은 감동을 준다.
이 책은 우성 김종영 탄생 백 주년을 맞아 “불각의 아름다움, 조각가 김종영과 그 시대”라는 주제 아래 김종영미술관, 서울대학교미술관, 경남도립미술관에서 개최되는 특별전에 맞춰 발행되었다. 김종영미술관에서는 1부 「김종영의 삶과 예술」(2015. 5. 7-7. 26)과 2부 「김종영과 그의 빛」(2015. 8. 6-8. 28)이, 서울대학교미술관에서는 「김종영의 조각, 무한의 가능성」(2015. 5. 7?7. 26)이 열리며, 경남도립미술관에서는 이 두 곳의 전시를 통합 재구성하여 개최될 예정이다.
지은이 | 강은엽
1938년 서울 출생으로, 1963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미국 뉴저지의 몽클레어주립대 대학원 졸업 후 계원디자인예술대(현 계원예술대) 부학장을 역임했다. 1993년 김세중조각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강태성
1927년 충남 공주 출생으로, 1954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했다. 1966년 「국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으며, 이화여대 조소과 교수를 역임했다.
지은이 | 강희덕
1948년 경북 김천 출생으로, 1971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대학원 졸업 후 고려대 조형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을 지냈으며, 2006년 가톨릭미술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권달술
1943년 경남 언양 출생으로, 1966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했다. 이후 동아대 교육대학원 졸업 후 부산미술협회장과 신라대 교수를 역임했다.
지은이 | 김병화
1948년 서울 출생으로, 1975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홍익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강화도에서 글쓰기와 작업을 병행하고 있으며, 다수의 산문집을 출간했다.
지은이 | 김영대
1949년 대구 출생으로, 1971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대학원 졸업 후 충남대 조소과 교수를 역임했다.
지은이 | 김주호
1949년 경북 김천 출생으로, 1976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열네 차례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다수의 기획초대전에 참여했다. 2013년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현재 강화도에서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다.
지은이 | 김해성
1940년 부산 출생으로, 1967년 서울대 회화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대학 교육대학원 졸업 후 마산교육대, 부산대 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현대미술을 보는 눈』(1985)이 있다.
지은이 | 김효숙
1945년 서울 출생으로, 1967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대학 교육대학원 졸업 후 1996년부터 이듬해까지 무사시노 미술대학 조형학부 조각과 연구원으로 있었다. 1998년 김세중조각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류종민
1942년 경북 경주 출생으로, 1964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대학 교육대학원 졸업 후 중앙대 예술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2007년 대한민국 황조근정훈장黃條勤政勳章을 수훈했으며, 다수의 시집과 불교 관련 서적을 출간했다.
지은이 | 박충흠
1946년 황해도 출생으로, 1969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대학원과 파리국립미술학교 졸업 후 동덕여대, 이화여대 교수를 역임했다. 2003년 김세중조각상을, 2004년 올해의 예술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백현옥
1939년 충남 장항 출생으로, 1965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한양대 교육대학원 졸업 후 인하대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낙우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은이 | 심문섭
1943년 경남 통영 출생으로, 1965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홍익대 대학원 졸업 후 세종대, 중앙대 교수를 역임했다. 2009년 제8회 문신미술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심정수
1942년 서울 출생으로, 1967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국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조각회 회장을 역임했다.
지은이 | 심차순
1938년 경남 의령 출생으로, 1961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했다. 두 차례의 개인전을 가졌고, 「부산공간회전」 「한국여류조각가회전」 「한울회전」 등에 참여했다. 현재 도조陶彫 작가로 활동 중이다.
지은이 | 안성복
1943년 서울 출생으로, 1965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세 차례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6·1전」 「현대공간회전」을 비롯한 다수의 기획초대전에 참여했다.
지은이 | 엄태정
1938년 경북 문경 출생으로, 1964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대학 교육대학원을 졸업 후 서울대 조소과 교수를 역임했다. 2012년 이미륵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있다. 저서로 『조각과 사유』(2004)가 있다.
지은이 | 원묘희
1940년 서울 출생으로, 1963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했다. 현재 한울회, 서울조각회, 한국미술협회, 한국여류조각가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은이 | 원승덕
1941년 평남 진남포 출생으로, 육이오 전쟁 때 월남하여 1964년 서울대 천문기상학과를, 1972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동아대 조소과 교수를 역임했다. 1972년 「국전」 특선을 수상했으며, 1973년 문공부장관상을 받았다.
지은이 | 유영준
1939년 충북 청주 출생으로, 1962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했다. 「한울회전」 「한국여류조각가회전」 등에 참여했으며, 1995년부터 2002년까지 예술의 전당 아카데미 강사를 역임했다.
지은이 | 유형택
1950년 전남 순천 출생으로, 1974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이탈리아 카라라국립미술학교 졸업 후 현재 울산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여섯 차례의 개인전을 가졌다.
지은이 | 윤명로
1936년 전북 정읍 출생으로, 1960년 서울대 회화과를 졸업하고, 이후 뉴욕 프랫 인스티튜트 그래픽센터에서 수학 후 서울대 서양화과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있다.
지은이 | 윤석원
1946년 서울 출생으로, 1969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대학원 졸업 후 서원대 교수를 역임했다. 2006년 대한민국 기독교 미술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이춘만
1941년 전남 목포 출생으로, 1962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열네 차례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가톨릭미술가협회전」 「서울조각회전」 「한국여류조각가회전」 등에 참여했다.
지은이 | 전뢰진
1929년 서울 출생으로, 1950년 서울대 도안과를 수료하고, 이후 홍익대 조소과 졸업 후 동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있다.
지은이 | 조재구
1941년 경기도 김포 출생으로, 1964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국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2010년 제15회 가톨릭미술상 조각 부문 본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최명룡
1946년 평남 대동군 출생으로, 1970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국대 교육대학원 졸업 후 경북대 미술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춘천 엠비시MBC 한국현대조각대전 운영위원으로 있다.
지은이 | 최병상
1937년 충남 천안 출생으로, 1961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국대 행정대학원 졸업 후 이화여대 조소과 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환경조각』(1990), 『미술과 연구』(1997) 등이 있다.
지은이 | 최의순
1934년 충북 청주 출생으로, 1957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대학원 졸업 후 서울대 조소과 교수를 역임했다. 1999년 국민훈장 석류장石榴章을 수훈하고, 2005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현재 가톨릭미술가협회 자문위원으로 있다.
지은이 | 최인수
1946년 황해도 출생으로, 1970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대학원 졸업 후 독일 카를스루에 미술대학에서 수학했다. 서울대 조소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미래학회 회원으로 있다. 1992년 토탈미술상을, 2001년 김세중조각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최일단
1936년 경북 경주 출생으로, 1960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했다. 1958년 「국전」 특선을 수상했고, 1972년부터 삼 년간 파리에서 이응로 화백에게 사사한 후, 1986년부터 삼 년간 중국 베이징 중앙미술학원에서 산수화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에서 조각가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최일단 발바닥 문화예술기행-정·중·동』(1991)이 있다.
지은이 | 최종태
1932년 대전 출생으로, 1958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했다. 공주교대, 이화여대 교수를 거쳐 서울대 조소과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김종영미술관 관장, 우성김종영기념사업회 회장,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있다. 저서로 『나의 미술, 아름다움을 향한 사색』(1998), 『한 예술가의 회상』(2009) 등이 있다.
지은이 | 홍순모
1949년 서울 출생으로, 1976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했다. 이후 동대학원 졸업 후 목포대 미술학과 교수,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도서출판 살림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목차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