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 고대문화 원형의 상징과 해석

  • 청구기호911.02/김633ㅎ;2015
  • 저자명김양동 지음
  • 출판사지식산업사
  • 출판년도2015년 5월
  • ISBN9788942311859
  • 가격35,000원

상세정보

서예•전각•그림이 혼융된 작업을 통해 한국미의 재발견에 힘쓰는 저자가 2013년부터 2014년까지 <교수신문>에 25회에 걸쳐 연재했던 글모음을 다시 보충하고 다듬은 것이다. 한국 고대문화 해석의 틀을 4징의 방법으로 파악하고, 우리 고대사의 변형•퇴화되 가려져 있던 상징성을 재해석했다.


책소개

이 책은 사징(四徵)을 방법론으로 하여 식민사관을 걷어내고, 신의 해석, 빛살무늬, 새 숭배사상, 절풍, 신시, 금관, 환두대도, 곡옥, 소리와 춤 등 한국 고대문화의 시원과 상징에 대하여 파천황적인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고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600여 점의 유물과 그림, 사진을 책에 실어서, 해석고고학적 방법으로 고대문화의 원형을 재발견하였다. 고대문화의 뿌리와 원형의 뼈를 발라내고 우리 문화를 움직인 모형(母型)의 원리까지 최초로 밝혀낸 이 책의 놀라운 성취를 보라.


지은이 | 김양동


안동김씨 정한(貞漢 : 1899~1950) 공과 연일정씨 수련(水蓮 : 1905~1980) 여사의 3남 2녀 가운데 막내로 1943년 경북 의성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민대학교 한문학과(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한문학)을 수료했다. 철농(鐵農) 이기우(李基雨) 선생에게서 서예·전각을, 임창순(任昌淳) 선생과 신호열(辛鎬烈) 선생에게서 한문을, 예용해(芮庸海) 선생에게서 한국미에 대한 가르침을 받았다.

평생 교직과 창작 생활을 병행하며 한국 고대문화 원형 탐구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학문적 편력과 예술적 방황을 거듭했다. 원광대학교 서예과 교수를 거쳐 계명대학교 서예과 교수, 미술대학 학장을 역임한 후 2008년 정년퇴임을 했다. 2011년 계명대학교에서 명예미술학 박사학위를 수득했으며, 퇴임 후 지금까지 석좌교수로 있다. 문화재전문위원, 북경대학교 서법연구원 초빙교수, 한국미술협회 서예분과위원장, 한국과학수사연구원 자문위원, 대학 서예과 설치운동 총괄책임자 등을 지냈다.
뉴욕, 파리, 예술의 전당, 통인화랑 등에서 수차례 개인전을 열었다. 2005년 미국 메트로폴리탄 뮤지엄과 필라델피아 뮤지엄에 작품이 소장되었고, 국립현대미술관, 국립민속박물관, 서울시립미술관, 고려대학교박물관, 계명대학교도서관, 대전대학교도서관, 성철스님기념관 등 주요기관에 작품이 소장되었다.

현재 〈근원 고대문화 원형연구소〉에서 연구와 이론을 창작에 접목, 서예·전각·그림이 혼융된 암각화와 같은 원시적 기법으로 한국미의 원형인 빛살무늬를 작품 속에 드러내는 독특한 회화작업으로써 ‘한국미의 재발견’에 몰두하고 있는 중이다.



목차

서 문(고 은) 7
하 사(신일희) 9
책을 펴내면서 11

제Ⅰ부 총론 - 신(神)의 해석
 제1장 신(神)의 해석(Ⅰ) - 신(神)과 신화(神話) 21
 제2장 신(神)의 해석(Ⅱ) 35
 제3장 신(神)의 해석(Ⅲ) 48

제Ⅱ부 선사시대 문화원형의 상징과 해석
 제1장 한국 최초의 문양 신석기시대 빛살무늬 63
 제2장 파형동기(巴形銅器)의 기원과 상징 78
 제3장 동경(銅鏡)과 동령(銅鈴)의 비의(秘儀) 91
 제4장 비파형동검의 원의(原意) 106

제Ⅲ부 한국의 고대문화와 새 숭배사상
 제1장 새 숭배사상의 원류와 한국의 고대문화(Ⅰ) 121
 제2장 새 숭배사상의 원류와 한국의 고대문화(Ⅱ) 135
 제3장 신시(神市), 소도(蘇塗), 서라벌, 서울의 어원을 찾아서 164
 제4장 고구려 절풍(折風)의 기원(起源)과 어원(語源) 176

제Ⅳ부 고대 위세품(威勢品)의 상징과 해석
 제1장 신라 금관의 기원과 상징의 세계 201
 제2장 삼국 관식(冠飾)의 비교와 검토 220
 제3장 고대 한국 곡옥(曲玉)의 기원과 상징 240
 제4장 신라 금제허리띠〔金製?帶〕의 상징 265
 제5장 환두대도(環頭大刀)삼엽문(三葉文)과 삼루문(三累文)의 상징 278

제Ⅴ부 한국 고대예술의 기원과 원형질
 제1장 한국 고대음악의 기원 - 소리와 노래의 어원을 중심으로 299
 제2장 한국 고대무용의 기원과 살풀이춤 315
 제3장 한국 고대미술의 시원과 원형 336
 제4장 한국 서예의 원류와 광개토호태왕비(廣開土好太王碑) 351
 제5장 고대 복식(服飾)의 시원을 찾아서 - 옷이 날개다 369
 제6장 당초문의 기원과 상징 384
 제7장 기와의 명칭과 와당 문양의 상징 399

제Ⅵ부 태양과 새 - 고조선문화의 원류
 제1장 흉노 왕 칸(干)과 선우(單于)성(姓)의 문자학적 검토 425
 제2장 상투와 비녀〔簪(잠), ?(계)〕 459
 제3장 Y형기(Y形器)와 칸(干)과 새 날개 모양〔鳥翼形〕 관식(冠飾),
  그리고 만세(萬歲)의 상징 475

참고문헌 490
찾아보기 51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