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아연동북아총서 23)싸우는 미술 :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일본미술

  • 청구기호609.13/강881ㄱ
  • 저자명강태웅ㆍ김용철ㆍ한정선 편저
  • 출판사아연출판부(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 출판년도2015년 10월
  • ISBN9788990769831
  • 가격10,000원

상세정보

아시아태평양 전쟁기 일본의 전쟁미술에 관한 연구서이다. 기존 연구의 비판적 검토를 기반으로 작품ㆍ담론분석을 통해 일본의 전쟁미술이 어떻게 선전 매체로서 기능하였는지 밝혔다. 6장으로 나뉜 본문은 중일전쟁기 일본의 ‘전쟁화’부터 전력으로 인식된 미술에 대한 기대ㆍ기능, 여성화가, 일본조각을 거쳐 패전 후 행방까지 다뤘다.


책소개

이 책은 국내 최초로 발간된 아시아태평양 전쟁기(1937-1945) 일본의 전쟁미술에 관한 연구서이다. 당시 일본에서는 전쟁수행을 위한 미술이 대량으로 생산되었다. 하지만 패전 후 일본은 전쟁미술에 관한 논의를 은폐하거나 터부시하였다. 일본의 미술사 분야에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1980년대를 지나면서이지만, 한국에서의 연구는 전무하였다. 이 책은 기존 연구의 비판적 검토를 기반으로, 작품분석 및 담론분석을 통하여 일본의 전쟁미술이 어떻게 프로파간다 매체로서 기능하였는지를 밝혀내었다. 이 책은 일본의 전쟁미술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함과 동시에, 식민지 조선의 미술과 비교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1장 중일전쟁기 일본의 전쟁화는 중일전쟁기 일본에서 그려진 전쟁화의 유형과 각 유형에 드러난 경향과 조형적 특징을 논하였다. 2장 싸우는 미술은 아시아태평양전쟁기에 전력으로 인식된 미술이 어떻게 새로운 체제로 개편되고 ‘르네상스’를 맞이했는지를 당시 미술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3장 일본 총력전 시기의 항공미술은 총력전 시기 미술이 가진 선전매체로서의 기능에 주목하고 항공미술작품에 드러난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전쟁화에 드러난 만들어진 진실 혹은, 가짜 진실을 파헤쳤다. 제4장 전쟁화를 그린 여성화가는 아시아태평양전쟁 당시 활동한 여성화가 하세가와 하루코(長谷川春子)와 여류미술봉공대(女流美術奉公隊)를 페미니즘 시각에서 조명하였다. 제5장 전쟁과 일본조각 1937-1945는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조각 분야에서 이루어진 논의와 제작된 작품들을 다루었다. 제6장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 전쟁화의 전후 행방은 일본의 패전후 전쟁화의 행방을 다룬 글이다.


지은이, 편저자 | 김용철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부교수. 도쿄대학 미술사학과 박사 . 주요 논저로 <‘일본’의 발명과 근대>(공저), [후지타 쓰구하루의 전쟁화](<한국근대미술사학> 15집 특집호, 2005) 등이 있음.

지은이, 편저자 | 한정선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부교수. 미국 워싱턴대 역사학 박사. 주요 논저로 An Imperial Path to Modernit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등이 있음.

지은이, 편저자 | 강태웅
광운대학교 문화산업학부 교수. 도쿄대학 표상문화론 박사. 주요 논저로 <전후 일본의 보수와 표상>(공저), <일본대중문화론>(공저) 등이 있음.

지은이 | 기타하라 메구미 (北原惠)
오사카대학 문학연구과 교수. 도쿄대학 표상문화론 박사. 주요 논저로 <ア-ト.アクティヴィズム(1.2卷)>(インパクト出版會, 1999/2000) 등이 있음.

지은이 | 다나카 슈지 (田中修二)
오이타대학 교수. 세이죠대학 박사. 주요 논저로 <彫刻家.新海竹太郞論>, <近代日本彫刻集成>(편집) 등이 있음.


목차

아연동북아총서 발간에 부쳐 10
머리말 12

1장 중일전쟁기 일본의 전쟁화 │ 김용철
1. ‘명분없는 전쟁’과 부진한 전쟁화 연구 17
2. 전쟁화 제작 배경 20
3. 중일전쟁기 일본 전쟁화의 유형 23
4. 느슨한 듯 다양한 전쟁화 42

2장 “싸우는 미술(戰ふ美術)”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의 미술은 어떻게 싸웠는가│ 강태웅 44
1. 전력(戰力)으로서의 미술 44
2. 전시기 미술계, ‘르네상스’를 맞이하다 46
3. 전시기 미술계, ‘신체제’로 재편하다 48
4. 미술은 사치인가 53
5. “싸우는 미술”과 그 한계 55
6. 국가와 미 62

3장 일본 총력전 시기의 항공미술
“거짓말의 진실”을 통한 영원성의 재현 │ 한정선 64
1. 총력전과 미술 64
2. 제국 일본의 전쟁화: 선전화(宣傳畵) 또는 예술화(藝術畵)? 66
3. “광의의 전쟁화” 그리기: 항공미술 작품을 중심으로 72
4. “거짓말의 진실”로서 전쟁화 81

4장 전쟁화를 그린 여성화가
하세가와 하루코(長谷川春子)와 여류미술가봉공대(女流美術家奉公隊)│기타하라 메구미 84
1. 잊힌 제국의 페미니스트 84
2. 하세가와 하루코와 전쟁 89
3. 여류미술가봉공대와 [대동아전쟁 황국부녀 전원노동 그림
(大東亞戰皇國婦女皆?之圖)](1943) 99
4. 여성 전쟁화가의 전후: 경계침범과 상징질서의 회복 105

5장 전쟁과 일본 조각 1937~1945 │ 다나카 슈지
1. 세대 110
2. 로댕과 고전 114
3. 조각가의 기대 117
4. 필요한 조각과 필요 없는 조각 125

6장 에필로그 :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 전쟁화의 전후 행방│ 김용철
1. 전쟁화는 어디로 갔나? 130
2. GHQ의 접수와 미국 이송 132
3. 미국에서의 ‘발견’, 그리고 반환 139
4. 반환 후의 전쟁화 149

영문초록 160
초출일람 16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