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대우휴먼사이언스 002)산수화의 미학 : 누워서 노닐다 그리며 노닐다

추천

  • 청구기호654.4/조55ㅅ;2015
  • 저자명조송식 지음
  • 출판사아카넷
  • 출판년도2015년 11월
  • ISBN9788957334706
  • 가격14,500원

상세정보

국내에서 김홍도와 신윤복의 이야기를 여러 매체에서 재생산하며 이야기되기 전까지 우리 그림으로 주로 떠올렸던 것은 산수화였다. 흔히 보는 것을 즐기지만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인데, 저자의 글 역시 동아시아 산수화를 어떻게 이해할 것이냐는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 여기에는 동아시아 미술사와 예술론이 따로 연구되었다는 점을 들어 안타까움을 표하고, 동아시아 문인들에게 있어 미술과 이론이 하나이며 이를 통합적으로 이해해야 함을 먼저 밝힌다. 이에 필묵을 포함하는 문자와 그림의 문제로부터 예술에서의 철학과 종교적 철학, 역사와 회화사ㆍ화론을 아우르며 산수화를 짚어간다.

부제인 ‘누워서 노닐다 그리며 노닐다’는 이 책에서 특히 중요한 개념인데 이 개념이 바로 ‘와유’이다. 와유를 실현하기 위해 산수화 양식이 만들어지고 창작 원리로 육요가 제시되었으며, 현실의 긍정과 초월로써, 형체의 묘사를 말하는 ‘형사’와 정신의 묘사를 말하는 ‘신사’가 조화를 이루는 표현법이 주장되었다고 한다. 저자는 와유의 실천 방법에 따라 흔히 알려진 누워서 그림을 감상을 통해 정신의 자유 즉 창신을 누리는 ‘남을 위한’ 그림과 함께, 그리는 과정에서 정신의 자유를 누리는 ‘나를 위한’ 그림 두 가지로 전하며 그 중요도만큼 책의 가장 마지막에 두어 마무리하였다.



책소개

‘동아시아에서 산수화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에 답한다.
동양과 서양의 미술에서 가장 큰 차별은 서양의 인물화와 동양의 산수화가 각각 그 지역에서 갖는 의미이다. 서양의 인물화가 서양인의 삶과 의식, 철학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발전하였듯이, 동양 산수화 역시 그러하다. 그러나 오늘날 산수화에 대한 이해는 막연하고 추상적이다. 동양인의 삶이나 이상, 철학의 본래 모습과 동떨어져 유가·도가·선(禪)의 의미 등으로 단편적으로 이해된다. 동양에서 산수는 무엇을 의미하고 그것을 그린 산수화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산수화에서는 왜 필과 먹을 조형적 수단으로 삼았는가? 산수화는 왜 문인화와 직업화로 분화되었으며 이 분화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러한 질문들에 답할 수 있을 때 우리는 산수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에 이를 수 있다.

와유, 현실의 초월과 자유 실천의 구체적 방안
『산수화의 미학』은 ‘와유와 창신’이라는 종병(宗炳, 375~443)의 산수화 이론을 토대로 동아시아 산수화의 이론과 양식이 역사적으로 나름의 체계를 가지고 정착되었음을 밝힌다. 종병은 중국 남북조시대 송나라의 화가로서 경향 각지의 명산을 돌아다니며 그림을 그렸다. 그러나 말년에 병을 얻어 거동이 불편하게 되자, 과거에 자신이 노닐던 산의 경치를 그려두고 방 안에 누워서 산수화를 보고 노닐었다. 이러한 종병의 산수화 감상법을 ‘와유(臥遊)’라고 한다. 와유는 현실에서의 초월과 자유를 실천하는 구체적 방안으로 상정된 것이다. 이러한 산수화의 핵심 철학과 사유가 어떠한 궤적을 거치며 산수화의 이론으로 굳혀져 갔는지 이 책은 다섯 가지의 추론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서술된다.



지은이 | 조종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에서 동양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태동고전연구소 지곡서당에서 한학을 연수하였으며, 현재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미술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아시아 실크로드 문화접변』(2010, 공저), 『중국 옛 그림 산책』(2011), 『상상력과 지식의 도약』(2015, 공저)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동기창 화안』(2003, 공역), 『역대명화기(상, 하)』(2008), 『표암유고』(2010, 공역)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예술의 자각과 상(像)의 발견
2장 불(佛)의 이미지로서 산수와 산수화
3장 용필(用筆)의 형이상학
4장 용묵(用墨)의 발견과 수용
5장 와유 산수화의 형성과 전개
6장 나를 위한 그림, 나를 즐기는 그림
7장 와유의 궁극적 실현

주석
그림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