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문중 후손의 얼굴과도 빼닮고, 그림을 바탕으로 피부학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할 만큼 진실성과 정신까지 담아 온 우리 초상화를 적었다. 초판 『옛 화가들은 우리 얼굴을 어떻게 그렸나』의 오류를 잡고 도판을 교체했으며, 유럽에서 만난 숨겨진 우리 얼굴들 등 최근에 쓴 글을 보탰다.
책소개
조선시대의 예술, 초상화. 역사가 기록한 시대의 얼굴
미술사학자 이태호 교수가 30년 동안 접한 1,000여 점의 우리 얼굴, 그 중 엄선된 80점의 초상화를 만나다!
조선 문화부흥의 정점, 진경 정신이 탄생시킨 또 하나의 리얼리티의 기록!
『사람을 사랑한 시대의 예술, 조선 후기 초상화』는 엄선된 80점의 초상화를 통해, 카메라 옵스쿠라의 유입이 조선 후기 초상화에 미친 영향과 조선의 진경 정신을 바탕으로 제작된 초상화의 사실성 및 아름다움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초판 『옛 화가들은 우리 얼굴을 어떻게 그렸나: 조선 후기 초상화와 카메라 옵스쿠라』의 오류를 수정하고, 상태가 좋지 않았던 도판들을 전면 교체하였다. 또한 윤두서 자화상에서 나타난 배면선묘 기법에 대한 추정과 이태호 교수가 유럽에서 만난 '숨겨졌던 우리 얼굴들'에 대한 내용 등을 첨가하여 알찬 내용으로 재편집하였다.
책은 1장에서 정약용의 「다산학보」를 통해 조선 후기에 카메라 옵스쿠라를 이용하여 초상화를 그렸다는 증거를 제시하고, 2장에서 카메라 옵스쿠라가 조선 후기 초상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3장은 사대부 초상화의 유형과 형식변화를 다채로운 도판을 통해 시각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4장에서는 강세황의 셋째 아들 강관이 쓴 「계추기사」를 통해 초상화의 제작공정과 비용, 족자 표장법 등을 알아본다. 마지막 5장에서는 <신익성 초상>, <윤두서 자화상>, 구택규 초상화 2점과 조선 여인의 초상화 등 새로 발견되었거나 새로운 사실이 드러난 초상화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조선 후기 초상화의 사실성과 아름다움
'흔히 문중의 초상화를 조사하다 보면 '초상화의 주인공과 그 후손들이 닮았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10여 년 전 구례 매천사의 〈황현 초상〉을 열람할 때, 초상화 속의 황현 선생과 초상화를 펼치던 칠순의 손자 고故 황의강 선생의 코가 쏙 빼닮아 있었다. …… 이들은 옛 인물상이지만 조선시대 초상화가 바로 조상의 얼굴이자 우리의 얼굴임을 증거하는 일화들이다.'(본문p18)
조선 시대 초상화는 '터럭 하나라도 닮지 않으면 다른 사람이다'라는 관념 아래 치밀하게 그린 것이다. 잘생긴 인물은 잘생긴 대로, 천연두를 앓았던 흔적이나 검버섯 같은 얼굴의 흠을 그대로 남겨 진솔하게 그렸다. 심지어 조선 시대 초상화를 자료로 삼아 피부 관련 질병을 연구한 의학계의 논문이 나올 정도이다. 이는 조선의 초상화가 '대상 인물이 지닌 진실성'에 대한 표현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겼는지를 짐작하게 하는 점이다.
'각 인물의 개인사를 복원하는 데 있어 구체적인 사실의 이미지를 제시해주는 엄청난 양의 회화사료이다.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당대 문예사에서 최고 수준을 이룩한 회화 영역이 바로 초상화라 이를 만하다.'(본문p15)
'조선시대 초상화는 지배층의 얼굴이다. 유교사회에서 제의적 목적으로 그린 숭배나 추모의 상이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걸작들이 대거 그려진 것은 당대에 존경할 만한 사람이 있었고, 인간에 대한 신뢰와 애정이 쌓였기에 가능했다고 생각된다. 그토록 아름답고 감명 깊은 초상화들은 조선 후기의 문화적 환경을 여실히 웅변해주기도 한다.'(본문p45)
또한, 조선 시대에서 초상화란 '유교'라는 정신 아래, 군신君臣과 조상을 귀하게 여긴 결과물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남아 있는 약 천여 점의 초상화는 당대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를 대표하는 인물들의 얼굴인 것이다. 화가들은 이 점을 중시하여 그들의 모습을 그대로 남기는 것뿐만 아니라 대상 인물의 정신을 초상화에 담아 한층 더 높은 경지의 예술을 구현하였다.
조선 시대 초상화는 당대에 존경받던 인물의 얼굴을 통해 그들의 정신과 문화적 환경을 담은, 직접적이고도 직설적인 역사의 증거라 할 수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조선을 이끌어 나갔던 조상들의 삶을 더욱 사실감 넘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을 사랑한 시대의 예술, 조선 후기 초상화
조선 시대는 '초상화의 르네상스'라고 불려도 부족하지 않다. 이 시기에는 한국 미술사 사상 가장 많은 초상화가 그려졌고 예술성 높은 명작들이 쏟아져 나왔다. 왕의 얼굴을 기록한 어진부터 공신과 문인의 영정에 이르기까지, 선조들은 시대의 얼굴을 손으로 기록했고 초상화를 통해 인물들의 정신을 발현해냈다.
『사람을 사랑한 시대의 예술, 조선 후기 초상화』는 위와 같은 조선 후기의 초상화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 저자인 이태호 교수는 이 책을 통해 카메라 옵스쿠라의 유입에 따른 초상화의 변화를 추적하고 한국적 리얼리즘을 바탕으로 조선 후기의 초상화의 사실정신과 아름다움을 독자들에게 전할 것이다.
지은이 | 이태호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및 문화예술대학원장
경기도.충청남도 문화재위원
홍익대학교 회화과와 동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 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를 거쳐 전남대학교 교수 및 박물관장, 명지대학교 박물관장을 지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근현대회화까지 한국미술사 전반에 폭 넓은 관심을 가져왔으며 초상화, 풍속화, 진경산수화 등 조선 후기 회화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우리 시대 우리 미술』(1991), 『풍속화』(1995), 『조선 후기 회화사의 사실정신』(1996), 『그림으로 본 옛 서울』 (1996), 『미술로 본 한국의 에로티시즘』(1998), 『한국 미술사 기행-금강산 천 년의 문화유산을 찾아서』(1999), 『옛 화가들은 우리 얼굴을 어떻게 그렸나』(2008),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2010, 2015) 『한국미술사의 라이벌-감성과 오성 사이』(2014) 등이 있다. 공저로 『운주사』(1994), 『고구려 고분벽화』(1995), 『한국 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1997), 『한국의 마애불』(2001), 『한국의 초상화』(2007) 등이 있다.
전시 기획 도록으로는 『조선 후기 그림과 글씨』(1992), 『몽유금강』(1999), 『만남과 헤어짐의 미학』(2000), 『유희삼매-선비의 예술과 예술 취미』(2003), 『20세기 7인의 화가들』(2004), 『내일을 여는 꿈, 실학』(2004), 『조선 후기 회화의 기와 세』(2005), 『한국근대서화의 재발견』(2009), 『500년만의 귀향-일본에서 돌아온 조선그림』(2010), 『조선 후기 산수화전-옛 그림에 담긴 봄 여름 가을 겨울』(2011), 『조선 후기 화조화전-꽃과 새, 풀벌레, 물고기가 사는 세상』(2013) 등이 있다.
목차
책머리에
총론
조선 후기 초상화의 아름다움
- 전신, 배채 그리고 카메라 옵스쿠라
문인 초상화의 나라 조선
70퍼센트 닮음에 만족한 전신론
카메라 옵스쿠라의 활용과 근대적 사실정신
사람을 사랑한 시대의 예술, 초상화
01
조선 후기에 카메라 옵스쿠라로 초상화를 그렸다
- 정약용의 증언과 이명기의 초상화법
시작하며
카메라 옵스쿠라의 발생과 전래
카메라 옵스쿠라에 대한 정약용의 증언
정조 연간 초상화의 입체화법
마치며
02
18세기 초상화풍의 변모와 카메라 옵스쿠라
- 윤증, 채제공 초상 초본과 새로 발견한 〈이기양 초상〉 초본
시작하며
카메라 옵스쿠라와 초본 제작
<이기양 초상> 초본
<윤증 초상>과 초본
이명기의 <채제공 초상>과 초본
마치며
03
조선시대 초상화의 발달과 사대부상의 유형
- 눈의 기록과 정신의 발현
시작하며
사대부 초상의 세 유형
초상화의 발달과 형식변화
마치며
04
조선 후기 초상화의 제작공정과 비용
- 이명기작 〈강세황 71세 초상〉「계추기사」를 중심으로
시작하며
현존하는 강세황의 초상화
강관의 「계추기사」 전문
「계추기사」의 초상화 제작일정과 비용
「계추기사」와 초상화의 족자 표장법
마치며
05
새로 발견한 초상화 신자료
- 숨겨졌던 조선의 얼굴들과 조우하다
동양위 신익성 초상
시작하며
<신익성 초상>과 초본들
유복 차림의 전신상 <신익성 초상>
마치며
〈윤두서 자화상〉의 배면선묘 기법
시작하며
1930년대 사진이 불러일으킨 파문
자화상의 비밀은 기름종이의'배면선묘'에
마치며
윤위와 장경주가 그린 존재 구택규 초상화 두 점
시작하며
화원 장경주가 그린 <구택규 반신상>
문인화가 윤위가 그린<구택규 흉상>
윤위와 장경주의 초상화법 비교
마치며
운계 조중묵의 여인 초상화와 무속화풍 인물화
시작하며
조중묵의 <여인 초상화>
무속화풍 인물화
마치며
주 註
색인(초상화의 인명)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