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에서 근무해온 디자이너인 저자가 디자인에 대한 질문과 성찰을 담았다. 두 책은 대상으로 하는 시대의 차이는 있지만, 좋은 디자인과 아름다움의 기준을 과거와 현재를 걸쳐 존재한 가치에서 함께 찾고 있다는 점은 동일하다. 책은 디자인이 ‘만인의 삶을 아름답게 하는 활동’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책소개
박물관에서 근무하는 디자이너의 시선
일상 속 보이지 않는 스물네 가지 디자인의 가치
『보이지 않는 디자인』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근무하는 디자이너의 고민 “좋은 디자인이란 무엇일까”에서 시작한다. 지은이 박현택은 주변 환경과 사물에서 디자인의 가치를 찾으며 ‘디자인’이란 특별하거나 번쩍번쩍하는 것이 아닌, 우리 모두가 하고 있는 일상적인 것이라고 말한다.
마치 산소처럼 흔해서 그 존재를 쉽게 잊지만 사는 데 꼭 필요한 일상 속 디자인의 가치에 주목하는 것이다. 일상에서 접하는 나무의자, 삽, 포스트잇, 계단 등에서 개선문, 숭례문, 블랙다이아몬드 등까지 스물네 가지 이야기를 통해, 전통과 현재, 한국과 세계를 넘나들며 일상적 디자인의 모습들이 펼쳐진다. 『보이지 않는 디자인』은 한국 디자인의 정신에 대한 지은이의 성찰과 주장이 다양하게 변주되면서 ‘왜, 누구를 위하여 디자인하는가?’라는 디자인의 인문성에 대한 질문을 담고 있다.
“보이지 않는 디자인”의 진짜 의미
꾸밈의 기술이 아닌 삶의 태도로서의 디자인을 말하다
지은이는 일상에서 편리하게 활용하는 다양한 제품들의 평범한 기능과 특성에 주목하며 이를 ‘보이지 않는 디자인’이라고 칭하고 있다. 지은이가 말하는 좋은 디자인이란 의식하지 않을 때 나에게 와 나를 편하게 해주는 물리적이고 심리적인 그 무엇이다. ‘보이지 않는 디자인’은 중의(衆意)적 의미를 내포한다. 어느 시대보다 디자인이 많이 언급되는 디자인 과잉의 시대임에도 오히려 진짜 디자인은 드물다는 아이러니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디자인이 끊임없이 회자됨에도 수많은 이들이 여전히 디자인을 잘 모르고 있다는 안타까움도 담았다. 이 책은 디자인이 소수의 디자이너와 소수의 사용자를 위해서가 아니라 디자인이 태동하던 시절부터 내세웠던 이념, 디자인은 ‘만인의 삶을 아름답게 하는 활동’이어야 한다는 강력한 의지를 담고 있다.
시공간을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예술문화 이야깃주머니를 펼치다
『보이지 않는 디자인』은 동서고금의 여러 사례를 통해 디자인의 표현과 이념이 어떻게 시대정신을 반영해왔는지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19세기 근대 의식의 발현으로서 프랑스의 문화예술을 언급하다가도 고대 중국 문화에서의 ‘글자의 의미’를 천착하기도 한다. 조선의 막사발과 추사의 예술혼에 주목하다가 현대의 백남준과 이우환을 대하는 한국인의 천박한 쇼비니즘에
일침을 놓기도 한다. 또한 지은이는 각국의 역사와 지리적이고 생태적인 환경에서 빚어진 디자인의 표현적 특성에도 주목하며 북유럽 디자인과 이슬람 문화권의 디자인, 일본의 디자인 특성 등에 관한 흥미로운 촌철살인을 늘어놓기도 한다.
디자이너의 고민과 애정을 담아, 한국판 미술공예운동을 말하다
“뛰어나거나 비범하지 않아도, 그저 그런 것에도 아름다움은 있다”
디자인이라는 용어가 범람하지만, 디자인의 가치·비전·윤리가 궁색해지는 역설적인 시대다. 지은이 박현택은 디자이너의 고민과 애정을 담아 ‘지금의’ ‘여기의’ 미술공예운동, 디자인의 신 패러다임을 선언한다. 디자인이 지금까지 만드는 일, 즉 제품과 기술과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연결시키는 매개 역할을 했다면 이제는 무언가를 살리고 재생시킬 수 있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고민하자고 말한다. 누구나 뛰어나려 할 때, 뛰어나거나 비범하지 않아도 괜찮으며, 그저 그런 것에도 충분히 아름다움은 숨어 있다는 지은이의 메시지는 따뜻하다. 『보이지 않는 디자인』을 읽는 독자는 지은이의 시선과 생각을 통해 결국 성실히 살아가는 사람의 ‘평범함’을 소중하게 생각하게 될 것이고, 그러한 평범함이 누적되고 숙성되어 우리 삶을 개선시킬 수 있다면 그것이 진정한 디자인 정신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지은이 | 박현택
홍익대학교에서 시각 디자인을 전공하고 몇몇 대학교에서 강의하던 중 국립중앙박물관과 인연이 닿아 지금까지 근무하고 있다. 기념품, 출판물 등을 개발하면서 문화 산업과 박물관 마케팅에도 관심이 생겼고, 이를 반영하여 학위논문을 썼다. ‘디자인’ ‘박물관’ ‘문화’라는 세계에서 지내면서 디자인이 시각적 수식에만 머물고 있는 현실에 회의가 일었다. 디자인에 대해 돌아보며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의 문제가 아니라 ‘왜 디자인 하는가’의 문제를 고민했다. 즉 ‘꾸밈의 기술’이 아니라 ‘삶의 태도’로서 디자인을 생각했다. 이 책 『오래된 디자인』 역시 그러한 관점에서 비롯되었다. 기획.출간한 책으로 『보이지 않는 디자인』 『한국전통문양집』 등이 있으며, 공동 집필한 책으로는 『디자인 상상』 『조형』 『디자인은 죽었다』 등이 있다.
목차
삶을 아름답게 하는 디자인의 시대를 그리며
그대로 좋다
슈퍼노멀
섹시하지 않은 쓰레받기
자연을 담은 디자인
평범함을 취하다
이름을 남겨야
메이드 인 코리아
태극
글자의 숲
과거와 현재의 이중주
블랙다이아몬드
숭례문은 빛나야 하는가
고등어 비린내
백화점이 되고 싶은 박물관?
포스트잇
‘신사용’이 어디 있어요?
남자가 흘리지 말아야 할 것은 눈물만이 아니라는데
삽질하고 있네
5달러짜리 수입 가구
이발소 디자인
소나무골 남쪽 채마밭
벽화 마을
죽은 뒤의 집
어린아이처럼 쓰는 법을 알았다
책을 덮으며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