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민화논총

추천

  • 청구기호654.35/민84ㅎ;2017
  • 저자명홍선표 외 22인 지음 ; 사단법인 한국민화센터 엮음
  • 출판사황금알
  • 출판년도2017년 2월
  • ISBN9791186547571
  • 가격50,000원

상세정보

최근 몇 년간의 민화 그리기와 민화 관련 단체, 전시 및 행사, 책이나 아트상품 등 민화에 관한 관심이 ‘붐’이라 불릴 만하다. 이러한 대중적 관심이나 열기에 비교하면 학술 연구나 비평 활동은 아직 걸음마 단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단법인 한국민화센터가 이 책, 한국민화논총을 탄생시키기 위한 작업을 추진하게 된 이유다. 김홍남, 홍선표, 윤열수, 고연희, 정병모, 윤진영, 박본수 등 학자 25인이 편집과 저술 작업에 참여하여 현 단계 민화 연구 학자의 대표 논문을 모았다. 950쪽에 이르는 책은 총 35편의 논문으로 마감되었다.


「조선 민화의 새로운 관점과 이해」로 시작하는 내용은 민화의 장르로서의 범주와 용어 자체가 담고 있는 문제부터 짚어준다. 최초 ‘민화’라고 불리게 된 데는 정치적ㆍ역사적 논란의 여지가 있다. 용어 개념이 학술적으로 합의되지 않은 상황에서 민화라는 단어가 갖는 이미지가 강해짐으로 인한 연구자들의 고민도 읽어볼 수 있다. 호렵도ㆍ조선백자도ㆍ십장생도ㆍ모란도ㆍ어해도ㆍ책거리ㆍ문자도 등 작품에 관한 연구와 유교ㆍ불교ㆍ도교 등 종교적 성격과 관련한 연구가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조선 시대에 수입된 서양 합성 유기안료와 그 활용에 관한 연구가 정리되었다.

지은이 | 홍선표


전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지은이 | 고연희

서울대학교 규장각 연구교수

지은이 | 윤범모


사)한국민화센터 이사장


지은이 | 이영실


경주민화협회 회장


지은이 | 김종원

사)문자문명연구회 회장


지은이 | 김용권


경희대학교 대학원 교수


지은이 | 이경숙


박물관 수 관장


지은이 | 정병모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


지은이 | 윤열수


가회민화박물관 관장


지은이 | 우영숙


민화작가, 미술학 박사


지은이 | 이상국


가회민화박물관 부관장


지은이 | 유정서


월간민화 편집국장


지은이 | 윤진영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실장


지은이 | 박본수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사


지은이 | 김홍남


전 국립중앙박물관 관장


지은이 | 심성미


민화연구가


지은이 | 임수영


한국민화학회 이사


지은이 | 조에스더


Templeton University 교수


지은이 | 유미나


원광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지은이 | 정현


사)한국민화센터 이사


지은이 | 정귀선


사)한국민화센터 이사


지은이 | 김취정


서울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지은이 | 변인호


홍익대학교 정보정책대학원 외래교수


엮은 곳 | 사단법인 한국민화센터


목차

발간사 

홍선표 조선 민화의 새로운 관점과 이해 

고연희 민화의 문인화 - '민화'의 범주와 회화사적 위상을 위한 고찰 

윤범모 민화라는 용어와 개념의 비판적 검토 

이영실 조자용의 민화연구와 민화운동 

김종원 민화(民畵 · 회화)와 서화일치(書畵一致) 

김용권 세화 (歲畵)와 연화(年畵)의 차이점 연구 

이경숙 민화 전통성의 현재적 가치 

정병모 조선말기 불화와 민화의 관계 

윤열수 강원도 지역 민화에 대한 고찰 

우영숙 중국 연화(年畵)의 형성과정 

김홍남 한국과 중국의 '곽분양왕행락도(郭汾陽行樂圖)' - 회화 속 건축포경 (建築佈景) 상징의의(示導動機) 

이상국 19세기 호렵도의 양식적 특징 - 행소박물관 소장 <호렵도(虎獵圖)> 12퍽 병풍을 중심으로 

유정서「맹영광백동도가 (孟永光百童圖歌)」의 분석을 통해 본 조선 백자도의 기능과 용도 

윤진영 조선중 · 후기 호랑이 그림[虎圖]의 유형과 도상 

박본수 조선후기 십장생도 연구 

고연희 '어약용문(漁躍龍門)'에서 '어변성룡(漁變成龍)'으로 - '급제(及第)'에서 '충(忠)'으로 

김홍남 조선시대 <궁모란병(宮牡丹屛)> 연구 

심성미 19세기 모란도 성행과 조선사회의 부귀지향 

임수영 민화 계견사호도를 통해 본 사자 도상의 정체성 

조에스더 민화 어해도의 한국적 특징 

유미나 민화 속의 거북 도상과 상징 

윤범모 조선 후기의 책거리 문화, 다시 생각하기 

정병모 제주도의 문자도병풍 

이상국 조선시대 궁중 <일월오봉병(日月五峯屛)>에 대한 도상해학적 연구 - 군주와 유교족 통치의 원리 

반본수 조선후기 요지연도의 현황과 유형 

윤열수 사찰벽화 속 민화 

정 현 민화 감모여재도(感慕如在圖)의 불교적 성격 

정귀선 은해사 백홍암 극락전 수미단 연구 

김취정 장생불사 (長生不死)를 향한 염원 - 유불선(儒佛仙) 삼교일치(三敎一致)의 단학(丹學) 지침서 『성명규지(性命圭指)』와 민화 유불선도(儒佛仙圖)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변인호 조선시대 서양 합성 유기안료의 수입과 활용


* 달진닷컴에서는 위 도서의 검색서비스만을 제공합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