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연구총서 91)한국의 팔경도 = The eight views of Korea

  • 청구기호653.11/박931ㅎ;2017
  • 저자명박해훈 지음
  • 출판사소명출판
  • 출판년도2017년 3월
  • ISBN9791159051289
  • 가격30,000원

상세정보

팔경도는 명승지를 팔경으로 개념화하여 그 아름다움을 구체적이며 온전하게 표현ㆍ감상하고자 그려졌다. 팔경도의 기원인 〈소상팔경도〉를 비롯하여 다양한 작품ㆍ화풍을 다루며, 고려에 전래 과정과 조선 후기로 이어지는 역사의 흐름 속에 변천하는 회화 특징과 의의를 분석한다.


책소개

오늘날 우리나라 전국의 어디를 가도 명승이나 명소를 팔경 또는 십경으로 내세워 지역의 관광 대상으로 소개하는 것을 흔하게 접할 수 있다. 그만큼 팔경은 명승의 대명사로서 우리에게 친숙한데, 『한국의 팔경도』(2017, 소명출판)는 바로 이 팔경도의 기원부터 전래, 고려와 조선 후기로 이어지는 역사의 흐름 속 시대마다 변천하는 팔경도의 회화 특징 등을 연구한 책이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은 물론 일본에서도 팔경문화에 대한 인식은 매우 깊고 넓다. 오늘날 우리에게 친숙한 팔경문화는 그만큼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문화자산이다.


팔경도의 기원과 정립

소상팔경도는 중국 호남성의 동정호 남쪽 소수(瀟水)와 상수(湘水)가 합류하는 지역의 빼어난 경관을 여덟 장면으로 그린 것이다. 북송대 송적(약 1015~1080년경)이 처음 그린 것으로 알려진 소상팔경도는 이후 곧 널리 성행하며 이상경을 표현한 산수화의 상징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시대에 전래된 이후 많은 문인과 화가들이 시와 그림으로 소상팔경을 표현하였다. 소상팔경도가 고려시대에 전래되어 조선 말기까지 오랜 기간 동안 그려지며 우리나라 산수화의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정형화된 소상팔경도도 꾸준히 그려졌지만 소상팔경도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명승을 팔경도로 그리는 풍조가 시작되어 ‘팔경문화’라 할 만큼 크게 성행하였다.

소상팔경도와 우리나라 명승을 대상으로 한 팔경도는 조선시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유행하였다. 조선 초기에서 말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인기 있는 화제로 팔경도가 꾸준히 그려졌음을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조선시대의 팔경도는 시기마다 매우 뚜렷한 특징을 형성하며 전개되어 우리나라 산수화의 발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왕성하게 그려진 팔경도는 여러 가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소상팔경도는 중국과의 회화교류가 매우 밀접하고 활발했음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예부터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회화교류를 통해 받아들인 중국적 소재를 우리의 정서와 미의식에 맞추어 독자적인 회화를 발전시켰는데 이러한 사실을 조선시대 소상팔경도에서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다.

팔경도는 동양의 전통적인 자연관과 산수 사상 그리고 이상경에 대한 관념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분야로서 산수화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시대에 전래된 소상팔경도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산천을 소재로 한 팔경도가 나타났으며, 조선시대에 본격적으로 성행한 팔경도는 실경산수화의 발전으로 이어졌으며, 산수화의 제재와 형식을 확장하고 심화시켰다.


한국의 풍류와 정취를 기록하다

『한국의 팔경도』(2017, 소명출판)는 우리나라의 소상팔경도를 비롯한 팔경도, 그리고 팔경도에서 저자 박해훈 李海勳, Park, Hae-Hoon_홍익대학교 예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조선시대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나주박물관 학예연구실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한국과 중국, 일본의 회화사이다. 특히 한․중․일의 소상팔경도 및 팔경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다수의 연구 논문이 있다.

파생된 십경도 등 다양한 그림과 화풍들을 다루고 있다. 팔경도가 우리나라 회화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이에 대한 고찰과 연구는 아직 미진하다. 이 책은 시론적으로 우리나라 팔경도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시대에 따른 특징과 의의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앞으로 우리나라 팔경도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심화되고 그 의미와 가치가 올바르게 평가되는데 이 책이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지은이 | 박해훈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관



목차

책머리에


제1장 머리말

1. 머리말


제2장 ≪소사팔경도≫의 기원과 성립

1. 소상(瀟湘)의 유래와 ≪소상팔경도≫

2. ≪소상팔경도≫의 제재(題材)와 내용


제3장 팔경도의 전래와 확산

1. ≪소상팔경도≫의 전래

2. 고려시대의 팔경도

1) 일본 쇼고쿠지(相國寺) 소장 〈산수도〉

2) 사감의 〈평사낙안〉

3) ≪송도팔경도(松都八景圖)≫


제4장 조선 초기의 팔경도

1. 안평대군의 『소상팔경시권(瀟湘八景詩卷)』

2. ≪소상팔경도≫와 기타 팔경도

1) 유현재 구장의 ≪소상팔경도≫

2) 김현성찬(金玄成贊) ≪소상팔경도≫

3)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소상팔경도≫

4) 일본 다이간지 소장 ≪소상팔경도≫

5)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소상팔경도≫

6) 구한찬(具澣贊) ≪소상팔경도≫

7) 기타 ≪소상팔경도≫의 단편들

8) 기타 팔경도


제5장 조선 중기의 팔경도

1. ≪소상팔경도≫

1) 이징의 ≪소상팔경도≫

2) 이덕익(李德益)(17세기 전반 활동) 전칭의 ≪소상팔경도≫

3) 김명국(金明國)(1600경~1663 이후)의 ≪소상팔경도≫

4) 전충효(全忠孝)(17세기 전반 경 활동)의 ≪소상팔경도≫

5) 필자미상의 ≪소상팔경도≫

6) 신유(申濡)(1610~1665)의 ≪산수도병풍≫


2. 기타 팔경도와 팔경도류의 명승도

1) 작자미상의 ≪영사정팔경도(永思亭八景圖)≫

2) 이신흠(李信欽)(1570~1631)의 ≪사천장팔경도(斜川庄八景圖)≫와≪동계팔경도(東溪八景圖)≫

3) 문헌에 기록된 팔경도

4) 기타


제6장 조선 후기와 말기의 팔경도

1. ≪소상팔경도≫

1) 정선의 ≪소상팔경도≫

2) 심사정의 ≪소상팔경도≫

3) 기타 ≪소상팔경도≫


2. 기타 팔경도와 팔경도류의 명승도

1) 관동지역 팔경도

2) ≪금강팔경도(金剛八景圖)≫

3) 경기지역의 팔경도

4) 충청지역의 팔경도

5) 영남지역의 팔경도

6) 관서지역의 팔경도와 십경도

7) 관북지역의 십경도

8) 제주의 십경도


참고문헌

찾아보기



* 달진닷컴에서는 위 도서의 검색서비스만을 제공합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