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개념의 분단사를 다루는 총서다. 총 8권으로 발간예정으로, 남과 북으로 나뉜 현재 상황이 개념ㆍ사유의 분단으로 매개되고 강화되어가고 있음을 밝힌다. ‘문화예술편’은 문화예술 분야에서 개념의 수입ㆍ수용과 전통적 개념의 발견이 해방 공간의 논쟁을 거쳐 분단 이후 남북에서 각각 다른 의미로 지어지고 변화해서 쓰여온 과정에 관한 서술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1권에서는 ‘네이션’ㆍ‘민족’이란 개념논쟁으로 개괄을 시작하고 ‘민족문화’, ‘민족미학’을 담는다. 2권에서는 ‘민족문학’, ‘민족적 음악극’, 미술에서의 ‘민족’ 등으로 이어진다. 연구에 활용된 남북한의 참고문헌과 『조선문학』의 일부 등 접근이 어려운 1차 자료도 부록으로 실었다.
책소개
분단의 역사를 문학예술의 개념사로 다시 읽는다
남한의 한반도 vs. 북한의 조선반도
남북은 삶의 터전뿐만 아니라 생각과 의식도 가로막혀 있다. 비무장지대(DMZ)로 상징되는 물리적 분단은 개념의 분단도 수반한다. 하나의 말에 담은 의미 차이는 시간을 두고 개념의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정치적, 지정학적 분단은 사회를 규정하는 문화와 의식세계까지 확장되면서 개념과 관념도 분단되었다. 일상에서 작동되는 개념의 분단은 물리적 분단을 더욱 견고하게 (재)구성한다. 어쩌면 남북한이 상호 이해를 위해 서로를 번역하고, 남북대화를 위해 통역을 필요로 할지도 모른다.
문학예술은 사회문화적 장벽을 넘을 수 있는 분야
문학예술은 특정 정세 속에서 서로 다른 태도와 선택을 견인한다. 남한의 비정치적인 예술과 북한의 정치적인 예술이 각각의 통념을 대표한다. 그러나 ‘무목적성의 목적성’의 예술에도 삶을 위한 장치라는 존재 이유가 있으며, ‘예술을 위한 예술’조차 비정치성의 정치성을 드러낸다. 문학예술은 그 자체로 정치행위를 수행한다. 문학・미술・음악・공연・영화・미학 등에서 남과 북은 서로를 타자로 배제해 왔고, 여기에서 개념의 분화・단절・경쟁 등이 이루어졌다.
오래된 분단, 그러나 새로운 분단 읽기
총 8권으로 발간될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는 자생적 근대와 번역된 근대가 충돌하던 시점부터 해방공간을 거쳐, 문학예술이 분단의 역사와 어떻게 접속하는지 탐색한다.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총서는 남과 북으로 분단된 현 상황이 사실은 개념의 분단으로 매개되고 강화되고 있음을 밝히는 작업이다.
분단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들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총서는 현대사의 ‘잃어버린 고리(missing link)’를 잇고, 미시적・일상적 수준에서 문학예술의 개념에 투영된 분단의 역사를 재구성한다. 한반도 근현대사 연구의 학문적 스펙트럼을 확장하고, 통합적 한국학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총서 1권~3권은 분단을 (재)구성하고 한반도의 특수한 문학예술 개념을 선도하는 ‘민족’에 주목하고 있다. 문학예술 분야와 접속한 ‘민족’ 개념은 ‘민족적인 것’과 관련된 공동체의 전망과 기대를 투영한다. 민족문학, 민족미술, 민족음악, 민족영화, 민족미학 등은 남북한이 함께 사용하는 공동의 기표이지만, 민족의 정의부터 식민시대 민족과 문학예술의 해석 그리고 분단 이후 전개 과정에 이르기까지 각기 다른 의미를 부여해 온 개념들이다.
앞으로 출간된 총서 4권~6권은 개념의 분단이 문예사조와 장르에서 구체화되고 있음을 살피며, 7권과 8권은 ‘생산-텍스트-배급(유통)-수용’의 교환 과정에서 지배적・중심적 문학예술과 종속적이자 주변인인 향유자가 서로 접촉하며 만들어내는 개념의 분화에 주목할 것이다.
지은이 | 구갑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1986)하고 같은 대학 정치학과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1998)를 받았다. 일본 토야마 대학 외래교수, 릿교 대학 방문연구원을 지냈고, 현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 『국제관계학 비판: 국제관계의 민주화와 평화』가, 주요논문으로는 “아일랜드섬 평화과정 네트워크의 형태변화”, “북한 ‘핵담론’의 원형과 마음체계, 1947년-1964년”, “제2차 북미 핵갈등의 담론적 기원”, “북한 소설가 한설야(韓雪野)의 ‘평화’의 마음(1), 1949년” 등이 있다.
지은이 | 이하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연세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국가와 영화』 『‘대한민국’, 재건의 시대』, 공저로 『반공의 시대』 『감성사회』 『감정의인문학』, Korean Screen Cultures, 주요 논문으로 「1970년대 감성 규율과 문화위계 담론」 「유신체제 성립기 ‘반공’ 논리의 변화와 냉전의 감각」 등이 있다.
지은이 | 홍지석
1975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홍익대학교 예술학과를 졸업했고,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원대, 성신여대, 서울시립대, 상명대, 홍익대 등에서 미술사, 미술비평, 예술심리학을 강의했고 지금은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동아시아 예술담론의 계보』(공저),『스타일의 탄생』(공저) 등이 있고, 『꼭 읽어야 할 예술 비평용어 31선』, 『아트폼스』 등의 번역에 참여했다. 「해방기 중간파 예술인들의 세계관: 이쾌대 <군상> 연작을 중심으로」, 「나혜석論: 몸의 회화로서의 풍경화」, 「근대의 매체환경과 천경자 회화의 관련 양상」, 「1930년대의 초현실주의 담론?삼사문학과 정현웅」 등의 논문을 썼다. 2014년에 제4회 정현웅 연구기금의 신진연구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목차
제1장 개념의 분단사를 시작하며
1. 한반도적 맥락을 담지한 개념사 연구
2. 한반도 문화예술 개념의 분단사
3. 남북한 통합을 지향하는 기초 연구로서의 개념의 분단사
제2장 한반도 민족 개념의 분단사
1. 문제 설정
2. 민족 개념의 ‘원(原)분단’(proto-division): 발생, 전파, 번역, 전유, 변용, 분단
3. 민족 개념의 분단시대
4. 잠정 결론
제3장 ‘민족문화’ 개념의 분단과 도전
1. 머리말: 왜 ‘민족문화’인가?
2. 한말~일제하 ‘민족문화’ 개념의 태동과 담론의 등장
3. 해방 후~1960년대 ‘민족문화’ 개념의 분단
4. 1970~1980년대 ‘민족문화’ 개념의 분화와 심화
5. 1990~2000년대 ‘민족문화’ 개념에 대한 도전과 반전
6. 맺음말: ‘민족문화’ 개념의 분단사가 의미하는 것
제4장 민족미학 개념의 분단사
1. 개념들의 탄생: 해방 전후(前後) 민족미 담론
2. 민족미학과 국가미학: 1950~1960년대
3. 미감의 분절: 1970~1980년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