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고를 독립적인 미학적 고찰 대상으로 삼고 아름다움과의 차이를 분석해 논구했다. 숭고는 서양 미학•예술론에서 으뜸가던 주제였으며, 특히 아름다움의 기준•가치가 의심되던 시기에 각광받았다. 저자는 아름다움과 숭고를, 어떤 대상을 체험하는 사람의 심리적 상태로부터 탐색하기를 주장하며 이를 귀납적 방법으로 입증하고자 했다.
책소개
국내에 소개된 적 없는 근대 미학 텍스트
도서출판 마티의 미학 원전 시리즈로 만나다
예술이나 아름다움에 관한 물음은 철학의 주요 문제였으나 감성적인 것에 대한 평가는 인색했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감성적 판단보다 우선시하는 전통은 고대 그리스부터 18세기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자율적인 예술의 등장,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인식 등과 더불어 예술과 아름다움은 독자적인 문제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취미론과 숭고에 대한 탐구, 순수 예술에 대한 물음은 ‘미학’이라는 새로운 하나의 학문을 태동시키기에 이르렀다. ‘미학 원전 시리즈’는 독일, 영국, 프랑스에서 출현한 이 미학적 논의를 선도한 텍스트들을 선보인다. 근대 미학에 관해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지만 국내에 번역된 적 없는 이 텍스트들은 미학 연구, 나아가 서구 사상사의 빈틈을 메우는 계기가 될 것이다.
“처음으로 아름다움과 숭고를 구분해 체계적으로 논한 경험론 미학의 고전”
숭고의 시대
‘숭고’(sublime)는 최근 인문학과 예술론에서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는 개념 가운데 하나다. 그렇지만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아름다움’에 비해 숭고의 의미는 쉽게 와닿지 않는다. ‘숭고한 죽음’, ‘숭고한 희생’, ‘호국 영령의 숭고한 뜻’ 등의 용례에서 볼 수 있듯이 숭고는 미학적이라기보다 윤리적·도덕적 의미를 강하게 띤다. 또 숭고는 한참 잊혀 있다가 포스트모더니즘(장 프랑수아 리오타르의 『칸트의 숭고미에 대하여』가 대표적이 예이다)에 의해 새롭게 발견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숭고’는 ‘아름다움’과 함께 좁게는 고대 그리스 이래 서양의 미학과 예술론, 넓게는 감성론에서 으뜸가는 주제였다.
역사적으로 숭고는 ‘아름다움’의 기준과 가치가 의심되던 시기에 더욱 각광받았다. 그리스의 고전 미학이 와해된 고대 말기인 1세기에 롱기누스(Longinus)에 의해 처음 철학적으로 정의되었으며, 근대에 이르러서는 르네상스 이래 지탱되어온 미학적 인본주의가 의심의 대상이 된 프랑스혁명기 전후에 다시금 숭고에 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 비슷한 맥락에서 안정적인 규범이 사라진 포스트모더니즘, 후기자본주의 시대라 불리는 지금이야말로 숭고의 시대인 것이다.
숭고와 아름다움을 구별하고 각각의 기원을 분석한 고전 중의 고전
아름다움은 인간 인식의 범위 안에서 발견할 수 있는 조화, 비례, 균형 등의 문제이며, 숭고는 인간의 인식 능력으로는 가늠할 수 없는 크기와 위력에 관한 문제이다. 숭고는 모든 법칙과 한계를 넘어선 곳에 존재하며, 인간 이성의 좁은 포용력을 비웃는다.
예컨대, 우리는 한 송이 장미꽃에서도 즐거움을 느끼지만 대양의 파도와 험준한 산을 보고도 즐거움을 체험한다. 이 두 감정과 정서는 동일한가. 미켈란젤로의 완벽한 인체에서 느끼는 정서가 프랜시스 베이컨의 일그러진 신체에서 느끼는 감정과 어떻게 같고 다른가. 이것이 『숭고와 아름다움의 관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이하 『탐구』)가 밝히고자 하는 핵심 질문이다. 이처럼 『탐구』는 아름다움의 하위 개념으로 간주되어온 숭고를 독립적인 미학적 고찰 대상으로 삼고 이 둘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논구했다.
한편, 버크는 아름다움과 숭고를 어떤 대상을 체험하는 사람의 심리적 상태로부터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를 입증하기 위해 귀납적 방법을 채택하는데, 수많은 사례를 면밀히 분석하고 예외를 배제해나가는 서술 방식은 경험론적 서술의 정수로 꼽을 만하다.
『탐구』는 숭고와 아름다움에 관한 근대적 이해에서 하나의 분수령을 이룬 저서이다.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이 데이비드 흄의 영향을 받았다면 『판단력비판』은 『탐구』의 영향 아래 있다. 아름다움과 숭고에 대한 경험론적·심리학적 설명을 시도한 책 중에서 가장 탁월한 것이라고 한 칸트의 평은 이 책의 중요성을 잘 설명해준다.
용어의 미묘한 뉘앙스를 살린 섬세한 번역
인간의 심리 상태에 기반을 두고 아름다움과 숭고를 분석한 책인 만큼 비슷한 감정 상태를 뜻하는 용어의 번역에 특히 신경 썼다. 예를 들어, ‘즐거움’에 해당하는 pleasure, joy, delight는 각각 즐거움, 기쁨, 안도감으로, 감정에 해당하는 emotion, passion, feeling을 감정 또는 촉각 또는 느낌으로 구분해 번역하였다. 번역어 채택 기준과 이유에 대해서는 본문에 들어가기 전 ‘번역어와 관련하여’에서 자세히 밝혔다.
이 책은 2006년에 출간된 『숭고와 아름다움의 기원의 이념에 대한 철학적 탐구』의 개정판으로, 원서 제목의 ‘ideas’를 ‘이념’으로 옮겼던 것을 ‘관념’으로 수정하는 등 원문 대조를 통해 초판의 실수를 바로잡았다.
미학 원전 시리즈는 계속됩니다
서양 미학 태동기의 미학 원전을 소개하는 미학 원전 시리즈의 목표는 당대 영국, 프랑스, 독일의 논의를 폭넓고 균형 있게 아우르는 것이다. 따라서 다음 시리즈로는 프랑스의 철학자 샤를 바퇴(Charles Batteux)의 『하나의 원리로 환원되는 예술 장르들』(Les Beaux-arts réduits à un même principe), 조지프 애디슨(Joseph Addison)의 『상상력의 즐거움』(Pleasures of Imagination), 프랜시스 허치슨(Francis Hutcheson)의 『아름다움과 덕에 대한 우리의 관념의 기원에 대한 탐구』(Inquiry into the Original of our Ideas of Beauty and Virtue) 등을 준비하고 있다.
지은이 | 에드먼드 버크 Edmund Burke
1729~1797. 1729년 1월 12일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태어났다. 더블린의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수학했다. 1750년 런던으로 옮겨 온 버크는 1765년 의회 내의 자유주의자를 중심으로 한 휘그당의 지도자 로킹엄의 비서로 정계에 진출하였으며, 1766년 하원의원이 되었다. 버크는 영국왕 조지 3세의 독재와 미국 식민지에 대한 과세에 반대하고 미국 혁명을 지원했지만 동시에 프랑스 혁명에 강력히 반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프랑스 혁명에 대한 분명한 태도로 그는 찰스 제임스 폭스가 이끈 휘그당 내의 혁명 옹호세력에 반대하는 보수주의자 그룹의 지도자로 손꼽힌다. 또 인도 통치에 관해서는 당시 벵골 총독 헤이스팅스를 탄핵했다. 1790년 『프랑스혁명에 대한 성찰』을 써서 혁명의 과격화를 경고했다. 웅변가로서 정의와 자유를 고취하였으며, 영국 보수주의의 대표적 이론가로서 명성을 떨쳤다. 하지만 오늘날 버크는 보수주의 정치사상가보다는 미학 이론가로서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유일한 미학 저술인 『숭고와 아름다움의 관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는 서양의 미학사 전체를 통틀어서도 고전 중의 고전으로 손꼽힌다. 고대의 롱기누스의 『숭고론』 이후 미학사에서 크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숭고를 수면 위로 끌어올려 아름다움과 구분해 논의함으로써, 칸트의 『판단력비판』에 큰 영향을 미친 이 책은 아름다움과 숭고에 관한 경험론적·심리학적 저술 가운데 가장 탁월한 작업으로 평가받는다.
옮긴이 | 김동훈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사법학과,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신학과,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미학과를 거쳐 독일 브레멘 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에서 ‘근대의 주체 개념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유학 시절 브레멘 주정부가 시행하는 희랍어 검정시험(Graecum)과 라틴어 검정시험(Großes Latinum)에 합격했다. 또한 에라스무스 교환학생 프로그램 장학생으로 프랑스 파리 소르본 대학 철학과에서 수학하였다.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후에는 2003년부터 서울대학교, 홍익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에서 미학 강의를 해왔다.
서구 사상사 전반에 걸쳐 수행된 예술에 대한 철학적 성찰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왔으며, 특히 근대 미학 태동기에 아름다움과 숭고의 개념이 어떻게 구분되었고 그것이 이후의 예술실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 그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예술이라는 용어가 어떻게 고안되고 체계적으로 연구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고찰해왔다.
노숙인들이 예술 작품 감상과 토론을 통해 존재와 삶의 의미를 성찰함으로써 자존감을 회복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돕고자 2007년부터 노숙인을 위한 인문학 과정 성프란시스대학 예술사 담당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행복한 시지푸스의 사색: 하이데거 존재론과 예술철학』이 있으며, 『숭고와 아름다움의 관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독일 음악미학』, 『헤겔의 눈물』 등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철학서를 한국어로 옮기는 작업 또한 꾸준히 해왔다.
목차
미학 원전 시리즈를 내며
옮긴이 서문
번역어와 관련하여
제1판 서문
제2판 서문
서론 취미에 관하여
제1부
제1절 새로움
제2절 고통과 즐거움
제3절 고통의 소멸과 실질적 즐거움 사이의 차이
제4절 서로 상반되는 감정인 안도감과 즐거움
제5절 기쁨과 슬픔
제6절 자기 보존과 관련된 감정에 관하여
제7절 숭고에 관하여
제8절 사회적 감정에 관하여
제9절 자기 보존과 관련된 감정들과 성적 결합과 관련된 감정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의 궁극적 원인
제10절 아름다움에 관하여
제11절 사회와 고독
제12절 공감, 모방 그리고 야망
제13절 공감
제14절 다른 사람의 고통에 대한 공감의 효과
제15절 비극의 효과에 관하여
제16절 모방
제17절 야망
제18절 요약
제19절 결론
제2부
제1절 숭고에 의해 유발되는 감정에 관하여
제2절 공포
제3절 불분명함
제4절 감정과 관련하여 명확함과 불분명함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에 관하여
제5절 힘
제6절 결핍
제7절 광대함
제8절 무한함
제9절 연속과 균일성
제10절 건축물의 웅장함
제11절 즐거움을 주는 대상들에서의 무한함
제12절 어려움
제13절 웅장함
제14절 빛
제15절 건축물에 대한 빛의 효과
제16절 숭고의 원인이 된다고 여겨지는 색채
제17절 소리와 시끄러움
제18절 갑작스러움
제19절 간헐적으로 지속되는 소리나 빛
제20절 동물들의 울음소리
제21절 후각과 미각, 쓴맛과 악취
제22절 촉각, 고통
제3부
제1절 아름다움에 관하여
제2절 비례와 균형은 식물의 아름다움의 원인이 아니다
제3절 비례와 균형은 동물의 아름다움의 원인이 아니다
제4절 비례와 균형은 인간의 아름다움의 원인이 아니다 I
제5절 비례와 균형은 인간의 아름다움의 원인이 아니다 II
제6절 적합성은 아름다움의 원인이 아니다
제7절 적합성의 진정한 효과
제8절 요약
제9절 완전함은 아름다움의 원인이 아니다
제10절 아름다움이란 관념이 어느 정도까지 인간의 정신적 특성에 적용될 수 있는가
제11절 아름다움의 개념을 어느 정도까지 덕의 개념에 적용할 수 있는가
제12절 아름다움의 진정한 원인
제13절 아름다운 대상들은 크기가 작다
제14절 부드러움
제15절 점진적인 변화
제16절 가냘픔
제17절 색채에서의 아름다움
제18절 요약
제19절 인상
제20절 눈
제21절 추함
제22절 우아함
제23절 세련됨과 그럴듯함
제24절 촉각에 있어서의 아름다움
제25절 청각에 있어서의 아름다움
제26절 미각과 후각
제27절 숭고와 아름다움의 비교
제4부
제1절 숭고와 아름다움의 동인에 대하여
제2절 연상
제3절 고통과 공포의 원인 I
제4절 고통과 공포의 원인 II
제5절 숭고가 산출되는 방식
제6절 고통이 안도감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이유
제7절 더 섬세한 신체 기관들을 위해서 필요한 훈련
제8절 왜 위험하지도 않은 사물들이 공포와 유사한 감정들을 유발하는가
제9절 시각적으로 거대한 대상들이 숭고한 이유
제10절 거대함을 느끼기 위해 통일성이 필요한 이유
제11절 인위적 무한
제12절 진동이 유사해야 한다
제13절 시각적 대상들에서 연속의 효과
제14절 어두움에 관한 로크의 견해에 대한 고찰
제15절 그 자체로 공포를 자아내는 어두움
제16절 어두움이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이유
제17절 암흑의 효과들
제18절 알맞게 조절된 암흑의 효과
제19절 사랑의 물리적 원인
제20절 부드러움이 아름다운 이유
제21절 달콤함의 본질
제22절 긴장을 완화시켜주는 달콤함
제23절 변화가 아름다운 이유
제24절 작음에 관하여
제25절 색채에 관하여
제5부
제1절 단어들에 관하여
제2절 시의 통상적인 효과는 어떤 사물의 관념을 통해 유발되지 않는다
제3절 관념 형성 이전에 배우는 보편적인 단어들
제4절 단어의 효과
제5절 단어들이 어떤 심상을 불러일으키지 않고도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제6절 시는 엄격한 의미에서 모방 예술이 아니다
제7절 단어들이 우리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해제 경험론적 미학 이론 체계의 완성
옮긴이 주(註)
참고문헌
찾아보기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