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자이고, 미술사가이며, 미술평론가였던 김윤수 선생의 저술을 엮었다. 1권 『리얼리즘 미학과 예술론』은 리얼리즘 미학 이론의 대부로서 미학자 김윤수의 삶이, 2권 『한국 근현대미술사와 작가론』에서는 민족예술과 민중미술운동의 정신적 지주였던 미술사가 김윤수의 삶이 담겼다. 특히 2권 1부 ‘한국현대회화사’에는 지금은 절판된 동명의 책을 수록했다. 그가 생전 냈던 단 한 권의 저서다. 3권 『현대미술의 현장』은 미술계 현장의 안팎을 날카로운 시각으로 살핀 미술평론가 김윤수의 삶이 녹아있다. 그의 기조를 담은 글부터 전시 서문과 논고, 다양한 지면에 게재했던 글들을 통해 전해지는 인간과 예술에 관한 깊이 있는 성찰은 오늘 우리에게 지침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책소개
세상을 바꾸는 미술을 꿈꾸다
민족예술운동의 선구자 고(故) 김윤수 선생의 저작집 출간
국립현대미술관장, 한국민족예술인총연맹 이사장, 계간 『창작과비평』 발행인 등을 역임한 고 김윤수 선생의 1주기를 맞아 『김윤수 저작집』(전3권)이 출간되었다. 선생은 1960년대 이래로 민족예술과 민중미술운동의 정신적 지주이자 리얼리즘 미학 이론의 대부로 활동하며 예술계를 대표했던 미학자이자 미술평론가이다. 또한 군사독재 시기 예술계의 사회참여를 이끌며 민주화운동에 굵직한 자취를 남기기도 했다. 2018년 향년 82세로 선생이 별세한 뒤 구성된 ‘김윤수 저작집 간행위원회(위원장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는 지난 1년 동안 선생의 생전 저술을 모으고 다듬어 세권의 저작집으로 엮어냈다. 미술비평과 명작해설, 전시회 소개문 등 당대의 예술현장에 몸담았던 고인의 흔적을 느낄 수 있는 글들을 주제별로 묶었고, 후학들의 회고담과 인터뷰를 부록에 담아 선생을 기리는 마음을 남겼다. 이 저작집에 한데 엮인 김윤수 선생의 저술은 예술을 통해 사회를 바꾸려 했던 한 시대의 예술비평이 성취한 빛나는 유산으로 기억되는 동시에 새로운 시대를 여는 또 하나의 현장으로 길이 남을 것이다.
『김윤수 저작집』은 선생의 삶을 세가지 모습으로 조명한다. 제1권 『리얼리즘 미학과 예술론』은 미학자로서, 제2권 『한국 근현대미술사와 작가론』은 미술사가로서, 제3권 『현대미술의 현장에서』는 미술평론가로서 선생이 남긴 글들이다. 미술인들의 영원한 스승이자 민주화운동의 든든한 버팀목이었던 선생은 이처럼 성실한 학자이자 예리한 비평가, 실천하는 지식인으로 치열하게 살며 시대의 부름에 사명을 다했다. 그리고 이 다양한 모습들은 다시 ‘민족의 길, 예술의 길’이라는 큰 줄기에 모여 시대를 밝힌 스승 김윤수의 삶을 단단하게 증언한다.
“참된 리얼리즘은 휴머니즘”
예술과 사회를 사랑했던 미학자, 미술사가, 미술평론가의 삶
오늘날 예술의 사회적 역할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대중은 기득권에 기대는 엘리트주의 예술을 더이상 반기지 않고, 예술가에게 그 존재가치를 증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고 사회가 급변하면서 더 나은 민주주의, 더 바람직한 공존, 새로운 인간성을 상상하는 데 예술가가 기여해줄 것을 기대한다. 오늘날 김윤수 선생의 글을 우리가 읽어야 하는 이유를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선생은 일생 동안 누구보다도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면서 예술가와 독자를 설득해왔다. 또한 예술의 창조성이 가장 빛날 때야 비로소 사람을 바꾸고 세상을 바꾸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역설했다. 선생이 화두로 삼았던 리얼리즘은 예술을 통해 인간을 더욱 존중하는 세상을 열기 위한 길이었던 것이다. 이 저작집의 글들이 씌어진 이후 시간이 흐르고 세상도 어느정도 바뀌었지만 김윤수 선생이 남긴 인간과 예술에 대한 깊이있는 성찰은 또다른 변화를 준비하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지침이 될 것이다.
미술계 전반을 아우르는 폭넓은 시야
미술평론가 김윤수의 현장비평
김윤수 선생은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민예총) 이사장과 국립현대미술관장을 역임하며 미술계의 대표적인 지도자로 인정받았고 동료들의 정신적 지주로 존경받았지만, 동시에 미술계 현장의 안팎을 살피는 날카로운 시각을 가진 비평가였다. 이 시기 선생이 미술평론가로서 현장비평에 몰두하며 쓴 글을 제3권 『현대미술의 현장에서』에 수록했다.
1970년대 후반 이래, 한국미술계에 전례 없이 다양한 전람회가 열리며 연일 성황을 이루었다. 특히 전시회 팸플릿에 비평가의 평론을 서문으로 싣기 시작한 것이 지금까지 관행으로 이어지는데, 제1부 ‘작가와 함께―개인전 서문’에는 당시 선생이 쓴 개인전 서문 23건을, 제2부 ‘그룹전시회’에는 그룹전 서문 6건을 실었다. 선생은 민중미술 계열의 작가들을 비롯한 리얼리즘 계열의 작가들의 개인전과 그룹전에 주목하면서 의미 있는 서문을 남겼다. 이 글들을 통해 신진작가의 예술세계를 대중에게 선보이고 그 예술을 대변하는 역할을 했다. 제3부 ‘전시회를 기획하며’는 선생이 서울미술관장(1981~82년), 국립현대미술관장(2003~2008년) 등을 역임하며 직접 기획한 전시회의 뜻을 밝힌 논고들로 구성했다. 선생이 기획부터 평론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작성한 것으로 전시회 기획 의도와 의의, 선생의 예술관이 그대로 녹아 있다.
김윤수 선생은 미술계에 큰 논쟁이 있을 때마다 『월간중앙』 『창작과비평』 『계간미술』 『공간』 등 다양한 지면에 입장을 밝히는 비평문을 발표해왔는데, 제4부 ‘미술시평’은 이러한 논쟁적인 비평들을 엮어 구성했다. 국립현대미술관의 의의와 미술계의 관료성을 꼬집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존재 의의」, 서세옥ㆍ문명대 논쟁을 다룬 「화단 풍토의 반성」을 포함해 우리 미술계에 주어진 과제와 전망 등을 제시한 글을 두루 담아 미술계 안팎의 사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제5부 ‘『뿌리깊은 나무』 월평’에는 미술평론가로서 확고한 위치에 올라선 선생이 1977년부터 1979년까지 월간 『뿌리깊은 나무』 고정 지면에 게재한 월평을 모아 미술계의 구조적 모순부터 구체적인 전시회 비평까지 현장활동을 두루 담았다. 마지막으로 제6부 ‘대담’은 『신동아』 1985년 9월호에 실린 오광수와 나눈 대화로, 민중미술운동의 역사, 문제점, 예술과 현실의 관계 등이 담겨 있다.
지은이 | 김윤수
1936년 경북 영일군 청하에서 출생했다. 경북고, 서울대 미학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한 후 이화여대와 영남대 미술대학 교수를 지냈다. 계간 『창작과비평』의 발행인과 창작과비평사 대표,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이사장, 전국민족미술인연합 의장, 국립현대미술관장을 역임했다. 1973년 유신헌법 개헌청원 서명운동 결성에 참여하고 1975년 김지하 ‘양심선언’ 배포사건의 배후로 구속되어 옥고를 치르고 교수직에서 강제 해직되는 등 유신독재와 군사정권에 맞서 투쟁했다. 진보적 예술운동 조직에 앞장서, 계간 『창작과비평』 등 진보적 매체와 『계간미술』을 비롯한 미술 전문지에 많은 미술평론을 발표하며 우리 현대 민중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평론으로 조명하는 동시에 민중미술운동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정신적 지주로 활동했다. 저서 『한국현대회화사』, 정년 기념문집 『민족의 길, 예술의 길』, 번역서 『피카소의 성공과 실패』 『현대회화의 역사』 『근대회화의 혁명』 등이 있다. 2018년에 작고했다.
엮은 곳 | 김윤수 저작집 간행위원회
유홍준(위원장), 김정헌, 최원식, 임진택, 채희완, 백영서, 박물똥, 김영동, 염종선
목차
제1부 작가와 함께―개인전 서문
추상회화의 시각조응―이륭의 제4회 작품전을 보고
오경환의 첫 작품전에 부쳐
이만익의 그림세계
이정의 ‘한국화전’에 부쳐
이상국―토속적 감성의 회복
박한진―궁핍한 시대의 화가
박한진 작품전 서문
신학철―물체, 인간 그리고 역사
김경인―문제작가ㆍ작품전 추천사
김인순―동시대의 경험과 사고와 진실을
유관호―표현의 명쾌함과 정직성
정은기―정은기의 작품전 「천(泉)」에 부쳐
정종해 작품전 서문
임옥상―임옥상의 「아프리카 현대사」에 부쳐
김성호―도시적 삶을 겨냥한 범상치 않은 시선
정연희―정연희의 첫 작품전에 부쳐
이봉기―이봉기의 첫 작품전에 부쳐
권기윤―전통과 혁신, 권기윤의 산수화
이석금―탈에서 육신으로
양순열―양순열의 그림에 대하여
권순철―권순철의 대구미술관전에 부침
김준권―김준권 화업 30여년을 기리며
노태웅―노태웅의 작품전에 부쳐
제2부 그룹전시회
‘현대공간회 조각전’ 서문
‘삼인행’ 제2회전에 부쳐
’82, 인간 11인전―인간을 향한 시선
‘화가ㆍ조각가 19인 판화전’을 개최하며
88년 문제작가ㆍ작품전―변혁기의 미술
민화의 재현과 창조적 계승을 향하여―제2회 충북민화협회전에 부쳐
제3부 전시회를 기획하며
‘81년 문제작가ㆍ작품전’을 열며
삶의 진실에 다가서는 새 구상―젊은 구상화가 11인의 선정에 부쳐
프랑스 신구상회화전―서구미술의 수용에 따르는 제문제
‘평화선언 2004ㆍ세계 100인 미술가전’ 서문
고난 극복의 성과, 우리 미술 100년을 되돌아보다
‘20세기 라틴아메리카 거장전’을 개최하며
제4부 미술시평
국립현대미술관의 존재 의의
극복해야 할 국전의 관료성
화단 풍토의 반성―작가와 비평가의 자세
풍요와 빈곤.모순 속의 갈등
시평
일본 현대미술을 어떻게 볼 것인가
1980년대 우리 미술의 과제와 전망―변혁과 창조를 위한 제언
한국미술 10년: 1976~1986―역사적.사회적 주제의식의 대두
세계화 시대 민족예술이 나아갈 길
오늘의 한국미술과 아시아미술의 미래
세계화 시대에 비엔날레의 향방
제5부 『뿌리깊은 나무』 월평
그림과 국민의 세금―국전 개혁의 여러 문제
단체전과 개인전―3월의 세 전시회
젊은 작가들의 실험 정신―26인전과 오수환전과 ‘혼인 이벤트’
세 작가의 ‘한국’ 그림―박성환과 이종상과 이종학의 전시회
낯설고 야릇한 것들―에꼴 드 서울과 서울 ’70
조각가들의 집단행위―현대공간회와 한국현대조각회
돌아온 사람과 떠난 사람―김환기전과 한 작가의 결단
먹을 것 없는 잔치―올 가을의 국전
다시 확인된 국전의 결함―국전 역대 수상 작품전
봄을 기다리며―두 신문사의 미술전
‘동양적’이라는 말―3월의 네 전람회
보이지 않은 ‘새로운 형상성’―제1회 동아미술제
민전에 이길 방법 없나?―올봄의 국전
열리지 못한 새 시대―제1회 중앙미술대전
예술의 공간과 현실의 공간―두 단체와 한 개인의 조각전
그는 ‘한국’을 더 익혔어야 했다―이성자의 전시회
국전의 땅 지키기 싸움―제27회 가을 국전과 삼인행전
현대미술의 시골 밭과 서울 밭―현대미술전 두개
멕시코 인상과 권순철과―한 단체전과 세 개인전
제6부 대담
‘민중미술’ 그 시비를 따진다: 오광수와의 대담
찾아보기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