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카이로스총서 63)조형예술의 역사적 문법 = Historische Grammatik der bildenden Künste

  • 청구기호609/리17ㅈ;2020
  • 저자명알로이스 리글 지음 ; 정유경 옮김
  • 출판사갈무리
  • 출판년도2020년 1월
  • ISBN9788961952279
  • 가격25,000원

상세정보

저자는 서양미술사 전반에 대한 독자적 관점을 수립하고, 이를 미술의 모든 분야에서 통용되는 하나의 문법 기초로 만들고자 했다. 책은 사후에 완성된 그 결과물로, 세계관과 조형예술의 기본요소라는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됐다. 1897-98년에 단행본을 위해 쓴 글이 제1고로, 1899년에 동명 강의를 개설하며 남긴 강의록이 제2고로 실렸다.

책소개

알로이스 리글과 서양미술사

서양미술사는 종종 고대 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가는 서양 인문학의 체계에서 상당히 늦게 분화한 분야이다. 얼마나 늦은 시기인가 하면, 알로이스 리글이 서양미술사학의 시조로 본 인물은 18세기에 활동한 요한 요아힘 빙켈만이었을 정도다. 리글 자신은 이때에 초석이 마련된 미술사학이 근대적 분과학문으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에서 이 체계의 구조를 마련한 세대에 속한다. 그는 오스트리아 미술 공예 박물관의 큐레이터로 경력을 시작해 문화재와 유물 관리에 전문성을 갖추고 있었으며, 빈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프란츠 비크호프와 더불어 빈 학파를 대표하는 미술사학자로 활동했다.

리글의 주요 저작은 서양미술사의 연구 영역 가운데 당시에 상대적으로 변방에 있던 고대와 중세의 장식미술, 로마 후기 공예, 17세기 홀란트 집단초상화 등의 주제를 다루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그는 미술사를 거대하고 일관된 발전의 과정으로 서술하는 역사주의적 서사 대신, 모든 시기의 예술작품은 저마다의 고유하고 대등한 예술의지(Kunstwollen)에 따라 창작되었다고 보는 관점을 입증하고자 했다.


서양미술사 전반의 ‘문법’을 정초하다

『조형예술의 역사적 문법』은 리글의 이와 같은 연구를 집대성하는 가장 큰 기획이었다. 이를 통해 그는 서양미술사 전반에 대한 독자적 관점을 수립하고, 이를 하나의 ‘문법’으로서 정초하고자 했다. 그는 1897~98년에 ‘조형예술의 역사적 문법’이라는 제목의 단행본을 위한 수고를 작성했고, 1899년에는 대학에서 같은 제목의 강의를 개설하면서 이를 위한 강의록을 한 부 남겼다. 그러나 1905년에 저자가 47세로 사망할 때까지 이러한 제목의 책은 세상에 나오지 못했다.

리글은 “역사적 문법”이라는 은유를 선택한 이유에 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각각의 예술품은 자신의 정해진 예술언어를 말한다. 조형예술의 기본요소가 당연히 언어의 기본요소와 다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러나 예술언어가 존재한다면, 물론 이 또한 비유적 의미이겠지만 예술의 역사적 문법도 존재한다.”(293쪽)


알로이스 리글에 주목한 사상가들 : 벤야민, 들뢰즈, 가타리, 네그리, 하트

1966년에 역시 빈 대학의 교수들이던 카를 마리아 스보보다와 오토 패히트의 편집 작업을 거쳐 이 책이 출간되었을 때는 리글의 사후 반세기가 흐른 뒤였다. 미술사 방법론으로서 이 책의 시의성은 상당히 빛바랜 시점이었고, 그 사이에 한편에서는 리글의 연구, 특히 예술의지가 정신을 신비화하고 전체주의적 사고방식으로 흐를 위험성이 있다는 등의 비판을 받았다.

그런 식으로 미술사학의 유물로만 남을 듯했던 그의 연구가 새롭게 조명되고 활발하게 재해석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후반의 일이었다. 이 시기에, 일찍이 리글의 연구를 높이 평가하고 영향받은 발터 벤야민에 관한 연구가 활발했던 것도 이러한 반전의 한 가지 계기가 되었다. 나아가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 마이클 하트와 안또니오 네그리 등의 저작에서 리글의 개념들이 전용된 것은 미술사학의 독자적 방법론을 체계화하는 데 골몰한 그가 생전에 상상해보지 못한 여파였을 것이다.

벤야민은 리글의 연구에서 몇 가지 영향을 받았다. 그는 『독일 비애극의 원천』에서 리글의 예술의지 개념을 통해 통상 ‘쇠퇴기’로 치부되는 시기 예술 형식에 대한 정당한 접근을 주장한 바 있다. 또한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 작품」에서 근대 예술과 ‘아우라의 붕괴’라는 주제를 피력할 때는 작품의 시각적 수용과 촉각적 수용이라는 개념이 중요한 열쇠로 등장한다.

벤야민이 주목한 이 개념들은 좀더 나아간 영역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다. 들뢰즈·가타리는 『천 개의 고원』에서 홈 패인 것과 매끈한 것 개념의 미학 모델을 설명할 때 촉각적/촉기적 수용과 시각적 수용의 개념을 리글로부터 전용했다.

또한 안또니오 네그리는 『예술과 다중』에서 리글의 예술의지 개념을 “자신의 시대를 혁신하는 지향성”으로 재해석했다. 예술의지는 하트·네그리의 『공통체』에서 제도화하려는 의지라는 개념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조형예술(bildende Künste)이란?

통상 조형예술로 옮겨지는 bildende Künste는 직역하면 ‘조형하는 예술들’이라는 복수형으로, 이 책에서 다뤄지는 대상인 회화, 조각, 건축 및 공예를 아우른다. 리글의 이 책은 조형예술, 즉 미술의 모든 분야에서 통용되는 ‘역사적 문법’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술의 모든 분야라는 것은 단순히 장르를 망라한다는 의미라고 하기보다는 이른바 고급미술, 또는 순수미술과 응용미술 분야를 함께 가리킨다. 이 모든 장르를 포괄하는 문법이 가능한 것은 거기에 역사적 구획이 더해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역사적 구획은 앞서 말한 예술의지 개념을 전제하고 있다. 모든 시대에 당대의 예술 활동 전반을 관통하는 예술의지가 있다면, 거꾸로 각 시대의 조형예술에 해당하는 문법, 즉 역사적 문법을 논할 수 있다.


서양미술사를 세계관에 따라 세 시기로 구분하다

이 책에 실린 두 편의 원고, 즉 단행본용 원고인 제1고와 강의록인 제2고는 모두, 크게 세계관과 조형예술의 기본요소라는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저자는 서양미술의 역사를 세계관에 따라 세 시기, 즉 자연을 미화하는 시기, 자연을 정신화하는 시기, 미술(예술) 자체를 위해 자연과 경쟁하는 시기로 구분한다. 첫 번째 시기가 고대, 두 번째는 그리스도교 중세, 세 번째는 근대 미술을 가리킨다.

조형예술의 기본요소는 두 개의 원고에서 다소 다르게 구성되는데, 제1고에서는 목적, 모티프, 그리고 입체와 평면이라는 세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데 비해 제2고에서는 목적과 모티프, 입체와 평면으로 좀더 단순화된다.

목적은 사용목적과 표상목적, 장식목적으로 구분되며, 이것들이 미술사의 각 시기에 서로 다른 비중으로 경합하며 작품에 반영된다. 예컨대 이집트 피라미드의 벽화는 파라오가 내세의 삶에서 실제로 필요로 하는 것들을 그려 넣었다는 점에서 사용목적이 강하다면, 그리스도교 미술을 지배하는 것은 종교적 표상이라고 본다. 반면 근대의 미술은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한다.


모티프란?

모티프란 미술작품이 구현하는 소재로서 이 책에서는 곧 자연을 말한다. 저자는 다시 유기적 모티프와 무기적 모티프를 구분하는데, 전자는 운동과 장소 이동의 활동을 특징으로 하는 동·식물에서 가져온 것, 후자는 불활성의 광물에서 취한 것이다. 무기적 모티프가 일차적으로 결정형을 띠고 부동성, 대칭, 비례 등을 특징으로 한다는 점에서 조화주의를 추구한다면, 유기적 모티프는 운동과 둥글림을 특징으로 하며 유기주의를 지향한다. 운동의 요소는 덧없는 것, 순간적인 것이며 결과적으로는 조형예술에서 환영이라는 문제와 직결된다. 모티프가 그것이 구현된 바탕에서 시각적으로 분리될수록 환영의 사실성은 높아지게 된다.

입체와 평면을 다룰 때 리글은 거리에 따른 시각의 범위를 다시 셋으로 분류한다. 그렇게 제시되는 근거리시야, 통상시야, 원거리시야라는 세 가지 개념은 대상에 대한 촉각적 인지와 시각적 인지라는 또 다른 개념과 연관된다. 즉 대상을 근거리시야에서 파악할 때 우리는 하나의 입체가 아니라 그 입체를 구성하는 부분평면들만을 지각하게 되며, 이것은 촉각적 인지에 해당한다. 대상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어 그것이 하나의 입체로서 인지되는 것은 대상에 대한 시각적 지각과, 과거에 한 그 대상에 대한 경험으로 쌓인 촉각적 지각이 결합된 결과이며, 이러한 지각이 일어나는 범위를 통상시야라고 한다. 통상시야를 벗어나는 거리로까지 대상이 멀어지게 되면 그것은 다시 평면으로 인식되며 이것이 원거리시야이다. 이 세 시야의 구분은 대상의 크기에 따라 변화한다.


지은이 | 알로이스 리글 (Alois Riegl)

오스트리아 린츠에서 태어난 리글은 서양미술사의 학문적 기틀을 놓은 세대의 대표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미술사학자이자 문화재 전문가이다. 빈 대학에서 철학과 역사학, 미술사학을 공부했고 1883년 오스트리아 장식미술 박물관을 시작으로 1886년 오스트리아 미술공예 박물관에서 큐레이터 수련을, 1887년 이후 10년간 직물 분과 큐레이터로 재직했다. 1894년 초기 대표작인 Stilfragen으로 빈 대학에서 정원외교수, 1897년에는 정교수가 되었고 프란츠 비크호프와 더불어 미술사의 제1차 빈 학파를 대표하는 인물이 되었다. 이들은 당대의 주류 미술사학에서 변방에 위치했던 시대인 로마 후기에 주목했고, 하위 장르로 구분되는 공예 작품들을 진지하게 다루었다. 리글은 미술 작품을 구성하는 기본요소들을 탐구하여 조형예술 창작의 목적을 개념적으로 체계화한 Die spatromische Kunstindustrie nach den Funden in Osterreich-Ungarn(1901), 17세기 바로크 초상화로 확장한 연구로 Das hollandische Gruppenportrat(1902)을 출간했다. 그 외에 Altorientalische Teppiche(1891), 『기념물의 현대적 숭배 : 그 기원과 특질』(1903), Die Entstehung der Barockkunst in Rom(1908) 등의 저서가 있다. 『조형예술의 역사적 문법』(1966)은 그가 1897~98년, 그리고 1899년에 각각 남긴 수고와 강의록을 정리하여 사후 출간된 저작이다. 

옮긴이 | 정유경

성신여자대학교에서 서양미술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문명이 낳은 철학 철학이 바꾼 역사 2』(2015, 공저), 역서로 질 들뢰즈의 『경험주의와 주체성』(2012, 공역), 외젠 비올레르뒤크의 『건축강의』(2015), 브라이언 마수미의 『가상과 사건』(2016), 윌리엄 제임스의 『근본적 경험론에 관한 시론』(2018), 알로이스 리글의 『조형예술의 역사적 문법』(2020) 등이 있다.



목차

옮긴이 해제 5


I. 조형예술의 역사적 문법 : 1897/98년 단행본 수고 (제1고) 26

기본명제와 탐구의 계획 (27)


1부 세계관 30

1장 제1기. 신체의 아름다움을 통한 자연의 개선으로서의 미술 32

1. 형성. 이집트 35

2. 정점. 알렉산드로스 이전 시기 그리스 36

3. 쇠퇴. 헬레니즘 미술과 콘스탄티누스 대제까지의 로마 미술 36


2장 제2기. 정신의 아름다움을 통한 자연의 개선으로서의 미술 43

A. 신체적으로 자연을 개선하는 미술의 계속 45

a. 비잔틴 미술. 러시아 (45)

b. 이슬람 미술 (49)

B. 서양에서 두 번째 시기 본래의 과정 51

서론 : 4, 5세기. 정신적 아름다움의 그릇으로서의 추한 자연 (52)

이탈리아 55

1. 이탈리아에서 자연을 정신화하는 미술의 형성 56

2. 14세기 이탈리아에서 자연을 정신화하는 미술의 정점 58

3. 르네상스 시기 자연을 정신화하는 미술의 쇠퇴 59

게르만 민족 61

1. 게르만 민족에게서 자연을 정신화하는 미술의 형성 61

a. 로마 후기(와 비잔틴) 미술 최초의 영향 아래서의 게르만인,

민족 이동기의 미술 (64)

b. 카롤루스-오토 왕조 미술 (66)

c. 로마네스크 미술의 단계들 (67)

2. 13, 14세기 그리스도교-게르만 미술의 정점. 고딕 69

3. 그리스도교-게르만 미술의 쇠퇴 70


3장 제3기. 무상한 자연의 재창조로서의 미술 72

1. 이탈리아 (미켈란젤로, 그의 계승자들, 바로크) 78

2. 알프스 이북 (플랑드르, 네덜란드, 프랑스, 스페인 미술의 바로크) 81


2부 미술 작품의 기본요소 84

1장 목적 85

제1기. 자연을 개선하는 미술 87

제2기. 자연을 정신화하는 미술 89

제3기. 그 자체를 위하여 자연과 경쟁하는 미술 91

목적들 사이의 관계 (93)


2장 모티프 101

무기적인 모티프와 유기적인 모티프의 상호관계 ― 결정성 (관념주의, 대칭, 비례, 양식화) ― 유기주의 (자연주의) (103) ― (도르도뉴 유적) (104)


제1기. 자연을 미화하는 시기 119

1. 고대 이집트 미술. 이집트 초상의 사실주의 119

2. 알렉산드로스 이전 시기 그리스 미술 124

3. 알렉산드로스 이후 고대 128


제2기. 자연을 정신화하는 시기 131

이탈리아 미술 135

1. 초기 그리스도교 시기 136

2. 조토풍의 단계 140

3. 르네상스 141

그리스도교-게르만 미술 145

1. 12세기까지의 형성기 145

a. 476~768년 사이의 시초 (146)

b. 카롤루스-오토 왕조 시기 (146)

c. 로마네스크 시기 (147)

2. 그리스도교-게르만 미술의 정점 148

3. 그리스도교-게르만 미술의 쇠퇴 149


제3기. 1520년 이후 시기 152

a. 이탈리아 (카라바조, 전성기 바로크) (152)

b. 게르만 혈통의 민족들 (158) : 독일 (뒤러, 미술과 종교개혁, 독일 르네상스) ― 플랑드르 (루벤스) (162) ― 홀란트 (렘브란트) (163) ― 프랑스 (165) ― 스페인 (166) ― 근대, 미술과 자기목적 (170)

미술 전반에서 모티프의 전개 요약 (172)


3장 입체와 평면 175

기본사항 : 근거리시야, 통상시야, 원거리시야 (175) ― 객관적 평면 ― 주관적 평면 (177) ― 입체 (환조), 반입체 (부조), 평면화 (가장 넓은 의미의 회화) (179)

제1기. 자연을 개선하는 미술 180

1. 이집트 (180)

유기적 모티프의 입체와 평면 (모티프와 배경, 색채) (181) ― 무기적 모티프의 색채와 평면 (건축술) (189)

2. 알렉산드로스 이전 시기 그리스 미술 (193)

미케네 미술 (194)

유기적 모티프 (조상, 부조, 회화) (195)

무기적 모티프 (그리스 신전) (203)

3. 알렉산드로스 이후 고대 (207)

유기적 모티프; 반형상(부조)과 평면화(회화) (208)

선원근법 (209)

빛과 그림자 (212)

대기원근법, 색채의 기능 (216), 근거리시야 ― 원거리시야 (219) ― 무기적 모티프(건축술) (226)


제2기. 자연을 정신화하는 미술 237

1. 로마 후기 미술의 변혁 237

유기적 모티프 (조상, 부조, 공예) (238)

무기적 모티프 (건축술, 응집구조, 중앙집중형 건축, 바실리카) (243)

2. 비잔틴 미술 250

3. 이슬람 미술 252

4. 이탈리아 미술 255

4.1. 로마네스크 단계 257

4.2. 조토풍 미술 260

4.3. 르네상스 261


3부 누락된 결론부를 위한 구상 267

1장 고딕 273>

2장 이탈리아 르네상스 건축 278

3장 바로크 건축 281


II. 조형예술의 역사적 문법 : 1899년 강의록 (제2고) 287

일러두기 (288)

미술사의 일관성을 위한 새로운 미학의 필요성 (289)― 조형예술의 기본요소 (292) ― 자연과의 경쟁으로서의 미술 창작 (300) ― 모든 미술창작은 관념적이며 조화에 대한 욕구이다 (302)


1부 세계관 306

1장 제1기. 서기 3세기까지 고대의 의인관적 다신론 310

1절 고대 오리엔트의 다신론. 이집트, 유대 311

2절 헬레니즘기까지 고전적 다신론 318

3절 헬레니즘기 325


2장 제2기. 그리스도교 일신론, 313~1520년 327

1절 동로마 그리스도교의 세계관 331

2절 미술과의 관계에서 서로마의 세계관 335


3장 제3기. 자연과학적 세계관 342


2부 기본요소 346

1장 모티프와 목적 348

무기적-유기적 모티프 (348) ― 대칭, 비례 (348) ―목적의 규정성 (360)

1절 다신론적 세계관이 지배하는 고대의 모티프 362

1. 고대 오리엔트 미술. 이집트 363

유기적 모티프 (정면성의 법칙, 이집트의 자연주의적 초상, 구성, 식물, 연꽃) (363) ― 무기적 모티프 (건축, 피라미드, 신전) (377)

2. 그리스에서 고대 미술의 정점 380

초기 그리스 미술 (조각상, 장식) (382)

고전 미술 (콘트라포스토, 집단, 평면의 구성 ― 무기적 모티프) (385)

고대 후기 미술 (초상, 구성, 부조 ― 무기적인 것) (393)

로마 후기 미술 (서기 150~350년) (404)


2장 입체와 평면 409

촉각적 또는 객관적 평면; 시각적 또는 주관적 평면 (409)― 근거리시야, 통상시야, 원거리시야 (412)

1절 기원. 이집트 415

조상 (419)

부조 (427)

평면화 (회화, 소묘, 상감) (429)

건축 (430)

2절 그리스 미술의 입체와 평면 432

미케네 미술 (433)

바피오의 잔들 (437)

디퓔론 도기 (441), 신전 (442)

고전기 (445)

헬레니즘 미술 (447)

제정기 로마의 미술 (447)

로마 후기 미술 (451)


도판 차례 454

인명 찾아보기 455

용어 찾아보기 459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