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책거리 : 세계를 담은 조선의 정물화

  • 청구기호654.48/정44ㅊ;2020
  • 저자명정병모 지음
  • 출판사다할미디어
  • 출판년도2020년 5월
  • ISBN9791189706920
  • 가격20,000원

상세정보

1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여러 계층에게서 사랑받았던, 책 특화 정물화인 책거리에 집중했다. 책거리의 정의와 특징, 작품세계가 김홍도의 책가도부터 홍경택의 현대 책거리까지 둘러보며 서술됐다. 그림 속 선택되어 진열된 물건을 통해 당의 역사•사상•경제•생활•사회의식 등을 읽어내고, 서양화와 디자인 언어로도 해석하고 살폈다.

책소개

우리만 몰랐던 우리의 보물, 책거리 새롭게 보기

책거리는 단순한 조선시대의 문화유산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알릴만한 한국의 문화유산이다. 우리는 그동안 이 존재를 몰랐거나 과소평가했지만, 최근에는 여러 전시회를 통해서 세계적으로 자랑할 만한 우리의 문화유산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책거리에는 우리의 문화유산으로는 드물게 세계를 향한 열린 사고가 담겨 있고, 구조적인 짜임과 현대적인 조형 등 예술적 성취가 빛난다. 저자는 우리만 모르는 우리의 보물인 한국의 정물화 ‘책거리’가 세계 미술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할 날이 머지않아 올 것이라는 전망을 갖고, “민화를 세계로”라는 프로젝트로 이 책을 집필했다.


조선후기에 유행한 정물화, 책거리를 아시나요?

정물화라면 으레 세잔, 고흐, 샤르댕 등 서양의 화가를 떠올린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도 놀라운 정물화가 있었다. 바로 책거리다. 서양의 정물화처럼 일상적인 물건이나 꽃을 그린 것이 아니라, 책으로 특화된 정물화다. 세계 각국의 정물화 가운데 명칭에 ‘책’이란 키워드가 들어있는 것은 조선의 책거리가 유일하다. 서양의 정물화는 꽃, 과일, 음식, 가정용품, 가구 등을 그린 것이지만, 책거리에는 책을 비롯하여 도자기, 청동기, 꽃, 과일, 기물, 옷 등이 등장한다. 한마디로 책과 물건을 그린 정물화다. 조선에서는 네덜란드 정물화보다 한 세기 늦은 18세기 후반에 정물화가 성행했다. 20세기 전반까지 200년 남짓 왕부터 백성들까지 폭넓게 책거리를 향유했고, 그 예술세계도 세계 미술계가 주목할 만큼 독특하고 다양하다.


조선후기는 한국회화사에서 전환의 시기다. 금강산도에서 비롯된 진경산수화, 서민의 일상생활을 그린 풍속화가 새롭게 등장했다. 진경산수화는 우리 자연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렸고, 풍속화는 우리의 평범한 삶을 드라마틱하게 표현했다. 여기에 세번째 조선후기를 새롭게 장식한 장르가 책거리다. 이들 장르는 조선전기만 하더라도 거의 존재감이 없었지만, 조선후기에 급부상하여 시대를 이끌었다. 책거리에는 당시에 유행한 물질문화를 화폭 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지금 전하는 작품 수나 예술세계를 보건대, 책거리는 조선후기 회화를 대표하는 예술로 전혀 손색이 없다.


책거리는 이념의 시대에서 물질문화의 시대로 바뀌는 시대적 변화의 시그널이다

문치국가인 조선시대에 책은 특별한 존재였다. 선비들이 추구한 정신문화의 정화精華다. 세상을 배우고, 세상의 문물을 받아들이고, 세상을 다스리는 방편이 책이었다. 하지만 책이 아닌 물건에 대한 조선 선비들의 생각은 매우 부정적이다. ‘완물상지玩物喪志’, 즉 물건에 빠지면 고상한 뜻을 잃는다 하여 꺼렸던 대상이다. 검소함을 최고의 덕목으로 여긴 조선에서는 물건이 사치풍조를 불러일으키는 빌미를 제공한다고 여겼다. '검소는 덕의 공통된 것이고, 사치는 악의 큰 것이다'라는 기치 속에서, 물건의 존재는 한없이 작아질 수밖에 없다.


도덕과 이념으로 무장한 조선시대에 상반된 가치의 책과 물건이 공존한 그림이 출현했으니, 바로 책거리다. 이 그림에 고고한 책과 통속적인 물건이 함께 담겨 있다. 이는 조선후기의 양면성을 그대로 드러내 보여주는 상징적인 풍경이다. 겉으로 보면 정신문화와 물질문화가 조화로워 보이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물질문화가 정신문화에 기대어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조선후기에 비로소 현실적인 물질문화에 대한 욕망이 싹트기 시작했다. 이념과 의리만으로는 더 이상 조선의 경제를 버틸 수 없기 때문이다. 인간의 궁극적인 행복은 정신 안에 있지만, 물질이 배제된 인간의 행복은 실질적으로 어려운 것이다. 그 현실적 욕망이 응집된 그림이 바로 책거리다. 이 그림은 ‘이념의 시대’에서 ‘물건의 시대’로 옮겨가는 변화의 신호탄이다.


책거리에는 대항해시대 무역품부터 여인의 생활용품까지 담겨져 있다

책거리는 조선후기에 유행한 물질문화의 총화다. 궁중화 책거리에서는 당시 청나라로부터 수입한 화려한 도자기들과 자명종, 회중시계, 안경, 거울, 양금 등 서양의 물건까지 보인다. 이들 물건은 대항해시대의 무역품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자기는 중국에서 아시아와 유럽에 수출했던 가장 중요한 품목이다. 중국에 전해진 대항해시대의 문물은 중국을 오고가는 사신들과 상인들을 통해서 조선에 전해졌다. 중국의 도자기는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 수입돼 유럽 왕족과 귀족들이 ‘도자기방’을 따로 만들 정도로 열풍을 일으켰던 시누아즈리chinoiserie의 대표적인 물건이다. 시누아즈리는 유럽뿐만 아니라 조선에까지 불어 닥친 중국 열풍이다.


자명종, 회중시계, 안경, 거울, 양금 등 서양물건은 대항해시대의 무역품이다. 처음 서양의 선교사나 무역업자들이 중국이나 일본 군주의 환심을 사기 위해 진상한 물건들이었다. 서양의 과학문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상류계층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도 확산됐다. 책거리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초상화를 보면 주인공의 주변을 꾸미는 장식에서 이런 서양물건을 발견하게 된다. 조선이 대항해시대 제국들의 직접적인 무역대상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조선의 책거리에 대항해시대의 무역품들이 등장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대항해시대 동방의 가지 끄트머리에 화려하게 핀 아름다운 꽃이 책거리다. 그것에는 장엄한 역사가 있고 다채로운 스토리가 깃들어 있다. 그런 점에서 책거리는 대항해시대와 조선후기의 역사가 담겨 있는, ‘세계를 담은 정물화’인 것이다.


민화 책거리에서는 점차 중국이나 서양의 물건에서 벗어나 조선의 물건으로 바뀌었다. 아울러 우리의 삶 속에서 우러나는 정서, 감정, 미의식이 표출됐다. 그런 점에서 민화 책거리는 한국적인 정물화로 자리 잡은 것이다. 여기에는 한국적인 취향의 공간이 자리 잡았고, 우주적인 상상력이 펼쳐졌으며, 다른 장르와 조합이 자유롭게 이루어졌고, 파격과 상상력으로 이뤄진 모더니티가 빛났다. 또한 민화 책거리에서는 아얌, 반짇고리, 은장도, 비단신 등 여성의 물건들도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여인의 자의식을 표현한 그림까지 등장했다. 


지은이 | 정병모

한국 전통문화 중 세계화 가능성이 가장 큰 장르가 민화라는 믿음으로 20여 년간?국내외 박물관과 개인 컬렉션 등을 찾아다니며 민화를 발굴, 연구했다. 국내외 여러 민화 전시회를 기획하고 민화 국제 세미나를 자문했으며, 한국민화학회와 한국민화센터를 창립했다.


민화 명품도록『한국의 채색화』를 기획했으며,『민화는 민화다』『무명화가들의 반란, 민화』『민화의 계곡Ⅰ』『영원한 조선을 꿈꾸며』『사계절의 생활풍속』『한국의 풍속화』『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조선시대 음악풍속도Ⅱ』 등을 집필했다. 특히『한국의 풍속화』는 중국 상무인서관商務印書館에서 번역 출간되는 등 민화의 대중화와 세계화에 힘쓰고 있다.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와 박물관장을 역임하고, 지금은 경주대학교 초빙교수로 있다. 문화재청, 서울시, 경상북도, 조계종 문화재전문위원을 지냈으며,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과 현대불교신문 논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제1회 조자용문화상(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목차

프롤로그_ 우리만 몰랐던 우리의 보물, 책거리 새롭게 보기


01 책과 물건을 그리다_ 책거리의 정의와 특징

02 새로운 물건이 세상을 바꾼다_ 책거리에 나타난 책과 물건에 대한 인식의 변화

03 “이 그림이 우리 것 맞나요?”_ 책거리에 등장하는 중국과 서양 물건들

-- 대항해 시대 ‘북 로드’와 책거리

04 “이것은 책이 아니라 그림일 뿐이다”_ 정조가 어좌 뒤 책가도를 펼친 까닭

05 김홍도가 서양화를 그렸다고?_ 서양화법으로 그린 궁중화 책가도

06 책거리의 매력은 “놀라운 구조적 짜임”_ 책거리의 구성적 아름다움

07 “그 정묘함이 사실과 같았다”_ 책거리의 새로운 전형 마련한 이형록

08 블루 열풍, 19세기 채색화를 달구다_ ‘블루 책거리’가 주는 새로운 감동

09 그 무엇에도 사로잡히지 않는 자유로움_ 일본인이 사랑한 ‘불가사의한 조선 민화’

10 물건이기보다 소박한 삶의 진실을_ 한국적 정물화의 탄생

11 욕망에 색을 입히다_ 수묵화의 고상함보다 채색화의 화려함으로

12 행복, 다산 그리고 출세를 꿈꾸며_ 길상의 장식화로 변신한 책거리

-- ‘필통사회’는 출세를 꿈꿨다

13 취미, 그리고 삶의 미술_ 조선의 ‘호기심의 방’ 엿보기

14 조선의 여인, 수박에 칼날을 꽂다_ 책거리에 나타난 여성의 서재

15 책거리가 양자역학을 만날 때_ 책거리와 다른 장르의 콜라보 효과

16 민화 책거리에는 모더니티가 빛난다_ 민화에 나타난 파격과 상상력의 힘

-- 구한말 사진 속 ‘길상’의 책거리

17 스님의 가사장삼도 서가처럼_ 불화와 초상화에 미친 책거리 열풍

18 기명절지는 왜 중국풍으로 돌아갔나_ 책거리와 기명절지, 닮은 점과 다른 점

19 한 땀 한 땀 피어나는 부드러운 아름다움_ 자수 책거리만의 색다른 표현

20 신화에서 욕망으로, 불꽃같은 서재 실험_ 홍경택의 현대 책거리 세계


에필로그_ 책거리의 세계화를 꿈꾸며

책가도에 나타난 기물·가구·식물

미주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