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회화통사 2) 고려 회화

추천

  • 청구기호600.903/홍54ㄱ;2022
  • 저자명홍선표 지음
  • 출판사한국미술연구소CAS
  • 출판년도2022년 11월
  • ISBN9788998680190
  • 가격36,000원

상세정보

한국회화통사 ‘선사•고대 회화’편에 이은 2번째이다. 저자는 조선 회화사의 올바른 파악을 위해서는, 그림이 미술사의 발전을 이끌기 시작했던 고려시대의 회화에 관한 이해가 선행되야 한다고 말한다. 내용은 문헌 자료를 근거로 시기를 나눠 살핀다. 초기는 통일신라에서 절정을 이룬 고대 회화의 전통을 토대로 초상화의 확장과 고분벽화의 부활이 전개된다. 중기는 중국 회화의 사상 화학의 융성으로 함께 비약을 이루고, 회화 제작 기구인 화국이 설치된다. 후기는 북송의 영향으로 시서화 애호풍조와 문인화 이론의 확산•심화, 감평활동이 태동한다. 몽골과의 전후 재건, 경제 부흥, 새로운 정치 세력의 등장으로 촉진된 말기의 결과가 조선에 계승되어 중세 후기 회화사조의 근간이 된다. 접하기 어려웠던 고려 회화를 문헌과 불교회화, 기물의 문양 등에서 찾은 회화의 양식을 비교 분석했으며, 기존 연구와 함께 새로 연구해 더했다.

책소개


◈ 동아시아 중세 회화를 빛낸 고려 회화, 최초의 종합서

고려 회화는 선사·고대 회화에서 조선 회화의 번영으로 이어지는 한국회화사의 새로운 전환을 이룩한 의의를 지닌다. 한국회화사에서 중세 후기와 근세 단계를 이끈 조선시대 회화에 대한 올바른 파악도, 중세 전기를 이룬 고려시대 회화사에 대한 이해 없이는 어렵다. 고려 회화의 전모에 대한 종합적인 규명 없이 사각지대로 방치해두면, 한국회화사 발전의 지속성과 변화의 단계성을 제대로 밝힐 수 없다.

중세 전기 회화로서의 고려 회화는 자료의 상실로 한정된 부분만 파악할 수 있지만, 중국 회화사에서 창의성의 절정을 이루며 후대의 고전적 전범 역할을 한 송원 회화에 못지않거나 더 우수한 기술적, 예술적 수준과 경지를 이루었다. 한국회화 전통의 직계 원류로서 의의를 지닌 이러한 성과와 발전 양상을 문헌 자료에 주로 의거하여 4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초기는 태조~정종 연간으로 통일신라의 전통과 오대, 북송 전기와의 관계를 통해 전개되었다. 중기는 문종~의종 연간이고, 후기는 명종~고종 연간이며, 말기는 원종~공양왕 연간으로, 각각 북송 후기와 남송, 그리고 원과 관련을 맺으며 이루어졌다.

이 책은 저자가 5년 전 한국회화통사1로 출간한 ‘선사·고대 회화’편에 이어 한국회화통사2로 기획해 집필한 것으로, 그동안 불교회화 이외에는 제대로 연구되지 못했던 500년 가까운 고려시대의 왕성했던 회화활동을 문헌기록과 현존하는 불교회화 및 기물의 문양 등에 깃든 인물화, 산수화, 화조화, 화훼화의 양식을 비교 분석하고 그 전모와 실상을 상당 부분 복원하여 연구 집성한 최초의 종합서라는 의의를 지닌다.


지은이 | 홍선표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한국회화사를 전공하고, 일본 규슈대학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에서 「근세 한일회화교류사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위원과 문광부 학예사 운영위원, 문화재청과 서울특별시, 경기도 문화재위원, 일본 문부성 일본국제문화연구센터 특별초청연구원, 미술사연구회와 소치연구회, 한국미술사교육학회,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한국미술사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홍익대 대학원과 고려대 대학원, 연세대 국제대학원, 서울대 대학원에서 강의했으며, 한국전통문화대 대학원 석좌교수를 지냈다. 이화여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로 정년퇴임하고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사)한국미술연구소 이사장, 『미술사논단』 발행인 겸 편집인이다.

1979년 이래 300여 편의 논고를 통해 한국의 전통회화와 근현대 회화의 통시성과, 동아시아 회화와의 관계성 및 통합성을 연구해 오고 있다. 저서로 『조선시대 회화사론』(1999, 월간미술 학술대상,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교보문고 주관 전문가가 뽑은 1990년대 100권의 저서), 『고대 동아시아의 말그림』(2001, 마사박물관 학술도서, 비매품), 『한국의 전통회화』(2009, 문고판), 『한국근대미술사』(2009, 한국미술저작상), 『조선회화』(2014, 우현학술상), 여명관련 『韓國近代美術史』(東京大學出版會2019), 『한국회화통사1 선사‧고대회화』(2017), 『한국 근현대미술사론』(2022, 출판 콘텐츠 창작 지원 도서) 등이 있다.


목차

서언 - 중세 전기 회화로서의 고려시대 회화


1장 - 고려 초기 회화

초상화 제도의 수립

어용 제작과 궁중 봉안시설의 탄생

왕의 어용의 제작 | 태조 왕건의 청동상 | 궁중 봉안 시설, 경령전의 건립

공신상 및 화상 봉안과 영제影祭의 확산

공신 초상의 등장 | 문사상과 성현상의 봉안 | 영정 제례의 확산

궁전 장식과 의병扆屛 제도의 정착

어좌의 장엄 | 궁전 치장과 각종 병풍

새로운 회화활동과 화제의 대두

‘착색산수도’와 ‘본국팔로도’ | 고려 화접선의 명성과 인기화접선에 그려진 풍속과 화조 | 지형도 유형의 실경도

불교회화의 새로운 전개

오백나한상과 각종 불화 | ‘행도천왕도’ | 현존하는 고려 최초의 사경변상화현존하는 한국 최초의 판경변상화

고분벽화의 부활

현릉 고분벽화의 매화나무와 대나무, 소나무


2장 – 고려 중기 회화

북송과의 회화교류와 서화 수장시설의 설립

문종대의 회화교류

북송과의 국교 재개와 고려 사절의 도화 구입 | 상국사 벽화의 이모와 회화교류

예종과 인종대의 회화교류

선화전 휘종 화적의 관람 | 일급 화인들의 왕래와 상인들의 교역

서화 수장시설 및 전관처의 설립

문인화가의 탄생과 문인화 및 화론의 태동

문인화가의 탄생과 문인화의 태동

문인화론의 대두

화국畫局의 설치와 화사의 활약

화국 및 도화원과 화업 | 이녕과 화국 화사의 활약 및 원체화풍

산수화의 약진

『어제비장전』의 산수판화

실경산수화의 태동과 발전

이녕의 ‘예성강도’와 ‘천수사남문도’

중기 불교회화의 전개

중기 불교회화의 북송과 교류

상국사 벽화의 모사

사경변상화와 판경변상화의 화풍


3장 – 고려 후기 회화

서화 애호풍조의 확산과 감평활동의 태동

문방과 방장에서의 서화 애호 | 최초의 감평가 이규보

사대부 회화이론의 심화

문인화론의 본격화 | 창생적 창작론의 태동

묵희 풍류의 확산과 묵죽화의 풍미

묵희 풍류의 확산 | 최고의 묵죽화가 정홍진안치민과 이인로, 김군수의 묵죽화 | 묵죽 문양과 초목류 문인화

인물화의 새로운 변화

고사인물화의 대두와 효방

선종화의 태동

공예화의 동자상

강남경 산수화의 대두와 이곽파 화풍의 전개

수묵화풍 강남경 산수화의 대두와 소상팔경도

강남경 산수화의 대두 | 소상팔경도의 발생과 수용

이곽파 화풍의 전개

변상판화의 이곽파 화풍 | 오백나한도의 이곽파 화풍

화조화의 성행과 화조문

화조화 애호풍조 | 지당소경과 절지영모 화조문의 화풍

후기 불교회화의 전개

불교회화의 증식

사경화의 백미, 법화서탑도 | 후기 변상판화의 특징

동아시아 유일의 각 폭 오백나한도

고분벽화의 부흥과 변화


4장 – 고려 말기 회화

원나라와의 회화교류

충선왕의 만권당과 회화교류

주덕윤과 이제현의 회화교류 | 고려 말기 회화교류의 다양성

서화 애호와 사대부 회화관의 성숙

서화고동 애호와 수장풍조 | 신흥사대부 회화관의 성숙

공민왕의 서화활동

기록에 남은 공민왕의 초상화와 도석화, 불화 | 산수화 및 어해화와 글씨

인물화의 여러 양상

초상화

현존하는 공민왕 진영의 실체 | 사대부 초상화의 확산 | 안향과 이제현 초상화

고사인물화

송원대 고사인물화의 확산 | 고사인물화의 전칭작들

도석인물화

선종화 | 신선도

공민왕 전칭의 〈천산대렵도〉 잔편들

풍속화 모티프의 확장

불화 속의 풍속 인물상

세속인상 | 승속 인물상과 비구와 비구니 | 나한상의 세태 이미지 | 미인상과 동자상

산수화의 발흥

제화시의 산수화 주류 경향

운산도와 청산백운도의 대두 | 수묵산수화의 심화

전칭작 산수화의 화풍

불화 속의 산수 표현

지온인 소장 〈오백나한도〉의 산수 표현 | 변상도의 산수 표현수월관음도의 산수 표현

실경산수화의 확산과 금강산도의 탄생

삼한산수천하설과 금강산도의 탄생 | 노영의 금강산도

동물 및 화조, 화훼, 묵죽, 전각 등의 화풍

동물 및 화조화 | 화훼화와 묵죽 | 전각도의 화풍십장생도와 처용화상 및 기물도의 대두

말기 불교회화의 번성

사찰 벽화

탱화의 유형과 특징

비로자나여래 계열 | 아미타여래 계열 | 약사여래 계열 | 미륵여래 계열치성광여래 계열 | 관음보살과 지장보살 계열 | 신중도와 나한도 계열

사경변상화와 판경변상화

사경변상화 | 판경변상화

여말선초 고분벽화의 종언

권준묘와 공민왕릉의 벽화 | 박익묘와 노회신묘의 벽화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