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을 대체하여 예술 작품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 자체로 새로운 예술 영토로의 가능성을 보이는 메타버스 예술의 기본적 개념을 살폈다. 예술과 메타버스가 몰입적이고 포괄적 이미지 공간을 기본 전제로 작동한다는 부분에서부터 출발하여 기원과 전개를 분석했다. 새로움과 동시에 현실의 개념적 제약에 묶인 메타버스 예술의 방향성도 생각해 본다.
책소개
메타버스는 예술 창작의 잠재 영토다
동시대 예술을 선도하는 다양한 아트센터 및 미술관들은 메타버스 공간 속에서 예술 작품들을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현실의 ‘반영세계(Mirror World)’로서 현실을 대체하여 예술 작품을 전시하는 동시에 그 자체로 또 다른 예술의 영토가 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을 견지하는 데에 있다. 이른바 메타버스를 향한 예술인 동시에 예술을 위한 메타버스로서 상호 연동하며 공진화한다.
메타버스 환경은 예술 창작을 위한 잠재적인 영토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예술적 시도들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술적 토양은 점점 확대되어 갈 것이다. 그러나 메타버스 예술이 극복해야 할 지점은 그것이 지닌 현실과의 관계로부터 나타난다. 메타버스 예술은 과거의 예술 개념 및 현실의 제약을 상회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발현될 수 있는 새로운 환경이자 장소이지만 역설적으로 현실의 개념적 제약에 묶여있기 때문이다. 메타버스 예술은 아직 세상에 존재하지 않은 예술의 새로운 형태를 제시하면서 다가올 미래의 모습을 상상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것이 이전 예술을 뛰어넘은 새로운 예술로서의 메타버스 예술이 지닌 진정한 의미다.
지은이 | 유원준
영남대학교 트랜스아트/미학미술사학과 교수다. 홍익대학교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과학-기술 매체와 예술 융합의 다양한 지점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영화와 게임, 만화와 공연 예술 등 전통적인 시각예술의 범주를 넘어 문화예술 콘텐츠 전반에 관심이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만화비평 대상(2019), 월간미술 학술비평 부분 대상(2022)을 수상했다. 2004년 미디어문화예술채널 앨리스온을 설립하였으며 문화관광부 광복 60주년 IT 프로젝트 팀장(2005), 아트센터 나비 교육팀장(2006∼2008)을, 주안미디어페스티벌(2011), 과학예술 융복합 프로젝트 GAS(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6, 2017) 및 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벌(2018), 아시아문화의전당 ‘아세안의 빛, 하나의 공동체’(2019) 총감독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매체미학, 예술과 기술 사이에서』(2022), 『뉴 미디어아트와 게임예술』(2014)이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계적 주체성에 관한 예술작품 연구”(2023), “인간-기술 네트워크에 의한 지각 및 기억의 외재화 연구”(2022), “인터넷 아트의 미학적 가능성 연구 : 인터넷과 포스트-인터넷 환경을 중심으로”(2020) 등의 논문이 있다.
목차
메타버스라는 (멋진) 신세계
메타버스와 사이버스페이스 그리고 가상현실
메타버스 예술의 기원
천장화와 파노라마
디지털 매체와 예술 형식의 진화
가상현실-메타버스 예술의 등장
상호작용성과 메타버스
게임, 메타버스 예술의 확장
메타버스와 멀티-페르소나
온라인 미술관? 메타버스 미술관!!
메타버스 예술의 전망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