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태도 소작쟁의는 일제강점기에 있었던 농민운동이다. 고된 투쟁 끝의 승리는 지주•소작인 간 단순 갈등이 아닌, 식민체제에 저항하는 독립운동이었다. 작가 서용선과 약 18개월에 걸쳐 진행한 프로젝트는 예술작품으로 조성된 기념 공간과 책을 남겼다. 작업 개요와 작가의 메모들, 작품, 내용과 비평, 역사와 그 의의까지 정리했다.
지은이 | 신안군
작가 | 서용선
1951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80년대 초반 소나무를 하이퍼리얼리즘 양식으로 다룬 작품을 통해 화면의 평면성과 형상성의 문제를 제기했다. 1980년대 중후반부터 단종 페위, 동학농민운동, 한국전쟁 등 역사적 사건 속에 휩쓸린 인간의 비극을 비롯하여, 도시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의 실존과 불안 등을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 그려냈다. 이러한 주제 의식은 시간적으로는 인간 상상력의 원형을 보여주는 신화의 시대로, 공간적으로는 뉴욕, 베이징, 베를린 등 세계 각지의 도시와 국내 곳곳의 풍경으로 확장해 나갔다. 한편 작가 생활 내내 지속하고 있는 자화상 연작은 ‘그리는 자’로서 인간을 연구하는 기본 단위이자 자의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테마 중 하나이다.
주요 개인전으로 '미래의 기억'(일민미술관), '2009 올해의 작가'(국립현대미술관), '시선의 정치'(학고재갤러리), 〈신화, 또 하나의 장소〉(조선일보미술관), '서용선의 도시 그리기; 유토피즘과 그 현실 사이'(금호미술관/학고재갤러리), '기억·재현 서용선과 6.25'(고려대학교 박물관), '역사적 상상-서용선의 단종실록'(아트센터 화이트블럭), 〈2016 아르코미술관 대표작가: 확장하는 선_서용선 드로잉〉(아르코미술관), '우리 안의 여신을 찾아서-서용선의 마고 이야기'(서울여담재) 등이 있다. 2009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에 선정되었고 제26회 이중섭미술상을 수상했으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교수를 역임(1986~2008)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2016~)이다.
목차
기획의 글 | 서용선_암태소작항쟁 100년 기념프로젝트 / 이승미 (행촌문화재단 대표)
암태소작항쟁 100년의 기록 / 서용선
작품사진
부분 이미지
문화비축기지 시대와문화사 기획전 | 서용선프로젝트 : 암태도
암태도 소작인항쟁 100년의 유산 / 이재근 (신안군 학예연구사)
암태도 소작쟁의 100년, 그 역사와 성격 재조명 / 최성환 (목포대 사학과ㆍ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암태도 소작항쟁 벽화 / 도재기 (경향신문 문화부 선임기자)
암태도 소작쟁의 벽화와 서용선의 여정 / 조은정 (목포대학교)
작가약력
도판목록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