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사전 바로가기 : www.daljin.com/author/641
미술평론가 고충환(b.1961)은 월간미술대상 학술평론부문 장려상(2006)을 수상하였으며, <비평의 쟁점전> 포스코미술관(2005), <조각의 껍질 혹은 허물전> 모란미술관(2008)를 기획한바 있다.
제목 | 글쓴이 | 등록일 | 조회수 |
---|---|---|---|
세계를 재는 일, 그러므로 세계를 어떻게 잴 것인가, 하는 문제 | 고충환 | 2023-05 | 1433 |
김지영/ 내면으로의 여행, 식물에서 존재로 가는 길 | 고충환 | 2023-05 | 1437 |
문수만/ 쌀알에서 파생된 우주, 자연, 존재 | 고충환 | 2023-05 | 1282 |
문호/ 익명적인, 흔들리는, 공허한 사람들, 그리고 어쩌면 풍경마저도 | 고충환 | 2023-05 | 1352 |
박성자/ 조형은 어떻게 우주의, 존재의, 의미의 표상이 되는가 | 고충환 | 2023-05 | 1259 |
박일선/ 색과 결이 열어놓은 몰아, 망아, 무아지경의 판타지 | 고충환 | 2023-05 | 1279 |
박진화/ 자아, 그리고 관계의 망으로부터 관계의 재설정으로 | 고충환 | 2023-05 | 1315 |
복진오/ 얽히고설킨 관계로부터 분절된, 파편화된, 일그러진 초상으로 | 고충환 | 2023-05 | 1336 |
석민영/ 공간여행, 이상적인 공간을 찾아서 | 고충환 | 2023-05 | 1309 |
안정숙/ 혼을, 초혼을, 애도를 매개하는 실 | 고충환 | 2023-05 | 1393 |
오영주/ 빨간 지붕이 있는 집, 너의 집은 어디인가 | 고충환 | 2023-05 | 1323 |
정산 김연식/ 자연의 지문, 혹은 풍경의 지문 같은 | 고충환 | 2023-05 | 1165 |
조연경/ 바람, 소리, 공기, 그러므로 자연에서 건너온 것들 | 고충환 | 2023-05 | 1232 |
최미자/ 유기적 기하학, 패턴과 기하학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 고충환 | 2023-05 | 1430 |
하종욱, 치열한 정원을 넘어 치유하는 자연으로 | 고충환 | 2023-05 | 1205 |
김승영/ 스피커 바벨탑, 땅의 소리와 하늘의 소리가 교환되는 | 고충환 | 2023-03 | 1719 |
무비 無比/ 미니멀리즘, 공간과 장소 특정성 | 고충환 | 2023-03 | 1541 |
박시현/ 존재의 깊이를 짓는, 그 위에서 감각의 춤을 추는 | 고충환 | 2023-03 | 1660 |
백순공, 삶은 어쩌면 밑도 끝도 없는 망을 짜는 일일지도 모른다 | 고충환 | 2023-03 | 1426 |
쉬빙(Xu Bing, 徐冰)/ 이모티콘, 가상현실 시대의 언어체계와 소통방식 | 고충환 | 2023-03 | 1574 |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