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추천리뷰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미술사와 비평][GB24] (2) 가엘 쇼안느 Gaëlle Choisne

박예린

1995년 출범한 광주비엔날레는 미술계 관계자뿐 아니라 많은 관객들이 찾는 세계적인 미술축제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일반 관객이 방대한 규모의 전시를 온전히 즐기는 것은 여전히 쉽지 않다. 

본 연재는《2024 15회 광주비엔날레》(2024.9.7-12.1)와 관객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좁히고자 하는 것이 기획의 의도이다. 본 지면에서는 ‘광주비엔날레’가 아닌 전시 참여작가의 ‘개별 작업’을 다루게 될 것이다. 이 글이 관객으로 하여금 작가의 작품 세계에 보다 가까워지는 경험을 선사하기를 기대한다.



《2024광주비엔날레: 판소리, 모두의 울림》작품론
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 모두의 울림 2024 9.7 - 12.1



가엘 쇼안느: 부드럽게 나(너)를 안아주는 사랑


박예린

썩어 가는 과일의 달큰한 냄새가 매캐한 향의 연기와 뒤섞인다. 갤러리에 드는 길목에서부터 벌써 강렬한 냄새를 풍기는 작품의 진원을 찾아가면 가엘 쇼안느(Gaëlle Choisne)의 공간이 나온다. 1) 삼면이 막힌 작은 방으로 구획된 그녀의 공간으로 들어가려면 바닥에 마치 문지방처럼 그려진 드로잉을 밟아야 한다. 푸른색의 읽을 수 없는 글자들로 전시장 바닥 곳곳에 그려진 이 주술적 드로잉은 마치 문지방에 붙이는 부적처럼 공간을 호부 하는(talismanic) 의미를 지니며, 공간에 신비로운 분위기를 감돌게 한다.

2010년대 중반부터 프랑스와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 가엘 쇼안느(1985-)는 자연과 자원의 과도한 착취, 파괴와 슬픔의 역사에 맞서 지구의 에너지와 영적으로 교감하고 세계를 치유하는 작업을 조각, 사진, 비디오, 설치, 텍스트, 사운드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선보인다. 아이티-프랑스 출신인 작가는 카리브해 지역 프랑스 식민지 크레올 문화의 밀교적 신화, 주술적 신비주의, 흑인 페미니즘, 퀴어성, 그리고 대중문화의 요소를 활용하여 자신의 개인적 내러티브와 보편적인 것의 연결고리를 엮어내는 방식으로 작업을 한다. 가엘 쇼안느의 이러한 작업 방식은 제15회 광주비엔날레에서 소개하는 〈나를 부드럽게 먹어 줘 (블랙 유니콘)〉(2024)와 〈비석 (아이티 포르토프랭스)〉(2024)에서도 드러난다.

공간에 들어서면 냄새의 근원이자 수박, 멜론, 자몽, 레몬 등 형형색색의 과일이 표면에 짧은 문구가 각인된 채 이리저리 흩어져 놓여 있는 작품인 〈나를 부드럽게 먹어 줘 (블랙 유니콘) Eat me softly (Black Unicorn)〉이 있다[도판 1]. 신선하게 탐스러웠을 과일 일부는 풍부하게 익어 발효된 과실주의 향을 풍기거나, 쿰쿰한 죽음의 냄새와 함께 구더기와 날벌레를 불러들였다. 과일에 꽂혀 있는 향이 부패하고 죽어가는 과일의 삶을 애도하는 듯 타들어 갔다. 그 옆에는 뼛가루처럼 재가 쌓이고 있었다. 참외, 사과, 배 등 한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과일의 썩어가는 모습과 향의 조합은 <비석〉과 함께하며 마치 죽은 이를 추모하는 제사, 혹은 덧없는 죽음을 기억하라(memento mori)는 바니타스(vanitas) 정물화의 이미지를 환기한다.

〈나를 부드럽게 먹어 줘〉는 2021년 처음으로 선보인 작품으로, 흑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로서의 교차성 담론을 형성한 역사적인 시인인 오드리 로드(Audre Lorde, 1934-1992)의 시 각 구절을 각인한 과일이 점점 썩어가는 과정을 보여 주는 작업이다. <블랙 유니콘>이라는 소제목의 이번 출품작은, 실제로 목격한 이가 아무도 없는 전설의 동물로서 “오인”되어 온 블랙 유니콘으로 비유된 유색인종 여성의 말하기와 저항을 다루는 작품인 오드리 로드의 동명의 시 「블랙 유니콘 The Black Unicorn」(1978)을 차용한 것이다. 예술을 통한 실천 및 타자들과의 연대는 시의 구절로 형상화되어 문화적으로 여성의 몸으로 간주되어 온 과일의 피부에 각인된다. 이때 신체는 작품에서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과일로 형상화되는 자연의 신체와 관람객의 신체의 만남과 암시적인 움직임으로 존재한다. 작가가 ‘서바이벌 아트(survival art)’라는 이름으로도 강조하는 이러한 예술의 저항과 연대는 폭력적이고 강직한 것이라기보다, 과일의 자연적 생명 주기에 순응하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흐름에 가깝다. 2) 가엘 쇼안느는 이처럼 항상 변화의 과정에 있거나 변화를 암시하는 순간을 작업의 접근 방식으로 삼는다. 한편, 작품의 영문 제목 ‘Eat me softly’는 쓰디쓴 인생을 노래하는 한 남자의 노래에서 영감을 받은 가사로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끈 노래인 ‘Killing Me Softly With His Song’을 연상시키며 작품을 삶과 연결 짓게 한다. 타자를 향해 ‘부드럽게 나를 먹으라’는 초연한 희생의 말을 건네는 이 작품은 가엘 쇼안느의 작업을 관통하는, 세대와 시공간을 넘어서 삶을 어루만지는 사랑과 연결의 메시지이기도 하다.

수호와 축복의 의미를 지닌 바닥 드로잉과, 생명과 죽음의 상징으로 가득한 〈나를 부드럽게 먹어 줘〉는 전시장 벽을 둘러싸고 설치된 〈비석 (아이티 포르토프랭스) Stèles (Port-au-Prince, Haïti)〉(2024) 연작과 함께 더욱 풍부한 의미를 발생시킨다[도판 2]. 2014년부터 작가가 꾸준히 제작해 온 〈비석〉은 2010년 아이티를 강타한 대지진과 허리케인의 상흔을 기억하는 작업이다. 9개의 콘크리트 평판에는 아이티의 수도 포르토프랭스(Port-au-Prince)의 풍경이 흐릿하게 각인되어 있다. 버려진 집, 반쯤 파괴된 원주 등 멜랑콜릭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이 이미지들은 2010년 아이티 섬을 황폐화한 허리케인으로 인해 파괴된, 식민지 스타일의 건축물들을 작가가 아이티 포르토프랭스를 방문하여 포착한 사진들이다.

자연의 거대한 힘으로 폐허가 된 식민지의 역사적 흔적들을 작가는 콘크리트 위에 흐릿하게 새긴다. 이는 프랑스 피식민의 기억이 역사의 일부가 되어 버린 아이티, 어머니의 나라를 뒤늦게서야 마주한 작가가 역사를 비선형적이고 탈식민지적으로 기념하는 방식이다. 작가는 콘크리트 반죽 위에 소금을 뿌린 뒤 이미지를 UV 인쇄하여, 소금 알갱이에 의해 유령처럼 희끄무레해진 이미지들을 콘크리트 평판 위에 소환하였다. 선명한 재난의 충격과 기억은 작품 속 이미지를 부식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영적으로는 부정적인 에너지를 정화하는 효능을 지닌 소금에 의해 점차 흐릿해지고 회복될 것이다. 3) 쓸쓸하고 연약한 풍경과는 반대로 이미지를 지지하는 물성적 토대인 콘크리트는 전시장 벽 위에 또다른 지지대를 세운 듯 무너지지 않을 것처럼 단단하게 서 있다. 프랑스 식민의 역사를 간직한 채 자연재해에 취약하게 노출되어 파괴와 재건을 반복해 온 아이티 섬의 역사를 작가는 단단하고 반영구적인 소재인 콘크리트 ‘비석’을 통해 영원히 추모하고 기념한다.

삶과 죽음, 과거와 현재, 저항과 애도를 넘나드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출품작에서는 전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으나, 자신의 작품을 “다양한 의미와 기호가 들어갈 수 있는 만화경의 프리즘”이라 부르는 작가의 말처럼 가엘 쇼안느의 작업은 매우 광범위하고 다층적인 정치적 • 문화적 • 매체적 맥락이 혼융된 복잡한 의미로 가득하다. 다시 말해, 그녀의 작업은 혼란(chaos)과 질서(order) 사이의 “카오딕한(chaordic)”한 상태로 존재한다. 여기서 ‘카오딕’하다는 것은 바로크적이면서도 키치하며 얼기설기 구멍이 많은 다공성의 미감을 드러내는 가엘 쇼안느의 스타일만을 말하는 것만은 아닐 것이다. 그것은 혼란스러운 세계의 복잡성을 바라보는 직관을 제공하는 동시에, 우리가 더 큰 우주의 질서에 속한 존재로서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상상하게 하는 속성이다.

가엘 쇼안느는 그 연결고리를 사랑으로부터 찾는다. 그녀의 대표작인 <사랑의 성전 Temple of Love〉(2018-) 연작은 이해하기 어려운 사랑이라는 감정을 분절된 정의를 통해 이해하고자 했던 롤랑 바르트의 책 『사랑의 단상』(1977)의 각 장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작품으로, 작가는 ‘Affirmation(확언),’ ‘Love to Love(사랑하기를 사랑하라)’ 등 매번 전시를 열 때마다 각 장의 소제목을 따서 전시의 제목을 짓는다. 그런데 작가가 매니페스토에서 직접적으로 명시한 것처럼 작품은 백인 가부장제의 이성애주의, 인종주의, 동성애혐오주의적인 배타적인 공동체 안에서의 사랑이 아닌, 인종 문제, 사회적 불의, 퀴어 커뮤니티 등 '가시화되지 않은 육체, 소수자와 연약한 영혼, 그리고 상실된 마음들”을 다룬다. 4) 사랑을 연인 간의 감정에 한정하지 않고, 사랑에 관한 바르트의 맥락을 더욱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맥락으로 전치하면서 작가는 사랑이라는 감정의 속성을 더욱 확장시킨다.

예컨대 2019년 뉴 뮤지엄 트리엔날레(New Museum Triennial)에서 선보인 〈사랑의 성전—사랑하기를 사랑하라 Temple of Love—Love to Love〉(2019)는 ‘사랑하는 것을 사랑하라(Love to love)’라는 메시지가 나르시시즘적 함의를 지닐 수도 있으며, 자아중심적 사랑이 배타적 사랑으로 흐를 수 있음을 경계하기 위한 의도로 시작되었다. 5) 가엘 쇼안느는 그 대신 자아를 잃은 원초적인 상태의 아가페적 사랑을 감각적으로 상상하며, 그 사랑의 여정에 산재하는 장애물들이 존재하는 상상의 세계를 만들어냈다. 긴 복도를 따라 나타나는 격자와 장벽은 실제로도 관람객이 통로를 뚫고 나아가는 데 큰 문제가 되지 않는, 일종의 상상의 장애물이다. 그러나 현실 세계에서는 장애물에 지레 겁먹고 사랑을 멈추고 혐오를 일삼는 이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작품을 둘러싼 공간에는 작가가 Morgan Courtois 사와 협업하여 제작한 ‘Corps Subtiles(미묘한 몸)’이라는 이름의 향이 지속적으로 뿜어져 나왔는데, 이는 영혼을 정화하고 무조건적인 사랑을 흩뿌리는 주술적인 의도를 지니는 감각적 요소였다. 한편, 작품을 실제로 운송했던 나무 화물 상자는 겉표면에 작가가 아이티, 브라질, 중국을 여행하면서 찍은 사진과 작가가 인터넷에서 찾은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아카이브 사진이 뒤섞여 붙은 채 작품의 일부가 되어 복도에 놓여졌다. 작가의 디아스포라 역사와 레즈비언 페미니스트의 역사가 글로벌 운송 산업의 매개체로 한데 묶였다. 복도 한켠에 놓인 투명한 냉장고 쇼케이스에는 과일이 부패하도록 오랫동안 놓여 있었는데, 냉장고는 LED 대신 “LSD” 라이트를 발하며 보랏빛의 환청을 들려준다. 성별 구분이 분명하지 않게 양성적인 어조로 조작된 작가의 목소리는 미디어가 조장하는 불안과 증오를 형상화한다. “나는 나 자신을 위해, 오직 나 자신을 위해 산다. 내가 옳을 때 나는 만족한다. 나는 네가 가면을 쓰게 한다. 그것이 너를 보호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을 나는 안다. 그것이 또한 네 상처를 키우는 방법임을 나는 안다. 네가 나를 무시할수록 나는 네 안에 더욱 존재한다. 물론 나는 칭찬받고 인정받는 것을 좋아한다. 나는 더 많은 칭찬을 받기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을 것이다. (…) 나는 네가 나를 잊을 만큼 오랫동안 네 영혼 속에 살았던 낯선 사람이다. 너는 네 집에서 노숙자가 되었다.” 타인인 ‘너’에게 말하는 것인지, 거울에 비친 ‘나’에게 말하는 것인지 불분명한 말소리는 타자를 향한 가혹함이 되돌아올 것임을 암시하며, 자신과 타자의 구분을 넘어선 성숙한 사랑을 요청하는 듯하다. 6)

최근 작가는 예술적 저항으로서의 포용과 사랑의 잠재력을 표출하는 작업에서 나아가, 점성학적 측면에서 우주와 자연, 인간 존재의 연결고리를 찾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2024년 가엘 쇼안느는 〈물병자리의 시대 L’Ère du Verseau〉로 마르셀 뒤샹 상(Prix Marcel Duchamp)을 수상했다. 모계 사회인 벌과 흰개미의 집, 자웅 동체인 퀴어적 존재인 굴을 상징화한 전시장 바닥의 카펫과, AI로 그려진 가상의 얼굴로 만들어진 허구의 흑인 해방 투쟁 활동가들의 계보가 거대하게 붙은 회화 콜라주가 함께하는 설치 작품이다. 작품 제목은 지구가 회전하는 축의 변위에 따라 12개의 별자리로 나누어 특정 시대를 별자리의 속성과 연결짓는 점성술의 구분법으로, 풍요와 변화, 희망이라는 미덕을 지닌 물병자리의 시대가 도래했음을 나타내는 제목이었다. '물병자리의 시대,’ 즉 새 시대(New Age)는 1960-70년대의 반문화운동을 나타내는 말이기도 했다. 이처럼 가엘 쇼안느는 계속해서 우주의 차원에서 모든 존재의 질서와 연결고리에 대한 영성적인 질문을 던진다. ‘나’가 ‘우리’로 변화하는 물병자리의 시대에, 모든 여린 존재들을 포용하는 사랑의 태도로 가엘 쇼안느의 작업은 혼돈과 질서를 넘나든다.




- 박예린(1995- ) yaerinpark.baguette@gmail.com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 수료. 수원시립미술관 및 광주비엔날레재단에서 근무하였으며, 《제11회 아마도애뉴얼날레_목하진행중》(2023, 아마도예술공간)에 기획자로 참여하였고, 《레테》(2023, 서교예술실험센터)와 《매끄러운 세계와 골칫거리들》(트라이보울, 2024)을 공동기획하였다.


ㅡㅡㅡㅡㅡ



1) 가엘 쇼안느, 프랑스 쉘부르 출생. 
웹사이트: https://gaellechoisne.com,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gaellechoisne.

2) '서바이벌 아트(survival art)’는 쿠바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했던 흑인 여성 섬유예술가 헤시(Hessie, 1936-2017, 본명 Carmen Lydia Đurić)가 백인 남성이 주류를 이루는 예술계에 대항하여 만든 운동이다. 1970년대 프랑스에서 활동한 몇 안 되는 유색인종 여성 예술가였던 헤시는 바늘, 직물, 종이, 옷, 쓰레기 등 일상적이고 여성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작업을 지속하였으나 당시에는 크게 알려지지 못했다. 2015년 파리 갤러리 아르노 르페브르(Galerie Arnaud Lefebvre)에서 회고전을 열면서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가엘 쇼안느는 헤시의 작업에서 예술이 지닌 저항과 생존의 능력을 강조하며 이 용어를 사용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Hessie (2024년 10월 30일 최초검색).

3) 소금은 가엘 쇼안느의 작업에서 자주 등장하는 물질이다. 아이티 미신에서 무기력한 상태에 있는 사람에게 활력을 주는 물질로 여겨지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작가는 깨어남의 의미로 조각에 소금을 사용한다고 한다. 또한 바다에서 나는 소금은 식민지와 노예를 상징하기도 한다. Margot Norton, Interview with Gaëlle Choisne, “How to Wake Up a Zombie,” 
https://gaellechoisne.com/wp-content/uploads/2023/03/gaelle-choisne-portfolio-2022.pdf (2024년 11월 1일 최초검색).

4) 위 링크.

5) 작품 이미지는 다음 주소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gaellechoisne.com/exhibitions/temple-of-love-love-to-love/ (2024년 11월 2일 최초검색).

6) Wong Binghao, Interview with Gaëlle Choisne, “A Kaleidoscopic Prism: Conversation with Gaëlle Choisne,” Post MoMA, 3 August, 2022, 
https://post.moma.org/a-kaleidoscopic-prism-conversation-with-gaelle-choisne/?fbclid=PAZXh0bgNhZW0CMTEAAaZ-IcxJczMi9t4GH30WxS4fjG6EkeyRxdGZ0pFpsVB_3o5rRgXq4PlHakM_aem_ZiFGHVrJISSLYsCokFHkgg (2024년 11월 3일 최초검색).




가엘 쇼안느, 〈나를 부드럽게 먹어 줘 (블랙 유니콘)〉, 2024, 
오드리 로드의 시 「블랙 유니콘」이 레이저 각인된 30여개의 과일 (계절, 장소, 배송에 따라 상이), 가변 크기, 
작가 및 에흐 드 파리 갤러리 제공,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커미션. 


 
가엘 쇼안느, 〈비석 (아이티 포르토프랭스)-PC 3+2〉, 2024, 
콘크리트에 UV 프린트, 축복받은 소금, 109 × 218 × 164 × 5 cm (3) 
작가 및 에흐 드 파리 갤러리 제공,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커미션.



'미술사와 비평'은 미술사와 비평을 매개하는 여성 연구자 모임이다.







전체 0 페이지 0

  • 데이타가 없습니다.
[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