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출범한 광주비엔날레는 미술계 관계자뿐 아니라 많은 관객들이 찾는 세계적인 미술축제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일반 관객이 방대한 규모의 전시를 온전히 즐기는 것은 여전히 쉽지 않다.
본 연재는《2024 15회 광주비엔날레》(2024.9.7-12.1)와 관객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좁히고자 하는 것이 기획의 의도이다. 본 지면에서는 ‘광주비엔날레’가 아닌 전시 참여작가의 ‘개별 작업’을 다루게 될 것이다. 이 글이 관객으로 하여금 작가의 작품 세계에 보다 가까워지는 경험을 선사하기를 기대한다.
《2024광주비엔날레: 판소리, 모두의 울림》작품론
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 모두의 울림 2024 9.7 - 12.1, 본전시, 갤러리2.
이예인: 사이의 공명
심정화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 1965-)가 예술감독을 맡은 2024년 제15회 광주비엔날레의 주제는‘판소리’다. 작품과 관객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관계 미학을 제안한 니콜라 부리오는 판소리의 한 요소인 관객을 시각적인 판소리의 마당으로 초대하고 그들이 몰입하여 작품과 공명하기를 바란다. 이번 광주비엔날레 본전시는 부딪침 소리(Feedback Effect), 겹침 소리(Polyphony), 처음 소리(Primordial Sound)로 분류된다. 이예인이 참여한 본전시의 첫 번째 섹션‘부딪침 소리’는 소음으로 인한 소리의 혼합과 충돌을 피하지 않고 그대로 경험하도록 연출한다.1)
이예인의 연작 <사이-상태 시스템 System of In-Between State> (2024)은 인간과 산업물 또는 발견물이 서로 섞이는 모습을 명확하게 제시한다. 주재료로 강철, 폴리머 석고, 에폭시 퍼티, 나뭇가지, 말린 포도 가지, 고장난 진공청소기 부분, 전선, 유리섬유 그리고 아크릴 잉크와 래커가 사용되었다. 이처럼 발견물과 산업재활용품으로 만들어진 조각은 기괴하고 낯설지만 아름답다. 이러한 사이보그와 같은 작품을 보고 왜 아름답다고 느낄 수 있을까? 흔적처럼 남은 인간의 얼굴이 우리의 모습이기 때문일까? 그런데 우리는 일백 퍼센트의 피와 살과 뼈 그리고 내장과 근육으로 이루어진 순수한 인간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플라스틱으로 채워진 우리 신체는 과연 태어날 때 갖고 있던 세포 그대로의 순수한 몸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 의심스럽다. 홍채에 이식한 렌즈와 임플란트 치아는 흔한 대체 장기가 되었으며, 젊어 보이는 외모를 돌려주는 성형술, 상실된 신체를 보조하는 로봇과 기계 보철물, 동물의 장기 이식 그리고 유전자 변형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선택 가능성에 따른 영원한 생명을 약속하는 듯한 이러한 조건을 상기해 본다면 어쩌면 기계와 인간의 경계는 희미해지고 우리는 그 사이의 상태에 놓이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예인의 작품은 인간과 기계 또는 인간과 인간 외의 것들이 서로 어떻게 어우러지고 혼합되어 가는지 보여준다[도 1]. <사이-상태 시스템> 연작에서 인간처럼 보이는 부분은 서너 개의 석고로 만든 얼굴들이다[도 2]. 얼굴들만으로는 그들의 젠더를 확인할 수 없다. 팔과 다리는 완벽하게 구현되지 않았고 하나의 오른쪽 발과 정강이 그리고 서너 개의 왼쪽 팔들이 겹쳐있다. 그런데 인간처럼 보이는 이러한 부분들은 수십 개의 검은색 전선이 바닥에 펼쳐진 광경 속으로 흡수되어 버린다. 동시에 전선은 그 형상을 쓰러뜨리기보다 지탱한다고 볼 수 있다. 와이어와 강철들로 지지 된 조각들은 전선들로 휩싸인 채 상승과 하강 사이를 오간다. 머리에서 뻗은 전선들은 생체에 이식한 전자 정보의 입력이 흐르는 통로 같다. 살과 혈관을 연상시키는 연한 자줏빛으로 색칠된 턱과 목둘레, 어깻죽지는 기계적이기보다 더 인간적이다.
작가가 구현한 해부학적 요소는 우리가 알고 있는 신체적인 구조를 넘어선다. 목 아래로 상상할 수 있는-인간적인 몸을 전제로 한-상체 부분은 심장과 위, 간과 창자 대신 무수한 케이블들과 마른 줄기로 가득 차 있다. 전선들과 발견된 산업 재료들은 감싸면서 동시에 열어 보이는데 흉곽 뼈와 골반을 지시하면서 나뭇가지나 뿌리처럼 우후죽순 뻗어 나 있다. 이와 같이 중첩되는 각각의 얼굴들, 몸들의 해체 그리고 산업 재료의 대체물은 생성의 과정에 있는 사이보그를 떠올리게 한다. 그것은 완벽하지 않으며 결함과 한계를 지닌 것에 대한 시각을 제안한다.
이예인은 홍익대학교 동양화과에서 수학 후 베를린을 거쳐 2015년 이래 비엔나에서 활동하는 작가이다. 어릴 때부터 최신식 전자기기에 노출되었던 점과‘공각기동대’나‘에반게리온’의 영향은 그녀의 작품에 어우러져 있다.2) 동양화 전공으로 작업을 시작한 이예인이 조각으로 자신의 매체를 옮겨가는 과정은 흥미롭다. 비엔나에서 자기만의 시각언어를 찾지 못한 작가는 상하이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그곳에서 전에 머물던 참여자가 남긴 재료를 무작위로 수집하면서 폴리 아크릴, 폴리우레탄, 글루건 등을 사용하며 새로운 재료 탐색을 하게 된다. 이 순간이 작가가 회화에서 조각으로 옮겨가게 된 순간이었고 비엔나로 돌아와 캐스팅과 용접 기술을 연마하였다.3)
이예인의 조각에서 어지럽게 엉킨 전선들과 해체된 조각 내부가 무시무시하면서도 인간적인 형태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상하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부터 작가가 유기체적 모습에 기대어 있었기 때문이다. 작가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차갑고 건조한 재료를 사용하지만, 관람객과의 소통을 위한 지지대로 인간적인 형태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것은 작품을 해석해 줄 장치가 된다. 작가는 유기체적인 구조를 연구하고 대중문화 요소에서 아이디어를 얻으며 신체적 부분을 작품으로 확장하였다. 이예인은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인간과 매우 흡사한 로봇을 볼 때 느끼는 불쾌하고 불안한 감정)를 느끼게 하는 로봇 인간 대신 관객과 소통되는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사이 존재’로서의 사이보그를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그녀의 작업에서 혼종성(hybridism)이 느껴지는 것은 자연스럽다.
“[...]오늘날 인공적인 재료에 집착하는 신체는 매우 많으며 하이브리드 개념은 이미 존재하는 현상입니다. 저는 항상 만화나 애니메이션에 관심이 있었는데 전통적인 공상과학보다는 이런 잡지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 제 작품은 제가 보고 관찰한 것에 관한 것이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하나의 예술‘유형’으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공상과학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반 페라르(Ivan Pérard 1984-)가 공상과학은 현대의 우화라고 한 말에 동의합니다. 애니미즘과 신화는 자연과 문화를 중심으로 작동한다면 공상과학은 사회를 반영하는데 그것은 바로 있는 그대로의 우리 삶에 대한 것입니다.”4)
2018년부터 꾸준히 그룹전에 참여해 온 이예인은 2021년 툴루즈(Toulouse)의 르박스(Le Box)에서 열린 개인전 ⟪몸을 재생하세요. 지금 주문하세요. Rejuvenate Body Order Now⟫에서 포스트휴먼 요소를 제시하는 작품을 선보였다. 3D 프린팅된 어깨뼈, 척추 및 상완골이 타원 모양으로 만들어진 투명한 양막 같은 내부에 전시되었다. 이는 인공 자궁처럼 보이며, 각 부분은 몸에 착용할 수 있어 보인다. 혼종적인 신체 부분들은 3D 프린팅, 컴퓨터 부속품, 그리고 모터바이크 부품을 이용하고 투명한 PET 시트로 감싸 나사로 고정하였다. 뼈의 세련된 검은색 표면이 돋보이며 부착된 피어싱 핀에서 금속이 주는 일종의 차가운 미감을 느낄 수도 있다.
플렉시글래스 위에 PVC 필름을 프린트하고 알파벳으로 장식한 <키오스크 Kiosk>는 각 신체 부분을 주문하는 장치로 벽에 걸려있다. 유기체에 기계적 부분을 혼합하기 위해 신체의 부분을 언제든 바꿔 장착할 수 있도록 쉽게 주문할 수 있지만 신체 변형의 용이성은 소비를 부추기는 자본주의 논리를 대변하기도 한다. 그러나 작품에서 반쯤 가려지고 거꾸로 붙여진, 자리에서 떨어져 나간 글자들은 주문을 주저하게 만드는 도구가 될 수도 있다. ‘당신의 팔을 만들어 보세요’라는 문구가 보이는 키오스크에서 작가는 필요한 신체 부분을 빠르고 쉽게 주문하도록 하는 것 같으나 신체 변형에 대한 속도를 지연시키는 듯이 글자들을 쉽게 읽을 수 없게 만든다.
이예인은 이러한 포스트휴먼적인 형상을 구현할 때 화이트큐브 안에만 머물지 않는다. 2023년 네덜란드 틸뷔르흐(Tilburg)의 오우드 바란데(Oude Warande) 공원에서 열린 ⟪지구를 먹는 사람들 Eartheaters⟫에 참여한 작가는 <밝혀진 서열 Uncovered Sequence>을 통하여 숲속에서 몸을 드러내며 우뚝 선 형상의 모습을 보여준다. 강철과 발견물로 이루어진 은빛에 가까운 회색 조각은 나무로 둘러싸여 있고 관람객이 가까이 다가와 관찰할 수 있다. 형체의 팔처럼 보이는 곳에서 삐져나온 나뭇가지와 전선들은 마치 무언가로부터의 변용의 순간이 포착된 듯하다. 이예인은 신화에서 보는 신체 변용과 기괴함이 우리와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음을 상기시킨다. 이는 인류세(Anthropocene)를 사는 세대가 생태학적 변화를 수용하고 나아가 이러한 변화된 환경은 인간이 중심이 아닌 경계 밖의 타자들을 포용할 때 지구의 리듬에 동참할 수 있음을 드러낸다.
기계 또는 기술적인 부분이 유기체적 신체에 합체되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이예인의 작품은 기계와 생명체 사이의 구분이 더 이상 무의미하며 이를 확장된 시스템으로 바라볼 것을 시사한다. 이예인이 제시하는 사이보그는 완전히 인간의 모습을 한 기계 인간도, 완전히 기계의 모습을 한 로봇도 아니다. 그 사이 공간 어디쯤에서 점점 변해가는 과정 중인 포스트휴먼을 재현한다. 그것은 신체적 한계를 넘어 혼합되고 얽히는‘횡단신체적인(transcorporeal)’존재들이다.5) 그의 조각에서 뚜렷한 언캐니 밸리가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전통적인 조각 재료인 석고로 얼굴과 사지를 만들고,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흔한 산업 재료를 자연물과 혼합하여 가감 없이 보여주기 때문일 것이다. 조각의 표면을 느슨하게 비추는 색깔들은 회화를 전공했던 작가가 색으로 보여주는 형태의 변주에 속할 것이다.
<사이-상태 시스템> 연작에서 눈을 감은 얼굴들이 명상하듯 매우 고요하다. 성(性)이 구분되지 않는 신체들은 시간적인 차를 두고 변해가는 되기의 과정과 타자들과의 만남을 연상시킨다. 르네상스 시대가 신 중심의 세계에서 인간 중심의 세계로 이동되었다면 인류세를 맞은 이 시대는 인간 중심 바깥에 존재하던 타자들이 함께 공존하는 미래를 바라보게 하며 그 시대는 바로 지금이다. 조각은 그 자체의 힘을 가질 수 있어야 하며 명확한 상반된 감정을 포용한다고 작가는 말한다. 그녀의 조각은 인간이 중심이 되지 않는 곳, 면밀히 살필 필요가 있는 하위범주로 우리를 초대한다.
- 심정화 (1971-)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 수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예과 X 미술사학과 비평 매칭 참여(2024, 아트스페이스트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특강 <‘여성, 장애 돌봄’: 요하나 헤드바와의 대화> 의 연구원으로 참여(2024).
ㅡㅡㅡㅡㅡ
1) 이예인(Yein Lee b. South Korea 1988)은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참여를 통해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며 2025년 3월 아트 바젤 홍콩에 참여할 예정이다. 웹사이트
http://yeinlee.com 인스타그램 @yeinplee
2) Alex Greenberger, “Yein Lee’s Beautiful, Terrifying Sculptures Give Space to Fragile Bodies”, Art In America, July 26 2023.
3) Billy De Luca, interview with Yein Lee, “Lee’s biochemical forms”, NR 17 Global Virtue, Spring,Summer 2023.
https://nr.world/yein-lee/ (최초 검색 2024년 11월1일)
4) 위의 인터뷰.
5) 횡단신체성(transcorporeality)은 스테이시 앨러이모(Stacy Alaimo 1962-)가 사용하는 개념으로 생물과 무생물 간에 유동적으로 교차 혼합되는 것을 뜻한다.
(좌)이예인, <사이-상태 시스템 3>, 2024,
강철, 폴리머 석고, 에폭시 퍼티, 나뭇가지, 말린 포도 가지, 실리콘, 모니터 거치대, 고장난 진공청소기, 유리섬유, 아크릴 잉크, 래커, 174 x 83 x 90cm,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커미션, 오스트리아 예술문화체육부 후원.
(우)이예인, <사이-상태 시스템 1>, 2024,
강철, 폴리머 석고, 에폭시 퍼티, 나뭇가지, 말린 포도 가지, 실리콘, 고장난 진공청소기, 전선, 유리섬유, 아크릴 잉크, 래커,
186 x 125 x 110cm,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커미션, 오스트리아 예술문화체육부 후원. =도판제공 김송미
이예인, <사이-상태 시스템 2>, 2024, 강철, 폴리머 석고, 에폭시 퍼티, 나뭇가지, 말린 포도 가지, 고장난 모터, 재사용된 가전제품, 전선, 유리섬유, 아크릴 잉크, 래커, 175 x 100 x 100cm,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커미션, 오스트리아 예술문화체육부 후원. = 도판제공 김송미
'미술사와 비평'은 미술사와 비평을 매개하는 여성 연구자 모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