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전준 조각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 전 시 명 :  2014년 모란미술관 기획전 <전준 조각>展

▌ 전시기간 :  2014년  5월 2일 ~  6월 15일 

▌ 장     소 :  모란미술관 

▌ 후    원 :  경기도, 남양주시

OPENING: 2014.05.02(금) Pm 5:00 (버스운행_ 구 공평아트센터 앞 3시 출발)



▌ 전시소개 


모란미술관이 2014년 상반기에 개최하는 첫 번째 <전 준> 조각展 은 평생을 조각 작업에 자신의 열정을 바쳐온 한 조각가의 조형적 세계관을 관람객과 공유하자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전준은 지난 50년간 지속적이면서도 견실한 조형적 작업을 통해 한국현대조각에 기여해온 조각가이다. 전준의 조각은 형태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추상조각의 계열에 속하지만, 그 내용의 관점에서 들여다보면 삶의 울림을 존재론적 조형성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는 특히 조각가 전준이 오랜 기간 동안 “소리”라는 주제에 천착해왔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그리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다. 


전준은 조각의 본질을 충실히 구현해 온 작가이다. 돌, 철 나무, 등 조각의 다양한 재료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조각의 구조를 분석적으로 연구해왔다는 것이 이에 대한 증거이다. 전준은 조각의 형식과 내용에서 어떤 하나의 고정된 틀에 얽매여 작업하는 작가가 아니다. 근원적인 생명의 울림을 조형적으로 반영하고자 하는 전준의 시도는 조각과 회화에서 실험적이면서도 진지한 조형적 모색이 확연하게 드러난다. 전준의 조각은 자연, 생명 그리고 인간과 관계하는 삶의 소리를 들려준다. 그러기에 그의 작품에서 단순한 조형미가 아니라 심원한 조형적 세계관을 관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번 전시는 관람객이 전준의 조각 작품에서 예술이 불러내는 마음의 울림을 듣고 삶에 대한 성찰로 이어지는 귀중한 시간을 갖게 될 것이다. 







▌ 전시서문 



소리를 조각하다



                                                             임성훈(미학, 미술비평)


I.


이번 모란미술관의 <전준 조각>展은 지난 50년간 견실한 조각정신으로 작업해온 작가의 조형미학을 또 다른 하나의 시선으로 바라보고자 기획된 전시이다. 전준은 긴 시간 동안 작업을 해 오면서 특정한 하나의 틀에 얽매여 안주하는 법을 몰랐던 작가이다. 그저 조각의 길에 전력을 다해 걸어가거나 달려왔을 뿐이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정영목이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듯이, 전준은 “이 시대의 전천후(全天候) 조각가”이다. 이렇듯 전준은 조각의 가능성과 본질을 탐구하고, 이를 다양한 형식으로 치열하게 모색해 온 작가이다. 그러기에 한국 현대조각의 흐름에서 그의 조각은 주목할 만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2000년대 이후 제작된 작품을 위주로 그의 조각에 내재한 설치미술 개념을 고찰해보고, 이에 따라 그 미학적 함의를 가늠해 보는데 중점을 둔다. 


II.

전통적인 조각에서는 물론이거니와 현대조각에서도 여전히 내용과 형식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은 난해한 문제이다. 그런데 전준은 이러한 난제를 자연스럽게 풀어내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내용에 형식이 있고, 형식에 내용이 있다는 것을 조형적으로 실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준 조각의 매력이 있다. 삶, 자연 그리고 생명의 근원적인 울림, 그 소리에서 형식이 생겨나고, 또한 그 형식 자체가 다시 이야기가 된다.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일련의 연작들 <소리-탄생과 소멸>, <소리-우연과 필연사이>, <소리-존재의 의미> 등이 바로 여기에 뿌리를 두고 있는 작품들이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전준은 오랫동안 “소리”를 주제로 작업을 해왔다. 그런데 그가 천착하고 있는 “소리”란 도대체 무엇인가?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지만, 분명해 보이는 것은 전준의 소리가 단지 오감 중의 하나인 청각만을 의미하는 건 아니라는 점이다. 왜냐하면 그의 소리는 청각뿐만 아니라 시각, 미각, 후각, 촉각 등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오감의 소리이기 때문이다. “소리”는 삶의 이야기 그리고 자연의 친화성을 담아내는 은유이다. 그러니까 그의 소리는 단순히 물리적 파동에 따른 결과로서의 소리가 아니라 삶의 이야기들 속에서 펼쳐지는 수많은 심상들에서 울려 나오는 소리인 것이다. 


전준의 소리는 고답적이지 않다. 또한 형이상학적이거나 관념적인 관조에 머무는 것도 아니다. 추상적인 현실이 아니라 바로 이곳에서 생생하게 살아 숨을 쉬는 우리들의 삶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소리이다. 고즈넉하게 때론 치열하게 아우성치는 삶의 소리이다. 전준의 작업장을 처음 방문했을 때, 곳곳에서 울리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엄청난 양의 작품들을 보면서 그가 단지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작업보다 과정을 중시하는 작가임을 확연하게 느낄 수 있었다. 그의 소리도 바로 이러한 과정에서 울려나오는 것이리라. 주제가 억지로 덧붙여진 빛바랜 조형적 감각이 아니라 과정 속에서 빛나는 조각정신이 이러한 소리를 만든 것이다. 전준이 작품 제목에서 자주 사용하는 탄생, 소멸, 우연, 필연 등과 같은 말도 바로 이러한 과정에 대한 조형의식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III.

전준은 작업에서 다양한 재료들, 예컨대 대리석, 철, 브론즈, 오석, 나무 등을 사용한다. 물론 이처럼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는 작가가 드문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의 조각에서 재료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처럼 보인다. 무엇보다 재료의 미학적 특징을 조형적 주제와 긴밀하게 연관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재료는 단순히 조각을 위한 도구나 수단이 아니라 재료 그 자체의 조형성, 달리 말하자면 재료의 미학적 차원으로 변용된다. 재료가 주제가 되고, 주제가 재료가 된다. 이런 이유로 그의 매스는 인공물이 아니라 자연물처럼 느껴진다. 재료의 미학에 대한 깊은 이해는 조각의 가능성과 그에 따른 다양성을 새로운 지평에서 탐구할 수 있는 추동력이 된다. 


재료의 미학은 철조, 석조, 목조뿐만 아니라 전준의 회화, 드로잉, 에칭에서도 발견된다. 그는 회화적 평면성의 한계와 가능성을 파악하고 있으면서 그 평면성이 조각과 맺는 존재방식이 있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회화 작품을 보자. 재료의 미학에 근거한 조각의 공간과 매스가 평면에서 어떤 방식으로 재현될 수 있는지를 모색하는 그의 조형적 시도를 그리 어렵지 않게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조각 재료에 대한 미학적 차원의 이해는 자연대상에 대한 깊은 성찰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조형적 실마리가 된다.


IV.

이번 전시를 준비하면서 걱정스러웠던 것 중의 하나는 전준의 작업을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 작품을 선정할 경우 전체적으로 산만해 질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는 작업장을 방문하고 작품을 선정한 후 몇 번에 걸쳐 디스플레이를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사라졌다. 다양한 조형성을 보여주는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조형미학이 분명하게 있었기 때문이다. 초기작을 제외한다면, 전준 조각의 대부분은 추상조각에 속한다. 그러나 이를 두고 서구의 현대조각사에 등장했던 사조로서의 추상조각에 상응하는 것이라고 성급하게 단정할 수는 없다. 그의 조각은 추상적인 형식을 전면에 내세운 것이 아니라 일상과 자연의 아름다운 순환의 계기를 본질적으로 포착하고 이를 추상형식으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념의 포장을 뜯어내고 내밀한 조각적 언어로 생명의 울림, 그 소리의 형상화를 이루어내는 것이 그가 추구하는 추상조각이다. 관념적인 유희가 아니라 촘촘한 삶의 결들로 구성된 추상조각인 것이다. 전준의 추상조각이 보여주는 이러한 특징을 충분히 고려하여 이번 전시는 설치미술의 관점에서 개별 작품들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조형적 공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모란미술관의 다섯 공간에 설치된 작품들은 전체적으로 조화로운 조각의 “소리”를 들려줄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작품들의 고유성을 견지하면서도 동시에 그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관계의 공간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전시장 입구에는 작가의 조형적 태도와 형식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목조, 석조, 회화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소리-탄생과 소멸>(2011), <소리-탄생과 소멸>(2005), <소리>(2002) 등은 작가의 “소리”가 어떤 것인지를 알려주는 프렐류드이다. 1전시실에 설치된 철단조 <소리-우연과 필연사이>(2007-2009) 연작 그리고 에칭 <소리-내재율>은 섬세하고 감각적이면서도 치밀한 조형성이 무엇인지를 단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2전시실의 <소리-탄생과 소멸>(2012) 연작은 공간과 매스에 대한 또 다른 생각을 이끌어내고 있다. 이 연작과 함께 설치된 회화 작품(<소리-묵시>(2004), <소리-예감>(2005), <소리-숨>(2001, 2007) 등)은 조각적 소리, 그 울림이 갖는 함축미를 선과 색의 감성적 구성으로 표현해내고 있다. 아래층 3전시실의 <소리-존재의 의미>(2013)는 주관과 객과, 부분과 전체, 개인과 사회 등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오늘의 모습을 은유적으로 제시한다. 여기서 텅 빈 듯 보이는 매스는 공간에서 응축된 주제의식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고 있다. 4전시실의 석조 작품 <소리-탄생과 소멸>(2005) 연작에서는 소리의 근원을 모색해 온 작가의 견고한 작업 정신이 새롭게 환기된다. 이는 벽에 걸린 회화 연작 <소리-예감>(2001)으로 인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V.

이번 전시에서 알 수 있듯이 전준은 형태 그 자체의 틀이나 결과에 얽매이는 것이 아니라 부단히 “소리”의 조형성을 찾아 나서는 과정의 작가이다. 그러기에 작품에는 일상과 자연의 소리, 그 울림의 미묘한 순간을 조형적으로 포착한 흔적이 발견된다. 전준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있는 것과 없는 것, 사라지는 것과 생겨나는 것, 끝나는 것과 시작되는 것 등과 같은 순환을 삶의 이야기를 담은 소리의 조형성으로 승화시켜 관객에게 들려준다. 그의 조각에는 일상과 자연의 숨결을 오감으로 느끼게 하는 조형적 힘이 표상되어 있다. 그 힘은 묵직하고 곧으면서도 또한 섬세하고 감성적으로 발현되는 조형성에서 나온다. 이번 전시가 전준의 조각이 불러오는 삶의 울림, 그 소리를 관객들과 공유하는 즐거운 자리가 되기를 희망한다.






▌ 작가약력


전 준 (1942~)

1965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1979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대학원 졸업


개인전

1976 제1회 조각 개인전 문헌화랑

1979 제2회 조각 개인전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1979 제3회 조각 개인전 L.A한인화랑

1980 제4회 조각 개인전 미술회관

1985 제5회 조각 개인전 공간사 25주년 기념 초대

1989 제6회 조각 개인전 미술회관

1996 제7회 조각 개인전 모란갤러리

1999 제8회 조각 개인전 인갤러리

2004 제9회 조각 개인전 모란갤러리

2007 제10회 조각 개인전 일민미술관

2008 제11회 조각 개인전 서울대학교 미술관

2014 전준 조각전 모란미술관


단체전

국전초대작가 출품

한국현대조각가 연립전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조각대전 초대 국립현대미술관

공간미술대상 협찬전 국립현대미술관

제16 18회 상파울로 비엔날레 출품

한국현대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한국현대미술전 이태리 밀라노

현대미술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미술대전 초대출품 서울시립미술관

한국현대미술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조선일보사 미술관 개관 기념 초대전 조선일보미술관

한국조각미술대전 선화랑

국제교수교류전 2001 파리 Bernanos갤러리

마니프 서울 국제 아트페어 출품 예술의 전당

광화문 국제 아트 페스티벌 풀물 세종문화회관

단체전 및 그룹전 300여회 출품

중국 북경 도시환경 조각전 심사위원 역임

미술대전 심사위원, 중앙미술대전 심사위원 등 역임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