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나얼 회화 : 콜라주얼_나얼의방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이번 <콜라주얼_나얼의방> 전은 뮤지션(브라운아이드소울의 맴버)이자 화가인 나얼의 아홉번 째 개인전 입니다. 콜라주얼은 콜라주 기법과 작가 본인의 이름 얼(earl)을 합성해 만든 단어 입니다.

나얼은 드로잉과 오브제를 한 화면에 담아내는 콜라주 작업을 꾸준히 진행해오고 있습니다. 그는 순간들을 기억하기 위해 일상의 물건 들 속에서 오브제를 모으고, 그것을 재조합 합니다. 나무 창문 위에 드로잉이나 채색을 하기도 하고, LP 판 케이스에 드로잉과 함께 일상 속에서 수집한 소소한 오브제를 콜라주하기도 합니다. 소재가 되는 오브제는 여행을 할 때마다 우연히 마주친 물건들 중 자신의 정서를 담을 수 있을 만한 것들부터 평소 세탁물에 붙어있는 종이표에 이르기 까지 다양합니다. 나아가 이 작품들이 빈티지 가구에 씌워진 유리케이스 내부에 다른 입체 오브제들과 담겨서 또 다른 조형작품의 일부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뒤샹의 레디메이드 작품을 연상시키기도 하는 그의 작품은 오래된 물건들이 늘어져 있는 것 같지만 아주 치밀하게 구성된 완벽한 조형성을 구현합니다.

어린 시절의 드로잉 위에 어른이 된 자신의 흔적을 남기는 디지털 콜라주(digital collage)를 시도한 작품은 이번 전시의 신작 중 가장 흥미로운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는 LP판 콜라주 작품과 함께 대형실사물로 여러분께 선보입니다.  

그의 그림에 주소재로 등장하는 흑인들의 모습은 그가 어린 시절 부터 음악적으로 영감을 받고 추종했던 흑인음악에 대한 애정을 나타냅니다. 그의 음악과 목소리에 담긴 신비롭고도 깊은 울림이 느껴지는 감성과 복잡하고도 미묘한 그리움의 정서를 담고 있는 미술작품에서의 감성은 교집합이 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전혀 다른 차원의 감흥을 전합니다.

그에게 있어 음악이 최대한 많은 대중을 향한 것이라면 미술은 좀 더 자신의 내면으로 들어가서 그안에 담겨있는 무수히 떠도는 감정들을 자유롭게 표현한 것입니다. 순수한 열정의 시절을 추억하며 드로잉 위에 덧붙인 이미지(image), 텍스트(text), 오브제(objet)들은 기억의 조각들을 예술로 승화시키려 노력한 흔적들입니다. 

그가 순간 순간을 빛어낸 기록물들은 그의 인생에 있어 그리워하고 싶은 시절, 향수로서 영원히 남습니다. 
이번 전시는 신작 <Collage For Infancy> 시리즈 12점 이외에도 자메이카 여행 중 그린 그림 12점, 윈도우 시리즈 9점, 총 48개의 작품이 전시 됩니다. 이는 마치 나얼의 방에서 그리움에 대한 작업의 향연이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지를 감상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그리움, 그 영롱한 기억의 흔적들 


이문정 (조형예술학 박사, 중앙대학교 겸임교수)

다시-기억하기(re-souvenir), 그것은 창작하는 것이다. 그것은 기억(souvenir)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너무나 물질적인 기억의 정신적인 등가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며, 모든 연상들에 들어맞는 관점과 모든 이미지들에 유효한 양식(style)을 새로 만드는 것이다. 

Gilles Deleuze, Proust et les signes,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71. p. 119.  
 
유나얼은 그리움을 담아내는 예술가이다. 
유나얼의 작업은 필연적으로 자전적이다. 그리고 감성적이다. 
그리움은 기억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모든 기억이 그리움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움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기억은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그리움을 느낀다는 것은 어떠한 감정적 작용이 있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객관적인 정보에 대해 그리움을 느낄 수는 없을 것이다. 사실 기억은 이미 그 자체로 단순한 정보의 저장이 아니다. 기억은 그 시작에서부터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것이며 단순히 이성적 질서를 따르는 시간으로서의 과거가 아니다. 그것은 주지주의(intellectualism)로는 결코 설명할 수 없는 정서적인 것이다. 그것은 특정한 사람이 경험했던 것뿐만 아니라 그 순간 느꼈던 감정까지 함께 저장하는 것이다. 재구성될 수도 있고 왜곡될 수도 있다. 기억들 사이에서 상호작용이 일어나기도 한다. 

유나얼은 기억을 간직하기 위해 드로잉(drawing)을 시작했다. 그는 어려서부터 알고 있었다. 시간은 흐르고 흐른다는 것을. 언젠가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것들이 스쳐지나갈 것임을. 그렇기 때문에 그것들을 그리워하게 될 것임을. 그리고 작가는 자신이 소중히 여기는 것들을 그리게 되었다. 성경 구절, 예술적 영감의 원천인 흑인의 음악과 그들의 영혼, 자신이 만났던 세상, 자신을 마주했던 사람들과 사물들 그리고 그들에 대한 자신의 기억과 그들을 향한 그리움까지도 드로잉 했다. 소중히 보관하기 위해 그는 그리고 또 그렸다. 

그리움의 드로잉은 애잔한 기쁨이다. 찬란한 슬픔이다. 
그리움이라는 단어 안에는 인간이 느낄 수 있는 모든 감정이 다 담겨 있다. 
우리는 행복했던 삶을 그리워한다. 그러나 아팠던 순간 역시 그리워한다. 기억과 시간이 만나면 슬픔까지도 아름답게 변화된다. 행복의 감정은 희석된다. 어느 쪽이든 애틋하다. 

복잡하고 미묘한 그리움의 감정을 담아내는 대표적인 작업은 <Collage For Infancy> 시리즈(2015)이다. 이 일련의 작업에서 유나얼은 그 동안 보관해온 어린 시절의 드로잉 위에 어른이 된 자신의 흔적을 남기는 디지털 콜라주(digital collage)를 시도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유년기는 순수의 시절이다. 그것은 미소 짓게 하는 빛남이며 아쉬움이다. 

작가가 흑인 음악을 처음 만나 빠져들었던 십대 시절 역시 결코 잊을 수 없는 순간들의 연속이다. 작가는 뮤지션(musician)들의 예술과 영혼에 심취했고 만나본 적도 없는 그들을 그리워하게 되었다. 삶의 애환 속에서도 순수한 영혼을 잃지 않고 모든 것을 예술에 담아내는 그들의 삶은 그 무엇보다 아름답게 느껴졌다. 이에 작가는 마빈 게이(Marvin Gaye), 조니 길(Johnny Gill)과 같은 뮤지션들과 아프리카(Africa) 흑인들을 드로잉하고 그 위에 작가 자신을 암시하는 흔적들을 콜라주 했다. 순수한 열정의 시절을 추억하며 드로잉 위에 덧붙인 이미지(image), 텍스트(text), 오브제(object)들은 기억의 조각들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한편 유나얼의 작품 중 일부는 프린트(print)한 채로 선보여지는데 이것은 기억이라는 주제를 더욱 강조하기 위함이다. 기억은 원본이 아니다. 기억은 실재가 아니다. 그것은 머릿속에서 상영되는 영화이다. 한 장 한 장 넘겨지는 사진첩이다. 프린트된 콜라주들은 기억의 본성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평면과 입체를 넘나들며 시도되는 콜라주는 유나얼이 그리움을 담아내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작가는 순간들을 기억하기 위해 오브제들을 모은다. 그는 일상의 물건들을 통해 과거를 기억하고 그 과정에서 작은 오브제들에게 의미를 찾아주는 자신만의 역할을 보여준다. 마치 피터 블레이크(Peter Blake)가 그랬듯 자신이 좋아하는 물건들, 자신에게 영감을 준 물건들, 자신의 일상을 상징하는 물건들을 수집한다. 유나얼의 작품들 그리고 작업실에는 찬란했던 삶의 순간들이 지층처럼 쌓여 있다. 오브제들은 작가와 첫 인연을 맺은 그 순간의 맑은 상태로 보존되며 그것들이 놓여있는 위치는 무심해 보이지만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철저히 계획된 것이다. 드로잉의 선 하나, 콜라주의 사진 한 조각 역시 우연을 가장한 필연이다. 작가는 하나의 오브제를 자신의 삶 속에 포함시킬 때마다 신중에 신중을 기한다. 수집된 오브제들은 하루하루의 기억과 같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나얼이 모으는 오브제들을 보면 진귀한 것도 있지만 평범하고 친숙한 것들이 더 많다. LP의 낡은 커버(cover), 뜯어낸 종이 상자, 천 조각처럼 우리가 평상시에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낡거나 사소한 물건들도 있다. 생활 속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하고 작가가 의도적으로 찾아내기도 하는 이 오브제들은 과거 누구가의 찬란했던 순간을 함께 한 중요하고 소중한 증거들이다. 그 기억의 오브제에 유나얼은 자신만의 기억을 덧씌운다. 작가는 모든 것들의 가치는 표면이 아닌 내면의 깊이를 통해 정해진다고 말하며 자신 앞에 주어진 대상들에게 따듯한 시선을 건넨다. 설령 하찮은 것일지라도 그것이 작가에게 보내는 의미, 작가가 그들에게 보내는 애정에 따라 모든 가치는 상대적으로 바뀐다. 작가 자신과 대상들 사이의 내밀한 관계가 중요하다. 그 내밀한 관계 속에 더해지는 작가적 상상력은 사소한 물건들을 예술로 승화시키고, 일상은 새로운 가치와 생명을 부여받는다.  

시인은 할머니의 설화를 되풀이해서 말하지 않는다. 그는 과거를 갖고 있지 않다. 그는 새로운 세계에 존재한다. 과거와 이 세계의 문제들에 대하여, 그는 절대적인 승화를 실현시킨다. (중략) 모든 기억은 새롭게 상상되어야 한다. 우리들은 기억 속에 마이크로필름(micro-film)들을 갖고 있는데 그것들은 상상력의 강렬한 빛을 받아들여야지만 읽힐 수 있다. 
Gaston Bachelard, La poétique de l'espace,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2012, p. 157. p. 161.

유나얼의 작품에 등장하는 오브제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시간성을 강하게 분출한다. 동시에 긴 시간의 흐름을 함축한다. 그리고 그러한 시간들이 모두 어우러져 있는 작가의 작품-작업실-은 그만을 위한 작은 우주가 되어 작가가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시공간을 제공한다. 그것은 마치 거울을 바라보고 자신을 응시하는 것과 같다. 작가에게 이 시간은 매우 중요하다. 세상의 진실을 발견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세상은 단순히 물질적인 것이 아니며 모든 세상의 존재들, 기호들, 사물들은 보이는 대로가 아니다. 그 모두는 특별한 의미를 가진 시어(poetic diction)와 같다. 

이제 작가는 영혼의 울림을 선사하는 시를 짓는다. 유나얼의 시는 특별한 순간을 정지시키지만 그 안에 시간의 흐름을 담아내는 오묘한 상황을 창조한다. 그는 덤덤하게 시어-오브제-들을 자신이 선택한 자리에 놓고 자신이 그리워하는 시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그 위로 현재, 지금의 순간을 겹쳐놓는다. 시간의 정지와 시간의 흐름이 공존하는 순간이 만들어진다. 영원과 순간이 함께 한다. 다중적인 시간을 동시에 느끼면서도 일순간 모든 것이 정지된 것과 같은, 논리적으로는 설명 불가능한 이 경험은 시간을 영원히 빛나게 한다. 

이제 시간은 미래를 향한다. 유나얼의 작업은 잃어버린 시간을 다시 찾아가는 과정이다. 그러나 과거를 기억해내고 그리워하는 행위는 현재와 미래를 위한 것이지 과거에 침잠하기 위한 것이 결코 아니다. 그것은 궁극적으로 과거에서부터 현재에 이르는 작가-한 인간-의 삶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다. 시간의 본성은 흐른다는 것이다. 우리는 흐르는 시간의 찰나들을 현재라 부르며 살아간다. 흘러간 순간들은 과거가 된다. 미래의 찰나들은 일순간 현재가 되고 과거가 될 것이다. 처음부터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는 공존했다. 그들은 절대 분리될 수 없다. 현재는 그것을 인지하는 순간 과거가 되고 미래는 그것을 머릿속에 그리는 순간 현재가 된다. 따라서 과거는 현재이지 않은 것, 지난 것이 아니라 과거에서부터 현재와 미래로 이어지는 현재의 나와 함께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흐름 속에서 축적된 기억들은 시간 위에 서 있는 나 자신이다. 

결국 유나얼의 오브제는 과거-현재-미래의 진실과 그 위에 서 있는 인간을 은유하는 것이다. 들뢰즈(Gilles Deleuze)가 말했듯 기억은 과거를 위한 기능으로서 구성된 것이 아니다. 그것은 미래에 도래할 또 다른 기억을 만들어내기 위해 현재 일어나는 것을 간직하는 것이어야 한다. 즉 현재가 지나갔을 때 도래할 미래를 위해 사용되는 기억이어야 한다.   
‘Back In The Days’, 그것은 결코 지나간 시간이 아니다.  

나의 오늘은 얼마나 영롱한지 생각해 본 일이 있는가? 내일, 오늘의 나 자신을 생각하며 그리워할 수 있을까? 유나얼은 말한다. 우리의 하루하루는 영롱하다. 기억은 찬란하다. 그리움은 아름답다. 시간 속의 존재들을 그리워할 수 있는 나, 그리고 우리는 행복하다. 그리워할 수 있는 순간들을 가진 우리의 인생은 감사함이다. 

유나얼은 마음속으로 그려본다. 십 년 후 그리고 이십 년 후, 오늘을 어떻게 기억하고 그리워하고 있을지. 큰 욕심을 부리지는 않는다. 오늘도 언젠가는 그리움의 시절이 될 수 있도록 살아갈 뿐이다. 그는 소망한다. 언제일지는 모르는 그 어느 날에도 오늘의 하루를, 그 하루의 순간을 영롱하게 기억하고 그리워할 수 있기를.


 

 
   







나얼 약력 

Education

2005년 단국대 디자인대학원 서양화전공 졸업
2003년 단국대 서양화과 졸업
2000년 계원조형예술대학 매체예술과 졸업


Solo Exhibition

2014 나얼 / 아베노 하루카스 백화점, 오사카_일본
2013 Collagearl / 갤러리 토스트, 서울
2012 Principle Of My Soul / 이듬 갤러리, 부산
2011 A Regular Hexahedron Is The Cross / 다음사옥, 서울
2007 Life And Love Are The Same / T-스페이스, 서울
2006 아름답지만 치명적인 / 정 갤러리, 서울
2006 Plant The Sweet Things / 삼일로창고극장, 서울
2004 나얼 / 고도갤러리, 서울


Group Exhibition

2015 나얼 & 노준 / 아베노 하루카스 백화점, 오사카_일본
2014 KIAF / 코엑스, 서울
2014 아트바겐 / 갤러리 토스트, 서울 
2014 TONY VIRAMONTES & 6 KOREAN ARTISTS / 텐꼬르소꼬모, 서울
2013 교환 / 갤러리 소울잉크, 서울
2013 럭셔리 홈인테리어 디자인 쇼 / 코엑스, 서울
2013 서울 카페쇼 / 코엑스, 서울
2013 오사카 아트페어 / 오사카_일본
2013 도어즈 아트페어 / 임페리얼리스호텔, 서울
2013 나얼 & 노준 / 갤러리 카제, 오사카_일본
2013 Flat 아트페어 / 아이파크, 서울
2012 도어즈아트페어 / 임페리얼팰리스호텔, 서울
2012 Beautiful Star / 비욘드 뮤지엄, 서울
2012 만찬 / 아트스페이스별채, 서울
2012 사랑의 처방 / 갤러리 토스트, 서울
2012 My Funny Valentine / 김리아 갤러리, 서울
2011 My Africa / 남이섬 갤러리, 강원도
2011 코카콜라 125 주년 / 캐논플렉스, 서울
2011 Volkwagen JETA 프로모션 / 서울옥션 갤러리, 서울
2011 The Liner / 인사아트갤러리, 서울
2011 나얼 & 노준 / 갤러리 카제, 오사카_일본
2011 CHUPOP’Star / 산토리니서울, 서울
2010 Artistar / 롯데백화점 애비뉴엘 갤러리, 서울
2010 Drawing i Am Melody / 신촌 유플렉스 갤러리, 서울
2010 7 Weeks Island / 갤러리 미래, 서울
2010 꿈을바라보며그리다 / 의정부예술의 전당, 의정부
2009 Revo Korea Extended Movement / 크링 갤러리, 서울
2009 Reebok 20 Years Of Pump / 플래툰 쿤스트 할레, 서울
2009 서교난장 / 갤러리 킹, 서울
2009 888 Bakery / 까페 미스홍, 서울
2009 홍대 앞 다시보다 /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09 마리킴 & 나얼의 두근두근 Tomrrow / 까페 투모로우, 서울
2009 서울디자인올림픽 / 잠실종합운동장, 서울
2009 착한사람들 / 금산갤러리, 서울
2009 아트로드77(With Art , With Artist) / 예술마을 헤이리, 파주
2009 아시아 탑 갤러리 호텔아트페어(AHAF) / 하이아트 호텔, 서울
2009 아름다움이 세상을 치료한다 / 갤러리 쌈지, 서울
2009 블루닷아시아 2009 아트페어 /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09 한국만화 100년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9 인물 징후 / 갤러리 킹, 서울
2009 이동 / 문화살롱 공, 의정부
2009 쌈지 아트인생프로젝트 / 의정부 예술의 전당, 의정부
2009 Mr.Mixi In Avenuel / 롯데백화점 애비뉴엘 갤러리, 서울
2009 HOUSE / Summerfish 갤러리, 서울
2009 Mr.Mixi / 김진혜 갤러리, 서울
2008 버락 오마마 아트쇼 희망 / RO혇 SPACE, 뉴욕_미국
2008 의정부 명물찌게에 반한 59인의 작가 / 의정부 예술의 전당, 의정부
2007 Artist`s Another Art / 성곡미술관, 서울
2007 백조의 물밑작업 나얼&노준 / 샘표공장, 이천
2006 나얼&노준 / 현대백화점, 서울
2006 신세계 아트페어 / 신세계백화점, 서울
2004 잠시 주차중 / 창동미술스튜디오, 서울
2004 섬 / 막골, 포천
2001 황과 흑의 조우 / 문예진흥원, 서울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