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그림 없는 미술관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1. 전시 소개 글

 청주시립미술관의 첫인상은 묘하다. 비단 미술계에 종사하는 전문인들의 눈에만 그런 것이 아니라 전시장을 종종 찾는 일반 관객의 눈에도 청주시립미술관의 외관 및 내부 전모는 어딘지 눈에 설다. 전형적인 화이트큐브의 모던 미술관으로 보이지도 않고 그렇다고 포스트모던한 감성이 깃들어 있는 건물로 보이지도 않는다. 그도 그럴 것이 청주시립미술관은 미술관의 용도로 설계된 건물이 아니고 한창 산업화가 진행되던 1970년대 후반에 지어진 방송국으로 건물을 리모델링한 것이기 때문이다.
 
 청주시립미술관에서 일반적인 전시실처럼 보이는 공간은 두 개 뿐이고 나머지 공간들은 모두 지나치기 쉬운 복도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나마 두 개의 전시실 중 하나는 천정고가 10미터에 육박하여 어떤 형식의 작품을 가져다 놓아도 공간이 작품을 압도한다. 반면 복도형 전시실들은 일반 가정집이나 사무실 정도의 낮은 천정고를 가지고 있어서 전시작품 유형에 한계가 노정된다. 이 장소에서 전시를 기획하는 입장에서는 이러한 모든 특성들이 참으로 난감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림 없는 미술관>전은 이러한 고민 속에서 기획된 전시이다. 청주시립미술관의 전시장들과 구석구석의 공간들을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인지, 이 부분에 대한 질문을 작가들에게 던진 것이다. 이번 전시의 참여 작가들은 실제 공간을 작품의 요소로 수용하는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에 관심을 두어 온 이들로, 예민한 작가들의 눈으로 공간의 쓸모를 다시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시장의 높이와 넓이에 대한 새로운 측정, 유입되는 빛의 양에 대한 예민한 고려, 계단이나 유리창, 엘리베이터 등 외부적 공간의 가능성에 대한 실험 등 공간비평적 작품들이 미술관을 가득 채우게 된다.

 모든 미술관에는 당연히 그림(‘그림’으로 대표되는 전통적 의미의 미술작품)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번 청주시립미술관의 전시에 그림은 단 한 점도 없다. 관객들은 영구히 보존될 것으로 믿어지는 그림 대신에 전시 기간 동안 잠깐 존재하는, 존재했다가 사라질 운명의 작품들을 바라보게 될 것이다. 일시적이고 반복불가능하며 장소특정적인 이 작품들을 감상하는 일은, 동시에 이 작품들이 미술관의 특정 공간들을 어떻게 해석해냈는가를 보는 일이다. 작가들의 눈에 의해 미술관은 새로운 조건을 맞게 되고 생각지도 못한 가능성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2. 전시개요
· 전 시 명 : 그림 없는 미술관 Museum without Paintings  
· 전시기간 : 2017. 04. 04. - 07. 02. 
· 전시장소 : 청주시립미술관 본관(로비 및 1~3층 전시실)
· 참여작가 :김남훈, 김지혜, 김형관, 복기형, 서은애, 손동락, 
           이선희, 이자연, 이중근, 전윤정, 정승운, 최제헌  총12명 

· 전시내용 
- 독창적 작업세계를 펼치는 현대미술 작가의 작품을 통하여 미술관 공간을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변신시키는 전시
- 과거 방송국을 리모델링하여 재탄생된 미술관 건물 속 공간을 작가들의 시각으로 탐색하여 작품과 공간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하여 광거의 공간에서 새롭게 탄생된 공간의 가능성을 극대화함 




김남훈 
<학력>
2013 독일 쿤스트아카데미 뮌스터 자유미술학과 석사
2012 독일 뮌스터 쿤스트 아카데미 졸업 Kunstakademie Muenster (디플롬)
     마이스터슐러 취득(Maik & Dirk Löebbert 교수 사사)
2001 한성대학교 회화과
<개인전>
2013 <Codominance>, Ausstellungsraum A3, 뮌스터, 독일
2005 <해주(海湊)>, 스페이스빔, 인천
<단체전>
2016 <108개 의자>, 문화공장오산, 오산 
2014 <Föderpreis>, Kunsthalle(AZKM), Münster, 독일


김지혜
<학력>
2008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예술학 전공 박사
1996 미국 켄트주립대학교 대학원 도예과 미술석사
1993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예과 미술석사
1991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도예과 미술학사
<개인전>
2014 지나가는 시간을 기억하다, 목인갤러리, 서울
2012 콩가, 우덕갤러리, 서울
<단체전>
2016 Dialogue, Gallery Choi, 서울
2015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본전시, 이천세계도자센터, 이천


김형관
<학력>
2003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회화과
2000 대구예술대학교 서양화과
<개인전>
2014 별은 홀로 빛나지 않는다, 갤러리 버튼, 서울
2012 당신의 그림자는 건강하십니까?, 문래예술공장, 서울
<단체전>
2017 수작, 먹고 사는 기예술, 경기청년문화창작소 상상공작실, 수원
2016 메이드 인 서울, 메이막현대미술관, 프랑스


복기형 
<학력>
2000 목원대학교 미술학과 조소전공
1994 목원대학교 미술교육과 조소전공
<개인전>
2014 사물에 잇대는, 변방갤러리, 대전
2012 Notion Drawing, 성마루미술관, 충주
<단체전>
2015 소제동 골목길을 걷다, 대전역 철도보급창고, 대전
     인류의 촉각, 청주예술의전당, 청주


서은애
<학력>
2009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동양화전공 박사과정 수료
1997 中國 中央美術學院 판화과 연구과정 수료
1996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및 동대학원 졸업
<개인전>
2015 인생, 길 위의 나그네, 갤러리 한옥, 서울
2012 몽롱지경(朦朧之境), 갤러리 조선, 서울
<단체전>
2016 근대 동양화의 거두–현초 이유태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전,이화아트센터, 서울
2015 우리 문화의 멋과 민화, 고양아람누리 아람미술관, 고양


손동락 
<학력>
2007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애니메이션전공
2001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서양화전공
<개인전>
2016 똘이를 찾아서 ‘미술관은 내 친구’, 신미술관, 청주
2013 똘이야~! 놀자~! ‘프로젝트스페이스 우민’, 우민아트센터, 청주
<단체전>
2016 오창 정미소-생산자의 영토, 청주시립미술관 오창전시관, 청주
2015 종이에 그리기, 종이에 만들기, 넥스트아트미술관, 청주


이선희
<학력>
현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입체미술전공 박사과정 재학
2011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입체미술전공 석사
2007 충남대학교 예술대학 조소과 학사
<개인전>
2016 삶에서 하늘을 보는 법, 인디아트홀 공, 서울
2014 너무나 많은 시작, 경기창작센터 상설전시장, 안산
<단체전>
2017 유목하는 예술가들, Camp1, 서울
2016 직조의 시작-상상력의 교차로, 두드림 작은 미술관, 동두천


이자연
<학력>
2007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조소전공
2002 서원대학교 미술학과 조소전공
<개인전>
2016 寂. 고요할 적, 아트홀 서로, 리솜포레스트, 제천
2015 寂. 고요할 적,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단체전>
2017 우리 모두 나무,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 청주
2016 비일상의 발견, 팔복예술공장, 전주


이중근
<학력>
2014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공예학과 섬유미술전공 박사과정 수료
2002 경원대학교(현 가천대) 대학원 응용미술과
1999 경원대학교(현 가천대) 미술대학 섬유미술과
<개인전>
2015 From Moment To Eternity(순간에서 영원으로), 루프, 서울
2013 Carpe Diem, 아트파크, 서울
<단체전>
2016 메이커스 프로젝트,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2015 시시각각,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전윤정
<학력>
2011 서울여자대학교 조형 석사
2003 서울여자대학교 서양화 학사
<개인전>
2009 Next Code, 대전시립미술관 대전창작센터, 대전
2008 근심의 도피, 바롬 갤러리, 서울
<단체전>
2016 탐-색전, 63아트 미술관, 서울
2015 무심, 소마미술관, 서울

정승운
<학력>
1994~99 쿤스트 아카데미 뒤셀도르프(Prof.J.Kounellis), 독일
1996    마이스터슐러(Prof.J.Kounellis)
1990~94 조형예술 아카데미 뉘른베르그(Prof.s.c.Coditz), 독일
1989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개인전>
2016 공제선_붉은섬, LIG아트스페이스, 서울
2014 공제선_청산: 트로프 프로젝트4, 독일문화원, 서울
<단체전>
2016 촉V 빈, 집, 오뉴월 이주헌, 서울
2015 장소를 품다_회령, 스페이스 몸 미술관, 청주


최제헌 
<학력>
2009 독일 뮌스터 쿤스트 아카데미 졸업 Kunstakademie Muenster (디플롬)
     마이스터슐러 취득(Maik & Dirk Löebbert 교수 사사)
2000 동덕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개인전>
2014 Boje, in Washington D.C.,Korean Cultural Center, 워싱턴 D.C., 미국
2013 명주에, Boje, 강릉 명주동네, 강릉
<단체전>
2016 ON_올림픽 페스티벌, 강릉단오문화관 단오마당, 강릉 




청주시립미술관의 독특한 공간 활용한 전시
ㅇ 청주시립미술관(관장 연규옥)의 올해 첫 기획전이 4월 4일(화)부터 개최된다. <그림 없는 미술관>이라는 다소 도발적인 제목의 이번 전시에는 전통적인 미술 장르인 회화나 조각의 분야가 아닌 설치미술(Installation Art) 작품들이 주로 전시된다. 설치미술이란 특정한 장소를 고려하여 제작한 작품과 공간이 총체적인 하나의 환경을 이루어 그 자체가 작품이 되는 미술 장르이다. 즉 회화나 조각처럼 이미 완성된 작품을 보여주기보다는 공간의 특성에 따라 변화되는 작품을 말하는 것이다. 청주시립미술관은 1970년대 후반에 지어진 옛 KBS 건물을 리모델링한 건물인 만큼 일견 전시공간으로서는 장점보다 단점이 더 많이 보인다. 그러나 <그림 없는 미술관>전에는 청주시립미술관만의 공간적 특성을 적극 활용하여 장점으로 탈바꿈시킨 작품들이 전시된다. 

공간이 주는 감각의 최대치를 경험
 리모델링된 청주시립미술관의 너무 높거나 낮은 전시실 천정고, 시선을 가로막는 열주(列柱) 등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작품을 전시하고 감상하는데 있어서는 큰 단점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전시의 작가들은 이러한 건축적 특성을 작품의 일부로 수용하여 적극 활용하고 있다. 
   예컨대 미술관에서 가장 크고 높은, 백평 가량의 전시실에는 정승운 작가의 작품이 있다. 정승운의 ‘작품이 있다’고 했지만, 실상 전시실 안에는 아무 것도 없다. 정승운의 <공제선-붉은섬>은 텅 비어있는 공간 자체가 작품인 것이다. 관객은 입구의 암막커튼을 걷고 들어서면 어둠만을 보게 될 것이고, 어둠에 눈이 익숙해지면 솟아오른 듯한 바닥과 공간 전체에 스며들어 있는 붉은 빛으로 인해 전혀 다른 시공간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정승운의 공간설치작품은 미술관의 가장 거대한 공간이 만들어낼 수 있는 감각의 최대치를 이끌어낸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전시장의 기둥도 작품의 일부로
일반 사무공간을 그대로 리모델링한 탓에 천정고가 낮고 기둥이 많은 공간적 특성을 적극 활용한 작가는 최제헌이다. 최제헌의 시선으로 인해 늘 작품을 바라보는데 방해요소로 여겨졌던 기둥은 작품이 기대거나 숨는 장소가 되었다. 최제헌의 작품은 공간과 작품의 관계를 다시 조직하고 있으며, 그 결과로 관객과 작품의 관계도 재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열린 전시
일반적으로 미술관에서는 사진 찍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사진이 전시장에서 금지되는 이유는 사진의 플래시가 회화 작품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카메라 소음이나 일관된 동선의 흐트러짐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청주시립미술관의 <그림 없는 미술관>전은 관객들에게 사진 찍을 것을 금지하지 않는 전시이다. 대개 일시적으로 존재했다가 해체될 작품들이기 때문에 사진으로 인한 훼손의 우려가 없을 뿐 아니라, 작품들 사이를 돌아다니면서 감상의 지점을 적극적으로 찾아다녀야 하는 전시의 특성으로 인해 동선을 하나의 흐름으로 통제하지 않을 계획이기 때문이다. <그림 없는 미술관>전은 관객에게 마음을 움직이는 전시 작품 앞에서 자유롭게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미술과 일상의 거리감을 최대한 줄이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